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소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리소(整理所)
대표명칭 정리소
한자표기 整理所
창립시대 조선
창립일 1794년
해체일 미상
주요업무 정조현륭원 참배
담당업무 행행례
관련기관 예조(禮曹)



정의

1795년(정조 19), 정조현륭원(顯隆園) 참배를 위하여 설치된 특별관서이다.[1]

내용

업무

1794년(정조 18)에 설치되어 정조화성행궁 시찰,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 문ㆍ무과 별시, 장용영(壯勇營) 훈련 실시, 한강의 배다리 가설 등을 총괄했다.[2] 행사를 마친 뒤에는 정리소 주체로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를 간행하였는데, 새로 주조한 활자인 정리자(整理字)로 인쇄하였다. 이는 활자로 찍은 최초의 의궤이다.[3] 정조 말에서 순조 초 사이에 혁파된 것으로 보인다.[4]

구성

호조판서, 사복시 제조, 장용사, 경기도관찰사, 장악원 제조, 비변사 부제조로 구성된 6명의 정리사(整理使)를 두었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리자 정리소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정리소 원행을묘정리의궤 A는 B를 편찬하였다 A dcterms:publisher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795년 정리소가 설치되었다
1795년 원행을묘정리의궤를 편찬하였다

주석

  1.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410쪽
  2.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410쪽
  3.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432쪽
  4. 『純祖實錄』 2년(1802) 2월 7일: 「壯勇營撤罷別單」.
  5.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410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김준, 『이산 정조, 꿈의 도시 화성을 세우다』, 여유당, 2008.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한영우, 『정조대왕 화성능행 반차도』, 효형출판, 2000.
  • 한영우, 『정조의 화성행차 그 8일』, 효형출판, 1998.
  • 한영우, 『정조의 화성행차』, 효형출판, 2007.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