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최익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각자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민족기록화 인물 최익현 표준영정01.JPG
+
|사진=joseon_mungwan_old.png
|사진출처="[http://www.kculture.or.kr/korean/portrait/portraitPartList.jsp 선현의 표준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민족정보마당』<sup>online</sup></online></html>한국문화정보원.
+
|사진출처=
 
|대표명칭=최익현
 
|대표명칭=최익현
 
|한자표기=崔益鉉
 
|한자표기=崔益鉉
31번째 줄: 32번째 줄:
  
 
=='''정의'''==
 
=='''정의'''==
위정척사사상에 따라 일본에 대항한 조선 말기의 애국지사.  
+
위정척사사상에 따라 일본에 대항한 조선 말기의 애국지사이다.  
  
 
=='''내용'''==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찬겸(贊謙), 호는 면암(勉菴). 경기도 포천 출신. [[최대|대(岱)]]의 아들이다. 6세 때 입학해 9세 때 [[김기현]](金琦鉉) 문하에서 유학의 기초를 공부하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582 최익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찬겸(贊謙), 호는 면암(勉菴). 경기도 포천 출신. [[최대|대(岱)]]의 아들이다. 6세 때 입학해 9세 때 [[김기현]](金琦鉉) 문하에서 유학의 기초를 공부하였다.<ref>홍순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582 최익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1년 11월 21일.</ref><br/>
 
1855년(철종 6)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성균관 전적(典籍)·사헌부 지평(持平)·사간원 정언(正言)·이조정랑(吏曹正郞) 등을 역임하였다. 수봉관·지방관·언관 등을 역임하며 강직성을 드러내 불의·부정을 척결하여, 관명을 날리고, 1868년(고종 5) [[경복궁]] 중건의 중지, 당백전(當百錢) 발행에 따르는 재정의 파탄 등을 들어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실정(失政)을 상소하여 사간원의 탄핵을 받아 관직을 삭탈당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1949 최익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1855년(철종 6)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성균관 전적(典籍)·사헌부 지평(持平)·사간원 정언(正言)·이조정랑(吏曹正郞) 등을 역임하였다. 수봉관·지방관·언관 등을 역임하며 강직성을 드러내 불의·부정을 척결하여, 관명을 날리고, 1868년(고종 5) [[경복궁]] 중건의 중지, 당백전(當百錢) 발행에 따르는 재정의 파탄 등을 들어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실정(失政)을 상소하여 사간원의 탄핵을 받아 관직을 삭탈당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1949 최익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항일운동===
 
===항일운동===
41번째 줄: 42번째 줄:
 
체포된 이후 [[쓰시마|쓰시마 섬(對馬島)]]에 유배되었다. 유배지에서 지급되는 음식물을 적(敵)이 주는 것이라 하여 거절, 단식을 계속하다가 유소(遺疏)를 구술(口述), [[임병찬]]에게 초(抄)하여 올리게 하였다. 단식을 중지하였으나 그해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1949 최익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체포된 이후 [[쓰시마|쓰시마 섬(對馬島)]]에 유배되었다. 유배지에서 지급되는 음식물을 적(敵)이 주는 것이라 하여 거절, 단식을 계속하다가 유소(遺疏)를 구술(口述), [[임병찬]]에게 초(抄)하여 올리게 하였다. 단식을 중지하였으나 그해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1949 최익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상훈과 추모===
 
===상훈과 추모===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최익현의 대의비인 [[춘추대의비]](春秋大義碑)가 현재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관음리에 있다. 제향은 [[모덕사]](慕德祠 : 충청남도 청양군 목면 농암리 소재)와 포천·해주·고창·곡성·순화·무안·함평·광산·구례 등에서 봉향되고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582 최익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최익현의 대의비인 [[춘추대의비]](春秋大義碑)가 현재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관음리에 있다. 제향은 [[모덕사]](慕德祠 : 충청남도 청양군 목면 농암리 소재)와 포천·해주·고창·곡성·순화·무안·함평·광산·구례 등에서 봉향되고 있다.<ref>홍순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582 최익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1년 11월 21일.</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E029/E029.htm  최익현 지식관계망]
 +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
 +
"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29/E02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 [http://dh.aks.ac.kr/Encyves/Graph/E003/E003.htm  황현과 최익현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03/E00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최익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최익현 초상(모덕사)]] || [[최익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최익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최익현]] || [[최대]]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최익현]] || [[최대]]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53번째 줄: 76번째 줄:
 
|-
 
|-
 
| [[최익현]] || [[을사조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최익현]] || [[을사조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최익현]] || [[지부복궐상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지부복궐상소]] || [[강화도조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최익현]] || [[흥선대원군]]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최익현]] || [[흥선대원군]]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67번째 줄: 94번째 줄:
 
|-
 
|-
 
| [[쓰시마]] || [[최익현]] || A는 B의 사망지이다 || A edm:isRelatedTo B
 
| [[쓰시마]] || [[최익현]] || A는 B의 사망지이다 || A edm:isRelatedTo B
 +
|-
 +
| [[최익현]] || [[면암 최익현 유배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시각자료'''==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E003/S001/S001.htm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E003/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갤러리===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jpg|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ref>"[https://ko.wikipedia.org/wiki/%EC%B5%9C%EC%9D%B5%ED%98%84_%EC%B4%88%EC%83%81  최익현 초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최익현 초상(모덕사).jpg| [[최익현 초상(모덕사)]]<ref>홍대인, "[http://www.timenews.co.kr/web/news/article/415893?mode=print 충남도, 최익현 초상‧노혁 왕지 보물 지정 추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타임뉴스』<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4년 09월 01일.</ref>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최익현 초상(춘산영당).jpg| 최익현 초상(춘산영당)<ref>김종석, "[http://www.k-heritage.tv/brd/board/276/L/menu/259?bbIdx=7900&brdType=R 화순 춘산영당 최익현 초상(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13호)]", 작가갤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ref>
 +
</gallery>
 +
 
===영상===
 
===영상===
 +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79회 최익현(게시일: 2016년 4월 11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7ta2yWgeAz4"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주석'''==
 
=='''주석'''==
79번째 줄: 124번째 줄: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웹자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582 최익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홍순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582 최익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1년 11월 21일.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1949 최익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1949 최익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8184&cid=59015&categoryId=59015 최익현]", 네이버캐스트-인물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8184&cid=59015&categoryId=59015 최익현]", 네이버캐스트-인물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
+
[[분류:역사인물]][[분류:인물]]

2017년 11월 29일 (수) 04:14 기준 최신판


최익현(崔益鉉)
Joseon mungwan old.png
대표명칭 최익현
한자표기 崔益鉉
생몰년 1833년 12월 5일-1906년 11월 17일
본관 경주(慶州)
면암(勉菴)
찬겸(贊謙)
출생지 경기도 포천
사망지 일본 대마도
시대 근대
국적 조선
대표저서 『면암집(勉菴集)』
최대(崔岱)
상훈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성격 애국지사



정의

위정척사사상에 따라 일본에 대항한 조선 말기의 애국지사이다.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찬겸(贊謙), 호는 면암(勉菴). 경기도 포천 출신. 대(岱)의 아들이다. 6세 때 입학해 9세 때 김기현(金琦鉉) 문하에서 유학의 기초를 공부하였다.[1]
1855년(철종 6)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성균관 전적(典籍)·사헌부 지평(持平)·사간원 정언(正言)·이조정랑(吏曹正郞) 등을 역임하였다. 수봉관·지방관·언관 등을 역임하며 강직성을 드러내 불의·부정을 척결하여, 관명을 날리고, 1868년(고종 5) 경복궁 중건의 중지, 당백전(當百錢) 발행에 따르는 재정의 파탄 등을 들어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실정(失政)을 상소하여 사간원의 탄핵을 받아 관직을 삭탈당했다.[2]

항일운동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나고 일본의 침략이 노골화되자 고종의 밀지를 받고 상경, 왕의 자문에 응하였고 일본으로부터의 차관(借款) 금지, 외국에 대한 의부심(倚附心) 금지 등을 상소하여 친일 매국도배들의 처단을 강력히 요구하다가 두 차례나 일본 헌병들에 의해 향리로 압송당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창의토적소(倡義討賊疏)〉를 올려 의거의 심경을 토로하고, 8도 사민(士民)에게 포고문을 내어 항일투쟁을 호소하며 납세 거부, 철도 이용 안 하기, 일본상품 불매운동 등 항일의병운동(을사의병)의 전개를 촉구하였다. 74세의 고령으로 임병찬(林秉瓚)·임락(林樂) 등 80여 명과 함께 전북 태인(泰仁)에서 의병을 모집, 〈기일본정부(寄日本政府)〉라는 일본의 배신 16조목을 따지는 ‘의거소략(義擧疏略)’을 배포한 뒤, 순창(淳昌)에서 약 400명의 의병을 이끌고 관군 ·일본군에 대항하여 싸웠으나 체포되었다.
체포된 이후 쓰시마 섬(對馬島)에 유배되었다. 유배지에서 지급되는 음식물을 적(敵)이 주는 것이라 하여 거절, 단식을 계속하다가 유소(遺疏)를 구술(口述), 임병찬에게 초(抄)하여 올리게 하였다. 단식을 중지하였으나 그해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3]

상훈과 추모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최익현의 대의비인 춘추대의비(春秋大義碑)가 현재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관음리에 있다. 제향은 모덕사(慕德祠 : 충청남도 청양군 목면 농암리 소재)와 포천·해주·고창·곡성·순화·무안·함평·광산·구례 등에서 봉향되고 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최익현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최익현 초상(모덕사) 최익현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최익현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최익현 최대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최익현 김기현 A는 B의 제자이다 A ekc:hasMaster B
최익현 을사조약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최익현 지부복궐상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지부복궐상소 강화도조약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최익현 흥선대원군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최익현 을사의병 A는 B를 주도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최익현 임병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최익현 임락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최익현 모덕사 A는 B에 배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춘추대의비 최익현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쓰시마 최익현 A는 B의 사망지이다 A edm:isRelatedTo B
최익현 면암 최익현 유배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79회 최익현(게시일: 2016년 4월 11일)

주석

  1. 홍순창, "최익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1년 11월 21일.
  2. "최익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3. "최익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4. 홍순창, "최익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1년 11월 21일.
  5. "최익현 초상", 『위키백과』online.
  6. 홍대인, "충남도, 최익현 초상‧노혁 왕지 보물 지정 추진", 『타임뉴스』online, 작성일: 2014년 09월 01일.
  7. 김종석, "화순 춘산영당 최익현 초상(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13호)", 작가갤러리, 『문화유산채널』online, 한국문화재재단.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홍순창, "최익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1년 11월 21일.
    • "최익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최익현", 네이버캐스트-인물한국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