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계공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사진  
+
{{단체정보
http://blog.naver.com/kkkk8155/140197538129
+
|사진=
 +
|사진출처=
 +
|대표명칭=한국기계공업
 +
|한자표기=韓國機械工業
 +
|영문명칭=
 +
|이칭=
 +
|유형=기업
 +
|창립자=
 +
|창립시대=
 +
|창립일=1963년 5월
 +
|변경일=1968년 9월
 +
|해체일=1976년
 +
|주요업무=
 +
|담당업무=
 +
|관련기관=
 +
|관련단체=[[두산인프라코어]]
 +
|소재지=
 +
|웹사이트=
 +
}}
  
 +
=='''정의'''==
 +
중공업제품 제조업체.
  
 +
=='''내용'''==
 +
===조선기계제작소로 출발===
 +
1937년 6월 4일 인천에 설립된 [[조선기계제작소]]를 5.16군사정변 이후 해군이 위탁관리하다가 개편하여 1963년 5월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법에 의해 공기업으로 설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종합기계회사이다.<ref>김천욱, "[http://ksme.or.kr/UploadData/Editor/EmBody/201411/1DD8692923FB4B2A9ACF50183A28D910.pdf 한국기계공업사-43]", 『기계저널』, 제54권, 제11호, 2014.</ref><br/>
 +
1968년 9월 정부는 부실공기업인 한국기계공업을 [[신진자동차공업]]에 인수시켰고, 신진자동차공업이 경영에 참여하면서 민영화 되었다. 1973년 6월 [[신진자동차공업]]은 경영 합리화를 위하여 부곡철도차량공장을 인수하였다.<ref>유붕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625 대우중공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좋은 글
+
===대우중공업으로 변경===
<ref>김천욱, 「한국기계공업사-43」, 『기계저널』, 제54권, 제11호, 2014, 52-36쪽.</ref>
+
1975년 5월 20일 인천공장에 양산제품인 상용차용 디젤엔진공장을 세웠으나, 큰 성과는 보지 못하였다.그 결과 1974년 말 한국기계공업은 부채비율 21,000%라는 최악의 부실기업이 되었다. 1976년 2월 대우실업이 경영에 참여하였고, 1976년 10월 [[대우기계]]를 합병하여 [[대우중공업]]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ref>김천욱, "[http://ksme.or.kr/UploadData/Editor/EmBody/201411/1DD8692923FB4B2A9ACF50183A28D910.pdf 한국기계공업사-43]", 『기계저널』, 제54권, 제11호, 2014.</ref>
http://ksme.or.kr/UploadData/Editor/EmBody/201411/1DD8692923FB4B2A9ACF50183A28D910.pdf
 
  
 +
===대우사태===
 +
[[대우중공업]]은 1988년 한국산업전자(주)를 설립하였으며, 1994년에는 중국현지법인인 대우중공업 연대유한공사를 설립하였다. 같은 해 10월 [[대우조선공업]]을 흡수·합병하였고, 1999년 3월 자동차사업부문을 [[대우자동차]]에 양도하였다. 건설중장비, 산업차량, 엔진, 공작기계, 공장자동화 기기, 정밀기계, 소재, 방위산업제품 등을 생산하여 국내외 시장에 공급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5255 대우중공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br/>
 +
그러나 1999년 8월 대우사태로 인해 경영이 악화되어 2000년 1월 기업개선작업 약정을 체결하였다. 2000년 10월 대우중공업의 조선해양사업 부문과 종합기계사업 부문을 분할하여 [[대우조선해양]](주)과 [[대우종합기계]](주)를 각기 설립하였다.<ref>유붕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625 대우중공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굿굿!!
+
===두산인프라코어로 변경===
 +
2005년 1월 대우중공업 계열 회사인 [[대우종합기계]](주)가 [[두산중공업]]에 인수되었다가 같은 해 4월 [[두산인프라코어]](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ref>유붕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625 대우중공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김우중 회장이 대표
+
=='''지식 관계망'''==
이사로 취임했다. 김우중 회장의 특기는 현장파악을 최우
+
===관계정보===
선 과제로 삼는 것이었다. 그는 공장 현장에서 침식을 하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서 한국기계를 살리는 일에 몰두하였고 한국기계의 장래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는 디젤엔진 생산보다는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
|-
지게차와 굴착기 제조에 있다고 판단했다. 그는 언제나 현
+
|[[조선기계제작소]] || [[한국기계공업]]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금흐름을 중시했으며 이를 잘 요리하여 경영의 천재가 되
+
|-
었다. 한국기계의 자본금을 120억 원에서 250억 원으로 증
+
|[[한국기계공업]] ||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자한 김우중 회장은 1976년 10월 대우기계에 한국기계를
+
|-
흡수합병하고 대우중공업(주)로 사명을 변경하고 대우기
+
|[[한국기계공업]] || [[대우중공업]]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계는 창원기계사업본부로 변경하였다. 이래서 대우기계가
+
|-
추진하던 공작기계사업은 창원공장에서 계속하게 되었으
+
|[[대우중공업]] || [[대우종합기계]]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며 인천공장과 부곡차량은 대우중공업의 3개 사업본부로
+
|-
개편되었다.
+
|[[대우종합기계]] || [[두산인프라코어]]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
 +
|}
  
대우중공업 인천공장의 디젤엔진사업부는 연산 6만 대
+
=='''시각자료'''==
생산능력을 가진 세계유수의 서독 MAN엔진 생산기지였
+
===갤러리===
다. 이 규모는 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기는 했어도 당시
+
<gallery mode=packed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우리나라 상용차 생산규모로 보아 지나친 규모였다. 한국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신진자동차 01.jpg| 신진자동차의 조업 광경(1966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40068&dsid=000000000001&gubun=search 신진자동차제작광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기계의 디젤엔진은 주로 버스에 장착되었는데, 트럭생산
 
전문업체인 기아산업으로서도 상용차에 이제는 민영화가
 
된 대우의 디젤엔진을 사용할 생각이 거의 없었다. 더구나
 
막 포니로 자동차업계의 선두주자로 등장하고 있던 현대
 
자동차에서도 독자의 디젤엔진(Perkins Engine) 생산계획
 
을 가지고 있어 대우중공업의 디젤엔진을 현대자동차의
 
상용차에 강제할 수 없었다. 정부에서는 국내 어선의 동력
 
화를 강력하게 추진하면서 한국기계에 업무를 맡겼으나
 
그 수요에도 한계가 있었다. 결국, 한국기계의 디젤엔진공
 
장 건설은 수익성을 외면한 정부의 국산화 의지였으며 정
 
부정책을 과신한 김창원 회장의 투자실패였다.
 
대우중공업은 산업기계공장의 시설을 재정비하여 지게
 
차 전용생산라인을 구축하였다. 지게차 생산은 이미 1967
 
년 9월 한국기계가 일본의 고마쯔 사와 기술제휴를 하고
 
국내에서 조립생산하고 있었으나 아직 수요가 폭발하고
 
있지 않았는데, 김우중 회장이 대표직을 맡으면서 중점적
 
으로 판촉과 국내 생산을 추진하였다. 대우중공업은 1977
 
년 2월 일본의 히다찌(日立) 사와 기술제휴로 굴착기46와
 
유압크레인 생산설비를 갖추고 산업기계의 지게차공장을
 
흡수하여‘중기사업본부’로 정식 발족시켰다. 김우중 회
 
장은 건설중장비의 수요가 격증하리라고 예측하고 이 분
 
야에 선두진입하기 위한 발 빠른 행보를 띠웠다. 즉 미국의
 
유명한 캐터필러(Catapillar) 사와 불도저, 로더, 그레이더
 
등 수량은 많지 않으나 세계 제일의 중장비업체와 계약하
 
여 협력관계를 수립하고 창원공장에 종합건설중장비 공장
 
을 건설하기 위해 기왕의 히다찌 사와 새로 떠오르는 일
 
  
  
[[분류:민족기록화]]
+
</gallery>
 +
 
 +
===영상===
 +
*'''대한뉴스 제 418호- 확충된 기계제작 공장 (제작일: 1963년 05월 25일)'''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YOl7AJ1fkas"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 유붕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625 대우중공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천욱, "[http://ksme.or.kr/UploadData/Editor/EmBody/201411/1DD8692923FB4B2A9ACF50183A28D910.pdf 한국기계공업사-43]", 『기계저널』, 제54권, 제11호, 2014.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5255 대우중공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99600 두산인프라코어]",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49742&cid=43167&categoryId=43167 대우중공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기업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지식백과.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단체]]

2017년 9월 26일 (화) 20:29 판

한국기계공업(韓國機械工業)
대표명칭 한국기계공업
한자표기 韓國機械工業
유형 기업
창립일 1963년 5월
변경일 1968년 9월
해체일 1976년
관련단체 두산인프라코어



정의

중공업제품 제조업체.

내용

조선기계제작소로 출발

1937년 6월 4일 인천에 설립된 조선기계제작소를 5.16군사정변 이후 해군이 위탁관리하다가 개편하여 1963년 5월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법에 의해 공기업으로 설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종합기계회사이다.[1]
1968년 9월 정부는 부실공기업인 한국기계공업을 신진자동차공업에 인수시켰고, 신진자동차공업이 경영에 참여하면서 민영화 되었다. 1973년 6월 신진자동차공업은 경영 합리화를 위하여 부곡철도차량공장을 인수하였다.[2]

대우중공업으로 변경

1975년 5월 20일 인천공장에 양산제품인 상용차용 디젤엔진공장을 세웠으나, 큰 성과는 보지 못하였다.그 결과 1974년 말 한국기계공업은 부채비율 21,000%라는 최악의 부실기업이 되었다. 1976년 2월 대우실업이 경영에 참여하였고, 1976년 10월 대우기계를 합병하여 대우중공업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3]

대우사태

대우중공업은 1988년 한국산업전자(주)를 설립하였으며, 1994년에는 중국현지법인인 대우중공업 연대유한공사를 설립하였다. 같은 해 10월 대우조선공업을 흡수·합병하였고, 1999년 3월 자동차사업부문을 대우자동차에 양도하였다. 건설중장비, 산업차량, 엔진, 공작기계, 공장자동화 기기, 정밀기계, 소재, 방위산업제품 등을 생산하여 국내외 시장에 공급하였다.[4]
그러나 1999년 8월 대우사태로 인해 경영이 악화되어 2000년 1월 기업개선작업 약정을 체결하였다. 2000년 10월 대우중공업의 조선해양사업 부문과 종합기계사업 부문을 분할하여 대우조선해양(주)과 대우종합기계(주)를 각기 설립하였다.[5]

두산인프라코어로 변경

2005년 1월 대우중공업 계열 회사인 대우종합기계(주)가 두산중공업에 인수되었다가 같은 해 4월 두산인프라코어(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6]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조선기계제작소 한국기계공업 A는 B의 전신이다 A ekc:isOldNameOf B
한국기계공업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한국기계공업 대우중공업 A는 B의 전신이다 A ekc:isOldNameOf B
대우중공업 대우종합기계 A는 B의 전신이다 A ekc:isOldNameOf B
대우종합기계 두산인프라코어 A는 B의 전신이다 A ekc:isOldNameOf B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 대한뉴스 제 418호- 확충된 기계제작 공장 (제작일: 1963년 05월 25일)

주석

  1. 김천욱, "한국기계공업사-43", 『기계저널』, 제54권, 제11호, 2014.
  2. 유붕노, "대우중공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김천욱, "한국기계공업사-43", 『기계저널』, 제54권, 제11호, 2014.
  4. "대우중공업", 『doopedia』online, 두산백과.
  5. 유붕노, "대우중공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유붕노, "대우중공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신진자동차제작광경",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