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부청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
__NOTOC__
 +
==Definition==
 +
식민 통치를 시행한 최고 행정 관청인 조선총독부가 사용한 건물로, 경복궁 내에 위치
 +
 +
==Semantic Data==
 +
 +
===Node Description===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조선총독부청사]]|| Place || 장소 || 조선총독부 || 조선총독부청사(朝鮮總督府廳舍)  || 조선총독부청사  ||朝鮮總督府廳舍||   || ||
 +
|}
 +
 +
===Additional Attributes===
 +
 +
* [[틀: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propertyName || value
 +
|-
 +
| i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ntextual Relation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Spatial Data==
 +
 +
===Spactial Information Node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
 +
 +
===Spatial Relation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Data==
 +
 +
===Temporal Information Node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Relations===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Online Reference==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해설|| 위키백과 ||조선총독부 청사와 관사  || || https://ko.wikipedia.org/wiki/조선총독부_청사와_관사
 +
|-
 +
| 해설|| KBSNEWS ||박물관인 줄 알았던…조선총독부 무너진 날  ||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523328&ref=A
 +
|-
 +
| 해설|| 중앙일보||불과 25년 전 광화문에는 ‘조선 총독부’가 있었다 || ||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6066815&memberNo=11880830&vType=VERTICAL
 +
|-
 +
|}
 +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
 +
==Bibliography==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 || |||| ||
 +
|-
 +
|}
 +
 +
==Notes==
  
 
*1912년 조선총독부는 조사 준비비 3만 원을 계상하고 조사, 설계 등을 서서히 진행하면서 동시에 경복궁 해체 작업을 시작
 
*1912년 조선총독부는 조사 준비비 3만 원을 계상하고 조사, 설계 등을 서서히 진행하면서 동시에 경복궁 해체 작업을 시작
8번째 줄: 124번째 줄:
 
-독일인 건축가 조르주 드 라랑드(George de Lalande, 1872~1914)가 설계한 네오르네상스풍의 화강암 석조건물 .</br>
 
-독일인 건축가 조르주 드 라랑드(George de Lalande, 1872~1914)가 설계한 네오르네상스풍의 화강암 석조건물 .</br>
 
-이에 따라 1927년 광화문 역시 경복궁의 동북쪽으로 이축.
 
-이에 따라 1927년 광화문 역시 경복궁의 동북쪽으로 이축.
 +
==Reference==
 +
<references/>
 +
 +
==Semantic Network Graph==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Place]] [[분류:Place-장소]] [[분류:이수민]]

2020년 9월 17일 (목) 21:50 판

Definition

식민 통치를 시행한 최고 행정 관청인 조선총독부가 사용한 건물로, 경복궁 내에 위치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조선총독부청사 Place 장소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청사(朝鮮總督府廳舍) 조선총독부청사 朝鮮總督府廳舍

Additional Attributes

  • [[틀: ]]
propertyName value
id [[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위키백과 조선총독부 청사와 관사 https://ko.wikipedia.org/wiki/조선총독부_청사와_관사
해설 KBSNEWS 박물관인 줄 알았던…조선총독부 무너진 날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523328&ref=A
해설 중앙일보 불과 25년 전 광화문에는 ‘조선 총독부’가 있었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6066815&memberNo=11880830&vType=VERTICAL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Notes

  • 1912년 조선총독부는 조사 준비비 3만 원을 계상하고 조사, 설계 등을 서서히 진행하면서 동시에 경복궁 해체 작업을 시작

-경회루와 근정전과 같은 거대한 몇 개 건물만 남기고 대부분의 건물 약 4천간을 철거하여 그중 많은 것을 민간에 불하.

  • 1915년 시정5주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를 계기로 경복궁 내 건물군의 해체가 본격적으로 시작

- 총독부는 근정전, 교태전, 경회루 등 주요 건물은 모두 행사장으로 사용하고, 그 외 건물들은 많은 부분 헐어내어 그 자리에 18개의 전시관을 신축.

  • 공진회 폐회 후 조선총독부 청사 준공 착수

-조선총독부 청사는 공진회가 끝난 후, 제1호관이 있던 자리, 즉 근정전 바로 앞에 건설되기 시작.
-독일인 건축가 조르주 드 라랑드(George de Lalande, 1872~1914)가 설계한 네오르네상스풍의 화강암 석조건물 .
-이에 따라 1927년 광화문 역시 경복궁의 동북쪽으로 이축.

Reference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