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정구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윤정구(尹定求)
대표명칭 윤정구
한자표기 尹定求
생몰년 1841년-미상
본관 해평(海平)
하운(下雲)
사교(士交)
시대 조선
대표직함 의정부 찬정, 궁내부 특진관, 춘천부 관찰사, 대사간
윤회선
성격 인물
유형 백관



정의

조선 말 대한제국시기 문관이다.

내용

고종의 측근이며, 『순비책봉의궤』를 담당하였다.

관직

1875년(고종 12) 별시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수찬, 교리를 거쳐 1889년(고종 26) 대사헌이 되었고, 이조참의, 대사성, 부호군을 역임하였다. 1892년(고종 29) 강계 겸 성천 안핵사로 차하되었으나 칭병으로 사직하여 견책 당했다. 이조참의, 대사간을 거쳐 1896년(고종 33) 춘천부 관찰사가 되었다. 궁내부 특진관 겸 비서원경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고 김윤식(金允植) 등을 처벌하라는 상소를 올렸다. 궁내부 협판으로 대신서리가 되어 명성황후의 장례를 지휘하였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고종의 측근으로 궁내부 소속 아문들의 장관을 역임했다. 1900년(고종 37) 일본과 직산금광채굴합동조약을 체결하였고 궁내부 관제 개정에 관여하였으며, 대한국국제 제정에 참여하였다. 마지막 직책은 의정부 찬정이다.[1]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윤정구 『순비책봉의궤』 A는 B의 담당자였다 A edm:isRelatedTo B
윤정구 백관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901년 윤정구는 『순비책봉의궤』를 담당하였다

주석

  1. "윤정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고종실록』

더 읽을거리

  • "윤정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