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Node Description)
10번째 줄: 10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용두]]|| Architecture|| 건조부품||장식기와||용두(龍頭)||용두||鷲頭||    || ||
+
|[[용두]]|| Architecture|| 건조부품||장식기와||용두(龍頭)||용두||龍頭||    || ||
 
|}
 
|}
  

2020년 9월 13일 (일) 10:21 판

Definition

용마루 양 끝에 용머리 모양으로 장식해 놓은 기와. 화기를 제어하는 벽사의 기능을 하고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용두 Architecture 건조부품 장식기와 용두(龍頭) 용두 龍頭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용마루 용두 currentLocation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용두
이칭/별칭 치미,치두
재질 백자, 분청사기, 유기
색상
사용 신분 궁궐, 왕실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황인혁 『경복궁의 상징과 문양』, 시간의 물레, 2018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484415

Note

1. 황인혁, 경복궁의 상징과 문양, 시간의 물레, 2018, 26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