"노구치산시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Notes)
(Notes)
111번째 줄: 111번째 줄:
  
 
==Notes==
 
==Notes==
* [[조선박람회경성협찬회보고서]] 수록 내용<ref>225쪽</ref>  
+
* [[조선박람회경성협찬회보고서]] 수록 내용<ref>정지희, 「 노구치 산시로의 1929년 경성풍경과 그 의의 」 ,『한국학연구』 제66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pp.221-253, 225쪽</ref>  
''''보고서에 의하면 자동사진관에 전문기사 1명과 조수 1명이 초빙되어 박람회 관람객을 상대로 사진촬영을 했다고 한다. 따라서 당시 파견된 전문기사가 바로 노구치 산시로이다. 보고서 내용을 옮기면 다음과 같다./<br>
+
보고서에 의하면 자동사진관에 전문기사 1명과 조수 1명이 초빙되어 박람회 관람객을 상대로 사진촬영을 했다고 한다. 따라서 당시 파견된 전문기사가 바로 노구치 산시로이다. 보고서 내용을 옮기면 다음과 같다./<br>
 
  자동사진관은 근대의 세계적 발명기로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최신의 수입품으로 본 회에는 특히 전문기사(기계 휴대) 1명, 조수 1명을 초빙하여 사진관을 설비하여 공중 촬영에 응하였다. 그 촬영자는 1,227명으로 요금은 485원 10전이다.''''
 
  자동사진관은 근대의 세계적 발명기로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최신의 수입품으로 본 회에는 특히 전문기사(기계 휴대) 1명, 조수 1명을 초빙하여 사진관을 설비하여 공중 촬영에 응하였다. 그 촬영자는 1,227명으로 요금은 485원 10전이다.''''
  

2020년 9월 24일 (목) 00:47 판

Definition

1929년 조선박람회 당시 미쓰코시[三越]백화점 사진촬영기사로 파견되었던 인물. 1928년 일본 도쿄 니혼바시(日本橋) 미츠코시백화점 즉석사진부 기사로 근무하던 중 1929년 경성에서 열린 조선박람회에 설치된 자동사진관 사진기사로 파견되었다. 조선박람회 개최기간 동안 근무했던 활동사진관 뿐만 아니라 야외극장, 연예관, 대만관, 전라북도관 등 박람회 현장의 모습을 그림으로 남겼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노구치산시로 Actor 인물 조선박람회 노구치산시로(野口三四郎) 노구치산시로 野口三四郎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노구치산시로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한자표기 野口三四郎
생년 1901
몰년 1937
시대 일제강점기
국적 일본
대표저서
배우자
성격
유형

}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노구치산시로 조선박람회 participatedIn
노구치산시로 미쓰코시오복점 isRelatedTo
노구치산시로 활동사진관 isRelatedTo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참고 서울역사박물관 노구치 산시로와 안도 요시시게가 선사한 데자뷔 1920~1930년대 서울과 부산 풍경 https://museum.seoul.go.kr/www/board/NR_boardView.do?bbsCd=1015&seq=20180201170815042&sso=ok
참고 주간조선 경성을 스케치한 화가들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01&nNewsNumb=002532100002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후쿠다요시코 외 12인 『1920~1930년대 그림으로 보는 경성과 부산』 서울역사박물관, 2017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barcode=9791186324608&orderClick=JAH
정지희, 「 노구치 산시로의 1929년 경성풍경과 그 의의 」 『한국학연구』 제66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pp.221-253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47f1081ded7cfe807ecd42904f0c5d65

Notes

보고서에 의하면 자동사진관에 전문기사 1명과 조수 1명이 초빙되어 박람회 관람객을 상대로 사진촬영을 했다고 한다. 따라서 당시 파견된 전문기사가 바로 노구치 산시로이다. 보고서 내용을 옮기면 다음과 같다./

자동사진관은 근대의 세계적 발명기로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최신의 수입품으로 본 회에는 특히 전문기사(기계 휴대) 1명, 조수 1명을 초빙하여 사진관을 설비하여 공중 촬영에 응하였다. 그 촬영자는 1,227명으로 요금은 485원 10전이다.'

References

  1. 서울역사박물관
  2. 정지희, 「 노구치 산시로의 1929년 경성풍경과 그 의의 」 ,『한국학연구』 제66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pp.221-253, 225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