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내용)
 
39번째 줄: 39번째 줄:
 
[[노국대장공주]]가 죽은 후 실의에 빠졌던 [[고려 공민왕|공민왕]]은 1372년 명문자제들로 구성된 [[자제위|자제위(子弟衛)]]를 설치하고, 아들을 낳기 위해 이들과 왕비들을 사통시킬 것을 명하였으나, 혜비는 [[정비 안씨|정비]]·[[신비 염씨|신비]]와 함께 끝내 거부하였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44306 혜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노국대장공주]]가 죽은 후 실의에 빠졌던 [[고려 공민왕|공민왕]]은 1372년 명문자제들로 구성된 [[자제위|자제위(子弟衛)]]를 설치하고, 아들을 낳기 위해 이들과 왕비들을 사통시킬 것을 명하였으나, 혜비는 [[정비 안씨|정비]]·[[신비 염씨|신비]]와 함께 끝내 거부하였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44306 혜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된 후에는 '혜화궁주(惠和宮主)'로 불리었으며, 1408년([[조선 태종|태종]] 8년) 음력 2월 3일 세상을 떠났다. 이때 [[조선 태종|태종]]은 쌀과 콩 30석, 종이 100권을 부의로 내렸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8%9C%EB%B9%84_%EC%9D%B4%EC%94%A8 혜비 이씨]",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된 후에는 '혜화궁주(惠和宮主)'로 불렸으며, 1408년([[조선 태종|태종]] 8년) 음력 2월 3일 세상을 떠났다. 이때 [[조선 태종|태종]]은 쌀과 콩 30석, 종이 100권을 부의로 내렸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8%9C%EB%B9%84_%EC%9D%B4%EC%94%A8 혜비 이씨]",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그녀의 능지에 대해서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 시호는 혜비(惠妃)이다. [[고려 공민왕|공민왕]]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8%9C%EB%B9%84_%EC%9D%B4%EC%94%A8 혜비 이씨]",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그녀의 능지에 대해서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 시호는 혜비(惠妃)이다. [[고려 공민왕|공민왕]]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8%9C%EB%B9%84_%EC%9D%B4%EC%94%A8 혜비 이씨]",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2018년 1월 15일 (월) 01:27 기준 최신판

혜비()
대표명칭 혜비
생몰년 ?-1408년
본관 경주(慶州)
이칭 혜비 이씨(惠妃 李氏), 혜화궁주(惠和宮主)
시호 혜비(惠妃)
시대 고려시대
국적 고려
대표직함 왕비
배우자 고려 공민왕
이제현(李齊賢)
유형 왕비



정의

고려 제31대 공민왕의 후비(后妃)이다.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 이제현(李齊賢)의 딸이다.[1]

공민왕의 정비(正妃)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가 아들이 없자,[2] 이에 공민왕은 후사를 잇기 위하여 노국대장공주의 승낙 아래 혜비를 비롯하여 익비 한씨(益妃 韓氏), 정비 안씨(定妃 安氏), 신비 염씨(愼妃 廉氏)를 차례로 후궁으로 맞았다.[3]
노국대장공주가 죽은 후 실의에 빠졌던 공민왕은 1372년 명문자제들로 구성된 자제위(子弟衛)를 설치하고, 아들을 낳기 위해 이들과 왕비들을 사통시킬 것을 명하였으나, 혜비는 정비·신비와 함께 끝내 거부하였다.[4]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된 후에는 '혜화궁주(惠和宮主)'로 불렸으며, 1408년(태종 8년) 음력 2월 3일 세상을 떠났다. 이때 태종은 쌀과 콩 30석, 종이 100권을 부의로 내렸다.[5]

그녀의 능지에 대해서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 시호는 혜비(惠妃)이다. 공민왕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6]

지식 관계망

  • 고려 공민왕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고려 공민왕 혜비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Son B
이제현 혜비 A는 딸 B를 두었다 A ekc:hasDaughter B

주석

  1. 김기덕, "혜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기덕, "혜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혜비", 『두산백과』online.
  4. "혜비", 『두산백과』online.
  5. "혜비 이씨", 『위키백과』online.
  6. "혜비 이씨", 『위키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혜비", 『두산백과』online.
    • 김기덕, "혜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