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휴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가계와 탄생)
(참고문헌)
63번째 줄: 63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1724 청허당휴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1724 청허당휴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No=4&View=search&ksmno=2909 해남대흥사청허당휴정대사비문]",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목정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860 휴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목정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860 휴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양혜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10 "전란에 빠진 국가를 구하고자 승병(僧兵)을 일으키다"], 『한국사콘텐츠』<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양혜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10 "전란에 빠진 국가를 구하고자 승병(僧兵)을 일으키다"], 『한국사콘텐츠』<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2017년 8월 14일 (월) 13:14 판

휴정(休靜)
BHST Monk1.png
대표명칭 휴정
한자 休靜
생몰년 1520년(중종 15)-1604년(선조 37)
청허자(淸虛子), 청허당(淸虛堂), 서산(西山)
법호 연초(演初)
현응(玄應)
성씨 최씨(崔氏)
본관 완산(完山)
속명 여신(汝信)
출신지 평안남도 안주
승탑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
승탑비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정의

조선시대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완산최씨(完山崔氏). 이름은 여신(汝信), 아명은 운학(雲鶴), 자는 현응(玄應), 호는 청허(淸虛). 별호는 백화도인(白華道人) 또는 서산대사(西山大師)·풍악산인(楓岳山人)·두류산인(頭流山人)·묘향산인(妙香山人)·조계퇴은(曹溪退隱)·병로(病老) 등이고 법명은 휴정이다. 평안도 안주 출신으로 아버지는 세창(世昌)이며, 어머니는 김씨(金氏)이다. 어머니 김씨는 노파가 찾아와 아들을 잉태하였다며 축하하는 태몽을 꾸고 이듬해 3월에 그를 낳았다. [1]

Quote-left.png

행장을 살펴보니 대사의 법명은 휴정(休靜)이요, 스스로 청허자(淸虛子)라고 호(號)를 지었고 묘향산에 오래 살았기 때문에 또한 서산(西山)이라고 호(號)하였다. 속세에서의 성(姓)은 완산최씨(完山崔氏)이고 이름은 여신(汝信), 자(字)는 현응(玄應)이니 외조부인 현윤(縣尹 : 현의 수령) 김우(金禹)가 연산군 때에 죄를 얻어 안릉땅에 유배되어 거주하였으므로 마침내 안주사람이 되었다. 아버지 세창(世昌)은 향리에서 천거하여 기자전참봉(箕子殿參奉)이 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시(詩)와 술을 즐기며 지냈으며 어머니는 김씨(金氏)이다.

Quote-right.png
출처:


출가수행

구법유학

(귀국 및) 활동

입적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민백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