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철

Encyves Wiki
Wlghkwk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8년 1월 14일 (일) 00:41 판 (작품활동)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한철(李漢喆)
대표명칭 이한철
한자표기 李漢喆
생몰년 1808년-
본관 안산(安山)
송석(松石), 희원(喜園), 희원(希園)
자상(子常)
시대 조선
이의양(李義養)



정의

조선 후기의 화가이다.

내용

가계

본관은 안산(安山)이고 자는 자상(子常)이며 호는 희원(希園, 喜園) 또는 송석(松石)이다. 화원(畵員)이었던 이의양(李義養)의 아들이다.[1]

작품활동

초상화에 뛰어나, 1846년 헌종어진도사(憲宗御眞圖寫)에 주관화사(主管畵師)로 참여하였다. 1852년에 철종어진도사에, 1861년에는 철종어진 원유관본도사(遠遊冠本圖寫)에, 그리고 1872년에는 고종어진도사에 참여하였다.[2]

김수철(金秀哲), 전기(田琦), 유숙(劉淑), 유재소(劉在韶), 조중묵, 허유(許維), 등과 함께 김정희(金正喜))의 그림지도를 받았다. 김정희는 그의 그림을 평하여 “요즘 사람들은 구학(丘壑)의 형세에 전혀 힘을 쓰지 않는데, 이 그림에는 제법 재미있는 곳이 있다.”라고 하였다.[3]

산수·인물·화조·절지(折枝) 등 다방면에 뛰어난 작품을 남겼는데 의암관수도(倚巖觀水圖)는 그의 작품세계를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손꼽힌다. 전형적인 남종화법(南宗畵法)과 김홍도(金弘道)의 화풍을 따르고 있으며 부드럽고 투명한 필치와 묵법(墨法)의 강약·농담 등에서는 탁월한 재능을 엿볼 수 있다.[4] 이외에도 조인영 초상, 김정희 초상(흑단령본), 이하응 초상(흑단령포본), 이하응 초상(흑건청포본), 이하응 초상(와룡관학창의본), 이하응 초상(복건심의본), 이하응 초상(금관조복본), 정몽주 초상(반신상), 이제현 초상(반신상) 등의 많은 초상화를 그렸다.

지식 관계망

  • 김정희와 이광사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정희 초상(흑단령본) 이한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하응 초상(흑단령포본) 이한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하응 초상(흑건청포본) 이한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하응 초상(와룡관학창의본) 이한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하응 초상(금관조복본) 이한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정몽주 초상(반신상) 이한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제현 초상(반신상) 이한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정희 이한철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허유 이한철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시각자료

주석

  1. "이한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한철", 문화원형 용어사전,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온라인참조:"이한철",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이한철", 문화원형 용어사전,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온라인참조:"이한철",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이한철", 『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이한철", 문화원형 용어사전,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온라인참조:"이한철",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이한철", 『두산백과』online.

더 읽을 거리

  • 웹자원
    • "이한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한철", 『위키백과』online.
  • 논문
    • 최열, 「19세기 한국미술의 거장들8 이한철, 고전 관학파의 거장」, 『미술세계』 2000년 8월호(통권 189호), 미술세계, 2000, 116-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