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유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34번째 줄: 34번째 줄:
  
 
=='''내용'''==
 
=='''내용'''==
 +
최유청(崔惟淸)의 6세조 최준옹(崔俊邕)은 [[고려 태조|태조]]를 도운 공신(功臣)이며, 아버지 최석(崔奭, 崔錫)은 [[고렴 문종|문종]]·[[고려 순종|순종]]·[[고려 선종|선종]] 3조(三朝)를 섬긴 중신이다.<ref>박성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546 최유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8월 30일.</ref>
 +
 +
[[고려 예종|예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직한림원(直翰林院)이 되었으나 [[고려 인종|인종]] 초 [[이자겸|이자겸(李資謙)]]의 간계로 파직당하였다가 [[이자겸]] 몰락 후 다시 출사(出仕)했다. 좌사간(左司諫)·시어사(侍御使) 등을 역임하고, 1132년([[고려 인종|인종]] 10) 예부원외랑(禮部員外郞) 때 진주사(陳奏使)가 되어 송나라에 다녀왔다. 1142년 간의대부(諫議大夫)로서 금나라에 가 책명(冊命)을 사(謝)하고 돌아와 호부시랑(戶部侍郞)이 되고, 이어 동북면병마부사(東北面兵馬副使)·승선(承宣)이 되었다. 1149년([[고려 의종|의종]] 3) 참지정사판상서형부사(參知政事判尙書刑部事) 등을 거쳐 중서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中書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가 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7408&cid=40942&categoryId=33382 최유청]",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151년 판병부사(判兵部事)를 겸직했으나, 처남인 내시낭중(內侍郎中) [[정서|정서(鄭敍)]]와 왕의 동생 [[대령후 왕경|대령후 왕경(大寧侯 王暻)]]이 참소를 입은 사건에 연루되어 남경유수사(南京留守使)로 좌천되었다. 1157년 [[대령후 왕경|대령후 왕경]]이 천안부(天安府)로 유배될 때 다시 충주목사(忠州牧使)·광주목사(廣州牧使) 등으로 좌천되었다. 1161년 봉원전대학사(奉元殿大學士)가 되었으나, 반대하는 자들이 있어 중서시랑평장사로 치사(致仕)하였다. 1170년 정중부(鄭仲夫)의 난 때 여러 무인들의 보호로 화를 면하였다. [[고려 명종|명종]]이 즉위하자 다시 중서시랑평장사로 제수되고, 1172년([[고려 명종|명종]] 2) 수사공 집현전대학사 판예부사(守司空集賢殿大學士判禮部事)를 끝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ref>박성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546 최유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8월 30일.</ref>
 +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46번째 줄: 50번째 줄:
 
| [[광양 옥룡사 선각국사비]] || [[최유청]]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광양 옥룡사 선각국사비]] || [[최유청]]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시각자료'''==
 
  
 
=='''주석'''==
 
=='''주석'''==
57번째 줄: 59번째 줄: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인물]]
 
[[분류:인물]]
[[분류:승탑/작성중]]
+
[[분류:승탑/검토요청]]

2017년 9월 17일 (일) 17:58 판

최유청(崔惟淸)
대표명칭 최유청
한자표기 崔惟淸
생몰년 1093년(선종 10)-1174년(명종 4)
본관 창원(昌原)
시호 문숙(文淑)
직재(直哉)
시대 고려



정의

고려 중기의 문신.

내용

최유청(崔惟淸)의 6세조 최준옹(崔俊邕)은 태조를 도운 공신(功臣)이며, 아버지 최석(崔奭, 崔錫)은 문종·순종·선종 3조(三朝)를 섬긴 중신이다.[1]

예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직한림원(直翰林院)이 되었으나 인종이자겸(李資謙)의 간계로 파직당하였다가 이자겸 몰락 후 다시 출사(出仕)했다. 좌사간(左司諫)·시어사(侍御使) 등을 역임하고, 1132년(인종 10) 예부원외랑(禮部員外郞) 때 진주사(陳奏使)가 되어 송나라에 다녀왔다. 1142년 간의대부(諫議大夫)로서 금나라에 가 책명(冊命)을 사(謝)하고 돌아와 호부시랑(戶部侍郞)이 되고, 이어 동북면병마부사(東北面兵馬副使)·승선(承宣)이 되었다. 1149년(의종 3) 참지정사판상서형부사(參知政事判尙書刑部事) 등을 거쳐 중서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中書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가 되었다.[2] 1151년 판병부사(判兵部事)를 겸직했으나, 처남인 내시낭중(內侍郎中) 정서(鄭敍)와 왕의 동생 대령후 왕경(大寧侯 王暻)이 참소를 입은 사건에 연루되어 남경유수사(南京留守使)로 좌천되었다. 1157년 대령후 왕경이 천안부(天安府)로 유배될 때 다시 충주목사(忠州牧使)·광주목사(廣州牧使) 등으로 좌천되었다. 1161년 봉원전대학사(奉元殿大學士)가 되었으나, 반대하는 자들이 있어 중서시랑평장사로 치사(致仕)하였다. 1170년 정중부(鄭仲夫)의 난 때 여러 무인들의 보호로 화를 면하였다. 명종이 즉위하자 다시 중서시랑평장사로 제수되고, 1172년(명종 2) 수사공 집현전대학사 판예부사(守司空集賢殿大學士判禮部事)를 끝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3]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최유청 이자겸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최유청 정서 A는 B의 친척이다 A ekc:isLineageKinOf B
광양 옥룡사 선각국사비 최유청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주석

  1. 박성봉, "최유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8월 30일.
  2. "최유청",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박성봉, "최유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8월 30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