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청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주석)
12번째 줄: 12번째 줄:
  
 
=='''정의'''==
 
=='''정의'''==
건(巾)은 주로 궁궐 안의 말직(末職) 관리들이 쓰던 것으로, 소속 관서에 따라 색이 다르다.  
+
건(巾)은 주로 궁궐 안의 말직(末職) 관리들이 쓰던 것으로, 소속 관서에 따라 색이 다르다.<ref>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17쪽</ref>
  
 
=='''내용'''==
 
=='''내용'''==
18번째 줄: 18번째 줄:
  
 
===착용신분===
 
===착용신분===
 +
궁궐 안의 말직(末職) 관리들이 쓴다.
  
 
===착용상황===
 
===착용상황===
 
===형태===
 
===형태===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는 건이 다량(청(靑) : 96점, 황(黃) : 186점, 홍(紅) : 50점) 소장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무명을 두 겹으로 해서 만든 직사각형의 자루 모양인데, 겉감과 안감 사이에는 심(芯)을 넣어 빳빳하게 되어 있다. 착용할 때는 속으로 접혀진 양옆 하단부의 매듭끈으로 매도록 되어 있다. 또 대부분 정수리에 솜뭉치를 넣어서 만든 직경 1.2㎝ 정도의 무명 소색(素色) 방울이 동일한 간격으로 3개씩 달려있다.<ref>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1981) 朝鮮時代 宮中服飾, p. 17.</ref>
+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는 건이 다량(청(靑) : 96점, 황(黃) : 186점, 홍(紅) : 50점) 소장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무명을 두 겹으로 해서 만든 직사각형의 자루 모양인데, 겉감과 안감 사이에는 심(芯)을 넣어 빳빳하게 되어 있다. 착용할 때는 속으로 접혀진 양옆 하단부의 매듭끈으로 매도록 되어 있다. 또 대부분 정수리에 솜뭉치를 넣어서 만든 직경 1.2㎝ 정도의 무명 소색(素色) 방울이 동일한 간격으로 3개씩 달려있다.<ref>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17쪽</ref>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의 건 유물을 참고하여 청건의 형태도 동일하게 보았다. 참조 반차도 및 의궤 반차도에 표현되어 있는 청의나 홍의를 입는 신분들은 건의 색이 의(衣)와 동일하게 표현되어 있으므로 청의와 동일한 색으로하여 청건을 일러스트로 구현하였다. 유물과 같이 접히는 부분에 턱에 매는 끈을 건의 색과 동일하게 표현하고 정수리에 소색의 솜뭉치 3개도 유물을 참고하여 표현하였다.
 
  
 
===기타===
 
===기타===

2017년 7월 23일 (일) 23:26 판


청건
(靑巾)
대표명칭 청건
한자표기 靑巾
착용성별 남성



정의

건(巾)은 주로 궁궐 안의 말직(末職) 관리들이 쓰던 것으로, 소속 관서에 따라 색이 다르다.[1]

내용

복식세부

착용신분

궁궐 안의 말직(末職) 관리들이 쓴다.

착용상황

형태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는 건이 다량(청(靑) : 96점, 황(黃) : 186점, 홍(紅) : 50점) 소장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무명을 두 겹으로 해서 만든 직사각형의 자루 모양인데, 겉감과 안감 사이에는 심(芯)을 넣어 빳빳하게 되어 있다. 착용할 때는 속으로 접혀진 양옆 하단부의 매듭끈으로 매도록 되어 있다. 또 대부분 정수리에 솜뭉치를 넣어서 만든 직경 1.2㎝ 정도의 무명 소색(素色) 방울이 동일한 간격으로 3개씩 달려있다.[2]

기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17쪽
  2.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17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