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사직단 대문은 사직단에 진입하기 위한 평삼문으로 건립되었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재건된 것으로 서울 시내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 중 하나이며,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인정되어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177호로 지정되었다. 일제강점기에도 존속되었으나 해방 이후 서울시도시계획에 따라 2차례 이건되었다.
1962년 도시계획사업에 따라 현 사직로를 확장하고 사직터널로 연결하면서 대문을 14m 후방으로 이건하였으며, 1973년에는 인도 확보를 위해 10m만큼 도로 안쪽으로 다시 이건하였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홑처마 맞배집으로 외벌대 장대석 기단을 두었고 기단 바닥은 강회다짐 하였다. 원형 주좌가 있는 초석과 자연석 초석을 섞어서 놓았으며 초석 사이에 고막이를 설치하였다. 기단 외부에는 보호 휀스가 둘러져 있다.
평주는 민흘림 원기둥으로 세우고 출목 초익공 양식의 공포를 짜서 지붕을 받쳤다. 고주는 사각기둥으로 사용하였으며 종량의 하중을 직접 받치고 있다. 기둥에서 귀솟음과 안쏠림이 거의 없다. 지붕가구는 주심도리, 중도리, 종도리로 구성된 5량가이며 도리의 위치는 3분변작으로 하였다.
대량과 종량 사이에 화반동자주를 두고 뜬창방을 결구시켜 구조적으로 보강하였다. 천장은 서까래가 노출된 연등천장이다. 어칸과 좌우 협칸에 안여닫이로 관장문을 설치하였고, 좌우 측면에는 보 방향으로 벽체를 설치하였다. 고주 위아래에 상하인방을 놓고 좌우로 문선을 설치하여 삼문을 달았으며, 상인방 위에는 머름이 있는 살창을 닫았다. 측벽 중인방 하단은 화방벽으로 꾸미고 상단은 회벽으로 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id |
대문-사직단
|
이칭/별칭 |
-
|
유형 |
건조물
|
설명 |
사직단 경내로 진입하기 위한 대문.
|
장소 |
사직단
|
Contextual Relations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Online Reference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국립고궁박물관, |
『왕실문화도감 - 국가제례』, |
국립고궁박물관, 2017. |
|
|
오세옥, 김기빈(옮김), |
『사직서의궤』, |
한국고전번역원, 2012. |
|
|
김문식, 김지영, 박례경, 송지원, 심승구, |
『왕실의 천지제사 : 조선 왕실의 행사1』, |
돌베개, 2011. |
|
|
강문식, 이현진, |
『종묘와 사직 : 조선을 떠받친 두 기둥』, |
책과함께, 2011. |
|
|
김동욱, |
『종묘와 사직』, |
대원사, 2005. |
|
|
정광순, |
『사적 제121호 사직단』, |
종로문화원, 2009. |
|
|
금성종합건축사사무소, 역사건축기술연구소, |
『사직단 복원정비 계획』, |
문화재청, 2014. |
|
|
국립문화재연구소, |
『석전대제 : 중요무형문화재 제85호』, |
국립문화재연구소, 1998. |
|
|
국립문화재연구소, |
『종묘제례 : 중요무형문화재 제56호』, |
민속원, 2008. |
|
|
국립문화재연구소, |
『사직대제 : 중요무형문화재 제111호』, |
민속원, 2007. |
|
|
전주이씨대동종약원, |
『사직단국왕친향도병풍 번역집』, |
전주이씨대동종약원, 2017. |
|
|
이건웅, |
『중요무형문화재 제111호 사직대제 전수교육교재』, |
사직대제보존회, 2004. |
|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
『한국예학용어대사전』, |
한국학자료원, 2020. |
|
|
Notes
사직단 경내로 진입하기 위한 대문.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