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성록

Encyves Wiki
Wlghkwk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8년 1월 14일 (일) 00:50 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일성록(日省錄)
"일성록", 세계기록유산,『문화재청』online, 문화재청.
대표명칭 일성록
한자표기 日省錄
유형 고서
저자 조선 정조, 규장각
편자 규장각
간행시기 1760~1910년
시대 조선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지정번호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보 제153호


정의

1760년부터 1910년까지 국정 운영을 기록한 일기이다.

내용

유래

일성록』은 정조(正祖, 재위 1776~1800)가 세손 시절 자신을 반성할 목적으로 쓰기 시작한 『존현각일기(尊賢閣日記)』에서 출발하였다. 정조는 항시 열람이 가능한 국정 기록을 남겨야 할 필요성을 느껴 1781년 자신이 직접 쓰던 것을 규장각 신하들에게 대신 기록할 것을 명하였다. 이것이 『일성록』이 되었다.[1]

편찬과 내용 체제

정조규장각 각신들과 『일성록』의 체제를 논의하면서 기록의 주체를 ‘여(予)’라고 할 것을 결정하였다. 이는 『일성록』이 국왕의 시각으로 정리된 기록임을 나타낸다. 사건이나 일을 하나의 기사로 구성하였으며, 각 기사는 제목인 강(綱)과 세부 내용인 목(目)으로 나누어 기록하였다. 매일의 기록 끝에는 편찬을 담당한 인물의 관직과 성명을 기재하여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였다.[2]

가치와 의의

정조에서 시작된 『일성록』은 1910년까지 기록되었다. 『일성록』에는 신하들이나 백성들이 왕에게 올린 건의서나 왕의 명령, 왕의 동정, 서적의 편찬, 경연에서 읽은 책의 내용, 군사 훈련, 죄수 심리, 백성에 대한 진휼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당시의 생생한 기록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크다.[3]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일성록』은 18~20세기 동·서양의 정치·문화적 교류의 구체적 실상과 세계사의 보편적 흐름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세계사적 중요성과 가치를 인정받아 2011년 5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4]

지식 관계망

  • 조선 정조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일성록 조선 정조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일성록 규장각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일성록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일성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 자료

영상

  • 일성록과 조선왕조실록, youtube, 게시일: 2014.10.16.

주석

  1. "일성록", 교과서 용어 해설,『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2. "일성록", 교과서 용어 해설,『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3. "일성록", 교과서 용어 해설,『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4. "일성록", 세계기록유산,『문화재청』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연갑수, 「《日省錄》의 사료적 가치와 활용 방안」, 『민족문화』27, 한국고전번역원, 2004.
    • 홍순민, 「《日省錄》의 편찬 과정과 구성 원리」, 『민족문화』27, 한국고전번역원, 2004.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