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천칠봉-경지정리

Encyves Wiki
AKS장동룡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26일 (일) 14:51 판 (관계정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천칠봉-경지정리
천칠봉-경지정리-1973s.jpg
작가 천칠봉
제작연도 1973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경제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새마을운동의 열기와 정부의 대단위 농업종합개발사업 추진으로 질서정연하게 변해버린 경지 모습을 그린 천칠봉의 민족기록화.

설명

작품 소재

박정희(朴正熙, 1917~1979)정권 시기 전개되었던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역점 과제는 크게 생활환경 개선, 소득증대, 의식개혁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시기적으로는 1970~1973년 기반조성 단계, 1974~1976년 사업확산 단계, 1977~1979년 사업심화 단계로 나누어 구체적인 사업이 진행되었다.
경지정리사업(耕地整理)이란 농업상의 토지이용이익(土地利用利益)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정책적으로 실시되는 토지 및 농업용수 이용의 합리화를 위한 제반 사업을 가르키는 말로 토지개량(土地改良)이라고도 한다.[1]
우리나라는 산악(山岳)이 많고 국토 면적의 2/3가 산지(山地)로 논밭의 크기와 모양이 불규칙하여 합리적인 농업경영이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경지정리의 목적은 농경지를 소유자별로 집단화(集團化)하고, 불규칙한 모양의 논배미를 표준화(標準化)하여, 각종 영농장비의 출입과 영농자재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관개(灌漑) 및 배수(排水) 등의 물 관리와 기타 영농관리를 원활하게 하려는 데 있다.[2]
1970년 2월부터는 농촌근대화촉진법(農村近代化促進法)에 따라 사업비의 50% 국고에서 보조하였다. 외국차관자금으로 개발·정비한 금강(錦江)·평택(平澤)지구를 기준으로 하여 농촌지역 경지정리사업의 내실화를 기하게 되었다.[3]

작품 배경

경지정리사업으로 기계화 영농이 가능해진 충청남도 논산 들녘에서 가을걷이를 하는 풍경이다.

그림 읽기

트랙터천칠봉-경지정리-1973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천칠봉-경지정리 천칠봉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천칠봉-경지정리 한국학중앙연구원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천칠봉-경지정리 경지정리사업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새마을운동 농촌근대화촉진법 A는 B와 관계가 있다 A edm:isRelatedTo B
농촌근대화촉진법 경지정리사업 A는 B와 관계가 있다 A edm:isRelatedTo B
농촌근대화촉진법 농업진흥공사 A는 B와 관계가 있다 A edm:isRelatedTo B
농어촌정비법 경지정리사업 A는 B와 관계가 있다 A edm:isRelatedTo B
경지정리사업 환지처분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경지정리사업 구획정리사업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경지정리사업 기계화영농 A는 B와 관계가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3년 천칠봉천칠봉-경지정리를 제작하였다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한국학중앙연구원천칠봉-경지정리를 대여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3310 127.053596 한국학중앙연구원천칠봉-경지정리를 대여하였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경지정리", 『매일경제』, 1970년 12월 11일.
  2. 김태수, "경지정리사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경지정리", 『doopedia』online, 두산백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
  2. 웹자원
    • 김태수, "경지정리사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경지정리", 『doopedia』online,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