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형미

Encyves 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16일 (목) 00:07 판 (지식 관계망)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형미(逈微)
BHST Monk1.png
대표명칭 형미
영문명칭 Hyeongmi
한자 逈微
생몰년 864(경문왕 4)-917(경명왕 1)
시호 선각대사(先覺大師)
형미(逈微)
탑호 편광(遍光)
성씨 최씨(崔氏)
본관 박릉(博陵)
출신지 무주(武州: 현재의 광주)
승탑비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정의

신라시대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형미(逈微)는 864년 지금의 광주 지방인 무주(武州)에서 출생하였다. 속성은 최씨이고 그 선조는 박릉(博陵)[1]의 귀족 출신이었다. 아버지 낙권(樂權)은 노장사상에 심취한 한편 스님들과도 친교하였다.[2] 대사는 수승한 상호(殊相)를 타고 났으며, 어려서부터 함부로 아이들과 사귀지 않았다고 한다.[3]

Quote-left.png 어머니는 김씨니, 어느날 밤에 홀연히 상서로운 징조의 꿈을 꾸었는데, 어떤 호승(胡僧)[4]이 방에 들어와 나무로 된 책상을 주었다. 문득 꿈을 깬 후 고침(藁砧)[5]에게 물었더니 답하되, "반드시 보배로운 아들을 회임할 것이므로 미리 아들을 낳을 경사를 예고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 후로부터 어머니의 거실에는 언제나 환한 불빛이 있었다. Quote-right.png
출처: 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23쪽.


출가수행

878년 장흥 보림사(寶林寺)로 출가하여 보조선사 체징(普照禪師 體澄)의 제자가 되었으며, 882년 화엄사(華嚴寺)에서 비구계(比丘戒)를 받았다.

Quote-left.png 체징선사가 "처음 보는 순간 비록 초면이지만 문득 오래전부터 서로 잘 아는 것 같다"하고, "옛날 서로 이별한 지 오래전이거늘 어찌 그리 늦었는가"하며 입실(入室)[6]을 허락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23-324쪽.


입당유학

형미는 가지산문(迦智山門)을 열었던 체징(體澄)의 법도를 받아 이었지만, 출가한 지 불과 2년 만에 체징이 입적하였다. 이에 형미는 당시 유명한 남종 선사인 운거도응대사(雲居道膺大師)을 찾아가 인가(印可)[7]를 받고자 하였고,[8] 891년 당나라로 유학을 떠났다.

Quote-left.png 대순(大順) 2년 초봄에 이르러 홀연히 입조사(入朝使)[9]를 만나 몸을 의탁하여 서방(西方)으로 가서 피안(彼岸)인 당나라에 도달하였으니, 배를 경수(鏡水)에 메어 놓고, 곧바로 종릉(鍾陵)을 향해 가다가 운거도응대사(雲居道膺大師)를 친견하고 법문을 들을 계획을 세웠다. Quote-right.png
출처: 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25쪽.


이때 형미를 비롯하여 법경대사 경유(法鏡大師 慶猷), 대경대사 여엄(大鏡大師 麗嚴), 진철대사 이엄(眞澈大師 利嚴) 등 신라 출신의 승려 네 명이 운거도응대사 밑에서 동문수학하여 모두 인가를 받았고, 이들은 해동의 사무외대사(四無畏大師), 즉 "두려울 게 없는 경지에 이른 네 명의 큰 스님"으로 일컬어졌다.[10] 이들 사무외대사는 이후 고려를 건국한 태조 왕건의 스승이 되었다.[11]

귀국 및 활동

사부대중(四部大衆)의 존경을 한 몸에 받던 형미는 905년 귀국하여 고향인 무주로 돌아왔으며, 당시 무주의 실력자 왕지본(王池本)의 후원을 받으면서 무위갑사(無爲岬寺)에서 8년간(905-912) 주석하였다.

Quote-left.png 천우(天祐) 2년(905, 효공왕 9) 6월에 무주(武州)의 회진(會津)으로 돌아왔다. 이 때 (무)주의 책임자이던 소판(蘇判)[12] 왕지본(王池本) 공이 대사가 배에서 내려 곧바로 평진(平津)에 이르렀다는 것을 가만히 듣고서 … … … 매번 종종걸음으로 따르며 (스님의) 혜일(慧日)을 배우고자 하고, 4사(四事)[13]의 공양을 멀리 하늘의 부엌을 빌린 것처럼 (훌륭하게) 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 제7호, 한국목간학회, 2011, 207쪽.


그러던 중 912년 궁예(弓裔)왕건(王建)과 함께 군사를 이끌고 금성(錦城: 지금의 나주)과 무주(지금의 광주) 등 전라도 남부 지역을 공략하였다. 궁예는 형미의 명성을 듣고 만나기를 청하여 친견하였고, 나주 지역의 전투에서 대승을 거둔 후 태봉(泰封)으로 회군할 때 형미를 태봉의 수도 철원으로 함께 모시고 갔다.[14][15]

Quote-left.png 이때에 대왕께서는 일찍이 대사가 근래에 오월(吳越)에서 우리나라[秦韓]로 들어오셔서 마니보주(摩尼寶珠)를 바닷가에 감추고, 미옥(美玉)을 하늘 바깥에 감추고 계시다는 것을 들어 알고 계셨다. 그래서 먼저 글[丹詔]을 보내어 스님의 도간(道竿)에 공경을 표시하니, 대사는 왕명[制]을 받들어 험한 파도를 무릅쓰고 거친 파도를 헤치고 달려왔다. ...(중략)... 그 후 군대를 돌이킬 때에 특별히 (스님에게) 함께 돌아갈 것을 청하였고, 2~3일 사이에 북쪽해안에 이르렀다. Quote-right.png
출처: 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 제7호, 한국목간학회, 2011, 208쪽.


입적

철원에서 궁예의 우대를 받던 형미는 917년 반대세력과의 연결을 의심받아 궁예에게 피살되었으니,[16] 세속의 나이는 54세, 승랍은 35세였다. 비문의 이 대목은 형미가 다른 사람과 결탁한 것을 의심하는 궁예의 말과 자신이 역모에 가담하지 않았음을 주장하는 형미의 말을 인용하고 있는데, 이는 궁예의 형미 처형이 선승 승려라는 종교적 이유가 아니라 역모와 관련된 정치적 이유에서 비롯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17]

Quote-left.png 대왕께서 대사에게 이르기를 "우리 스님은 인간 세상의 자애로운 아버지이시고 이 세상을 인도하는 스승이시니, 어찌 나쁜 마음을 품겠습니까. 하지만 편드는 사람이 없지는 않으실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대사는 이에 화(禍)가 곧 미칠 것을 알았지만 위험을 피하려고 하지 않았다. 대답하여 "… … [어찌(?)] 거복(莒僕)의 음모에 가담할 수 있으며, 어진 사람은 은혜를 생각하는데 어찌 상신(商臣)의 나쁜 행위에 참여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하였다. 그러나 한마디의 말도 받아들이지 아니하고, … 을 더하였다. 목숨을 버리실 때에 … … 세속의 나이는 54세요, 승랍은 35였다. 이때에 개울과 못이 갑자기 마르고, 해와 달이 빛을 잃었으며, 도속(道俗)이 슬픔을 머금고, 인간과 하늘 세계의 빛이 변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 제7호, 한국목간학회, 2011, 209쪽.


형미는 궁예에 의해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였지만 사후 얼마 지나지 않아 명예를 회복하게 되었다. 처형된 다음 해인 918년에 왕건궁예를 몰아내고 고려를 건국한 후 곧바로 형미의 명예를 회복시켜 주었고, 다음 해 3월에는 개성의 오관산(五冠山)에 형미를 추모하는 절을 짓고 이곳에 그의 유골을 봉안하는 탑을 세우게 하였다. 921년에 절과 탑이 완성되자 형미에게 '선각대사(先覺大師)'라는 시호를 내리고, 새로 지은 절과 탑에도 '태안사(太安寺)'와 '편광령탑(遍光靈塔)'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당대 최고의 문장가인 최언위(崔彦撝)에게 형미의 행적을 기록한 비문을 짓게 함으로써 그의 명예 회복 과정을 마무리하였다.[18]

Quote-left.png 다음해(919, 태조 2) 3월에 이르러 드디어 (대사의) 제자 한준(閑俊)과 화백(化白) 등을 불러서 “개주(開州)의 오관산(五冠山)은 참된 사람의 태(胎)를 묻을 곳이다. 이 산은 산세가 아름답고 지맥(地脈)이 평안하니, 무덤을 두기에 마땅한 곳이다. 반드시 존귀한 분의 명복을 빌 수 있는 곳이다. 스님들은 유사(有司)와 함께 산사(山寺)를 빨리 짓고 이어서 (대사의 유골을 안치하는) 탑[石墳]를 세우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Quote-right.png
출처: 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 제7호, 한국목간학회, 2011, 209-210쪽.


지식 관계망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와 선각대사 형미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형미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체징 형미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도응 형미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사무외대사 도응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사무외대사 형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dcterms:hasPart B
사무외대사 경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dcterms:hasPart B
사무외대사 여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dcterms:hasPart B
사무외대사 이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dcterms:hasPart B
형미 강진 무위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형미 장흥 보림사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형미 구례 화엄사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A edm:isRelatedTo B
궁예 형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고려 태조 형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고려 태조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A dc:contributor B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강진 무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최언위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유훈율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김문윤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A ekc:inscriber B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최환규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A ekc:inscribe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864년 형미가 태어남.
878년 형미장흥 보림사로 출가함.
882년 형미구례 화엄사에서 계를 받음.
891년 형미가 당나라로 유학을 떠남.
905년 형미가 귀국함.
905-912년 형미강진 무위사에서 주석함.
912년 형미궁예왕건을 만남.
917년 형미가 입적함.
921년 고려 태조형미에게 시호와 탑호를 내리고, 최언위가 탑비의 비문을 지음.
946년 형미의 탑비인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강진 무위사에 건립됨.

시각자료

타임라인

영상

주석

  1. 박릉최씨는 하북(河北) 산동(山東)의 4개의 저명한 사족 가운데 하나이다. 피터 K.볼, 심의용 역, 『중국 지식인들과 정체성: 사문을 통해 본 당송 시대 지성사의 대변화』, 북스토리, 2008, 104쪽.
  2. 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22쪽.
  3. 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23쪽.
  4. 인도 스님. 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23쪽.
  5. 敲砧이라고도 하니, 점치는 사람. 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23쪽.
  6. ① 수행자가 친히 스승의 지도를 받기 위해 그의 방에 들어감. ② 스승이 수행자를 자신의 방으로 불러들여 그의 수행 상태를 점검함. ③ 제자가 스승의 법맥(法脈)을 이어받음.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입실",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7. ① 인정함. 승인함. ② 스승이 제자의 깨달음을 인정함.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인가",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8. EBSCulture (EBS 교양), "EBS 기획 시리즈, 최완수의 우리미술 바로보기 - 선각왕사 형미의 유적_#001~#004" (방송일: 2002.11.08), YouTube, 작성일: 2013년 04월 18일.
  9. 대국(大國)에 조공(朝貢)하러 가는 사신.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입조사",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0. EBSCulture (EBS 교양), "EBS 기획 시리즈, 최완수의 우리미술 바로보기 - 선각왕사 형미의 유적_#001~#004" (방송일: 2002.11.08), YouTube, 작성일: 2013년 04월 18일.
  11. 방학봉, 『중국을 뒤흔든 우리 선조 이야기』, 일송북, 2004, 255쪽.
  12. 신라시대의 관등. 17등 관계 중의 제3등 관계이다. "잡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3. 수행승의 일상 생활에 필요한 네 가지 물건. 음식·옷·탕약·침구 또는 거처하는 집.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사사",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4. 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 제7호, 한국목간학회, 2011, 210쪽.
  15. 기존의 해석에서는 위에 인용된 비문의 "대왕(大王)"을 왕건으로 해석하여 형미를 태봉으로 초빙한 주체를 왕건으로 이해하였지만, 비문 전체의 내용으로 볼 때 "대왕"은 궁예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 제7호, 한국목간학회, 2011, 210쪽.
  16. 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 제7호, 한국목간학회, 2011, 219쪽.
  17. 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 제7호, 한국목간학회, 2011, 216쪽.
  18. 최연식,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21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9",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