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최대섭-고려대장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Back.png|right|thumb|[[민족기록화]]]]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파일:최대섭-고려대장경판각-1977s.jpg|최대섭 「고려대장경」 1977]]
+
{{민족기록화_샘플
 
+
|사진= 최대섭-고려대장경판각-1977s.jpg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
|작품명= 고려대장경
 +
|작가= [[최대섭]]
 +
|제작연도= 1977년
 +
|규격= 300호(197x290.9cm)
 +
|유형= 종교
 +
|분류= 유화
 +
|소장처=미상
 +
|필드수=7
 +
}}
 +
=='''설명'''==
 
현존하는 한역대장경(漢譯大藏經) 가운데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는 것은 바로 팔만대장경으로 알려진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이다.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과 교장(敎藏),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을 통틀어 고려대장경이라고 부른다.
 
현존하는 한역대장경(漢譯大藏經) 가운데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는 것은 바로 팔만대장경으로 알려진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이다.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과 교장(敎藏),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을 통틀어 고려대장경이라고 부른다.
  
9번째 줄: 18번째 줄:
 
고려 고종(高宗) 24년(1237)부터 동 38년(1251) 9월에 이르기까지 16년 동안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의 제작이 이루어졌다. 고려는 대장도감(大藏都監)의 본사(本司)를 강화에 두고 분사(分司)를 남해에 설치하여 판각을 진행하였다. 당시 개태사(開泰寺)의 승통(僧統) 수기(守其)는 북송본과 거란본 및 고려대장경 초조본(初雕本)을 대교하여 오류를 정정하는 경문교감(經文校勘)의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고, 그 교감의 결과를 『교정별록(校正別錄)』 30권에 기록하였다. 이와 같이 고종 대에 완성을 본 고려 재조대장경은 역대의 모든 대장경 중 가장 정확하고 완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재조대장경은 남해의 분사대장도감에서 조성됐으며, 강화도 대장경판당에 보관됐다가 태조 7년(1398) 해인사로 옮겨졌다.
 
고려 고종(高宗) 24년(1237)부터 동 38년(1251) 9월에 이르기까지 16년 동안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의 제작이 이루어졌다. 고려는 대장도감(大藏都監)의 본사(本司)를 강화에 두고 분사(分司)를 남해에 설치하여 판각을 진행하였다. 당시 개태사(開泰寺)의 승통(僧統) 수기(守其)는 북송본과 거란본 및 고려대장경 초조본(初雕本)을 대교하여 오류를 정정하는 경문교감(經文校勘)의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고, 그 교감의 결과를 『교정별록(校正別錄)』 30권에 기록하였다. 이와 같이 고종 대에 완성을 본 고려 재조대장경은 역대의 모든 대장경 중 가장 정확하고 완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재조대장경은 남해의 분사대장도감에서 조성됐으며, 강화도 대장경판당에 보관됐다가 태조 7년(1398) 해인사로 옮겨졌다.
  
==작가==
 
최대섭(崔大燮): 1927년~1991년 서양화가. 전북 남원 출생.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학사. 1956년-1965년 영생고등학교 및 한양공업고등학교 교사. 1988년 군산대학교 미술과 교수.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감사. 1974 한국미협 전국회의장상, 1975 카뉴국제회화제 국가상 수상.
 
  
 +
=='''시각적 안내'''==
 +
*인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3.1독립선언서 추가''))))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
<imagemap>Image:최대섭-독립선언-1976s.jpg|center|900px|그림에서 인물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이동합니다.
 +
poly 437 44 424 51 418 71 424 86 408 97 388 131 388 149 390 170 390 179 444 178 474 177 488 171 493 162 494 151 496 131 485 106 485 95 472 86 460 73 460 55 444 41 444 42 [[손병희]]
 +
poly 533 44 512 58 518 65 518 83 510 89 500 107 498 121 501 143 507 168 510 174 540 174 584 173 607 174 610 164 602 146 596 126 595 114 584 96 574 88 562 84 556 76 558 66 555 50 [[한용운]]
 +
poly 684 132 673 159 675 174 663 178 659 178 647 203 639 212 638 234 639 239 649 233 673 238 682 236 686 234 685 221 692 206 689 192 693 182 699 168 715 160 718 149 717 136 715 128 697 126 690 127 [[백용성]]
 +
poly 724 205 699 205 686 219 690 239 686 256 666 273 647 276 627 273 610 287 622 295 642 300 643 308 662 296 678 300 699 313 706 296 718 268 719 247 726 232 734 221 734 212 [[나인협]]
 +
poly 747 225 730 227 722 239 720 252 720 267 716 276 710 292 696 326 695 332 682 343 704 351 710 352 716 343 724 330 730 316 735 312 730 300 731 279 734 268 742 260 751 256 763 256 766 252 766 244 762 231 754 228 [[양한묵]]
 +
poly 767 260 742 256 738 259 734 262 730 270 730 282 730 288 731 296 734 307 735 315 726 328 720 339 714 348 710 356 710 359 718 360 727 359 738 364 739 379 754 382 758 368 760 356 752 340 746 331 744 324 746 312 746 303 764 299 775 294 782 296 782 280 774 268 766 258 [[박희도]]
 +
poly 287 295 266 295 258 307 262 320 266 331 266 336 254 342 236 362 228 380 218 412 210 452 206 468 206 498 206 511 220 526 234 526 254 524 278 524 298 522 294 502 306 492 304 474 299 455 299 436 310 410 322 378 319 376 308 360 316 354 314 334 318 318 316 302 294 295 [[이승훈]]
 +
poly 83 249 53 256 40 263 40 275 42 282 50 282 64 284 69 288 76 304 84 320 80 334 80 344 93 334 100 324 97 304 96 292 96 286 96 280 96 268 89 264 85 254 84 252 [[오세창]]
 +
poly 209 181 180 174 176 186 176 198 180 204 180 214 180 224 186 238 186 244 184 255 184 262 185 264 188 278 192 296 202 280 216 280 222 284 236 286 252 284 260 284 260 272 252 260 248 247 241 236 233 232 225 231 220 220 212 212 216 196 212 184 [[최린]]
 +
poly 237 144 213 147 212 154 204 162 208 171 208 178 216 182 214 197 216 203 224 213 222 219 226 226 246 229 246 241 254 258 268 270 264 267 280 269 304 269 301 259 306 255 288 231 280 219 265 195 260 183 252 178 248 173 245 155 240 146 238 142 [[임예환]]
 +
poly 279 115 258 110 248 120 252 130 248 140 249 150 248 151 252 159 253 174 264 184 274 196 278 211 284 222 297 231 300 247 309 248 313 240 324 230 329 224 329 215 324 200 320 190 310 176 304 162 296 152 288 142 288 130 282 118 280 116 [[권병덕]]
 +
poly 342 60 322 58 308 62 306 74 316 83 320 95 325 111 342 142 346 151 354 155 356 166 372 171 388 167 384 150 376 142 372 123 368 113 361 103 344 91 349 78 344 61 341 55 [[이갑성]]
 +
</imagemap>
  
==관련 자료==
+
=='''관련 민족기록화'''==
 +
계몽/항일 관련 작품
 
<gallery>
 
<gallery>
파일:Goryeo.jpg | 고려
+
파일:이인영-안융진담판(서희)-1976s.jpg|[[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파일:EastAsia-979.jpg | 10세기 후반의 동아시아
+
파일: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이용환-귀주대첩]]
파일:EastAsia-1215.jpg | 13세기 초의 동아시아
+
파일: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안재후-여진정벌]]
파일:경판.jpg | 고려대장경 판목
+
파일: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파일:장경판전1.jpg | 해인사 장경판전(내부)
+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파일:장경판전2.jpg | 해인사 장경판전(외부)
+
파일: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문학진-쌍성수복]]
파일:이인영-안융진담판(서희)-1976s.jpg|이인영 「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1976
+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파일: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이용환 「귀주대첩」 1975
+
파일:박성환-예성강도-1978s.jpg|[[박성환-예성강도]]
파일: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안재후 「여진정벌」 1975
+
파일:최대섭-고려대장경판각-1977s.jpg|[[최대섭-고려대장경]]
파일: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김서봉 「삼별초의 대몽항전」 1975
+
파일:문학진-고려청자-1977s.jpg|[[문학진-고려청자]]
 +
파일:최대섭-화약제조(최무선)-1979s.jpg|[[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gallery>
 
</gallery>
  
 +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A항목||width="33%"|B항목||width="33%"|관계
 +
|-
 +
|{{PAGENAME}} ||[[최대섭]] || A는 B에 의해 그려졌다
 +
|-
 +
|{{PAGENAME}} ||[[정부기록 보존소]]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PAGENAME}} ||[[고려대장경]]||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
 +
|{{PAGENAME}}||제작연도|| 1977년
 +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
 +
|{{PAGENAME}} ||소장처|| [[정부기록 보존소]]  || 37.419518 || 127.099355
 +
|}
 +
 +
=='''그래프'''==
 +
 +
=='''참고문헌'''==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1981년, 89-94쪽.
 +
 +
=='''주석'''==
  
[[분류:민족기록화]]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종교]]

2017년 3월 9일 (목) 00:17 판


고려대장경
최대섭-고려대장경판각-1977s.jpg
작가 최대섭
제작연도 1977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종교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설명

현존하는 한역대장경(漢譯大藏經) 가운데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는 것은 바로 팔만대장경으로 알려진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이다.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과 교장(敎藏),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을 통틀어 고려대장경이라고 부른다.

초조대장경은 고려(高麗) 현종(顯宗, 1010~1031)대에 외적의 침입을 물리치기 위한 염원으로 1011년부터 북송판 대장경을 받아들여 판각하기(覆刻)하여 1029년에 완성하였다. 그 후 문종(文宗, 1047~1082)대에 거란 대장경[契丹大藏經]이 유입되자 북송판 대장경에 수록되지 않은 경전들을 간행하여 1087년에 완성함으로써 초조대장경의 정장(正藏)이 완성되었다. 그리고 대각국사 의천(義天)이 20여 년 동안 중국, 일본, 우리나라 제가의 장서 1000여 부 5000여 권을 수집하여 분류 정리하고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의 목록을 편찬하였고, 이에 의거하여 초조대장경의 속장(續藏)인 고려 교장(敎藏)을 간행하였다. 그러나 팔공산(八公山) 부인사(符仁寺)에 보관되어 있던 초조재장경의 경판(經板)은 1232년 몽골의 침입으로 모두 소실되었다.

고려 고종(高宗) 24년(1237)부터 동 38년(1251) 9월에 이르기까지 16년 동안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의 제작이 이루어졌다. 고려는 대장도감(大藏都監)의 본사(本司)를 강화에 두고 분사(分司)를 남해에 설치하여 판각을 진행하였다. 당시 개태사(開泰寺)의 승통(僧統) 수기(守其)는 북송본과 거란본 및 고려대장경 초조본(初雕本)을 대교하여 오류를 정정하는 경문교감(經文校勘)의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고, 그 교감의 결과를 『교정별록(校正別錄)』 30권에 기록하였다. 이와 같이 고종 대에 완성을 본 고려 재조대장경은 역대의 모든 대장경 중 가장 정확하고 완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재조대장경은 남해의 분사대장도감에서 조성됐으며, 강화도 대장경판당에 보관됐다가 태조 7년(1398) 해인사로 옮겨졌다.


시각적 안내

손병희한용운백용성나인협양한묵박희도이승훈오세창최린임예환권병덕이갑성그림에서 인물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이동합니다.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계몽/항일 관련 작품

관련항목

A항목 B항목 관계
최대섭-고려대장경 최대섭 A는 B에 의해 그려졌다
최대섭-고려대장경 정부기록 보존소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최대섭-고려대장경 고려대장경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최대섭-고려대장경 제작연도 1977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최대섭-고려대장경 소장처 정부기록 보존소 37.419518 127.099355

그래프

참고문헌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1981년, 89-94쪽.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