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액"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내용)
14번째 줄: 14번째 줄:
  
 
=='''내용'''==
 
=='''내용'''==
제액(題額)은 서체에 따라 [[전서|전서(篆書)]]로 쓴 것을 전액(篆額)<ref>전자(篆字)로 쓴 비갈(碑碣)이나 현판의 제액</ref>, [[예서|예서(隷書)]]로 쓴 것을 예액(隷額)이라 하기도 한다. 또한 비신의 상단에 가로로 돌려가며 새긴 것을 횡액(橫額), 앞면에 세로로 쓴 것을 종액(縱額)이라 한다. 횡액을 쓰는 경우, 비문은 대개 뒷면에서 시작하여 끝나지만 짧은 명문(銘文)은 종액의 좌우에 나누어 새기기도 한다.<ref>조동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072 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제액(題額)은 서체에 따라 [[전서|전서(篆書)]]로 쓴 것을 전액(篆額), [[예서|예서(隷書)]]로 쓴 것을 예액(隷額)이라 하기도 한다. 또한 비신의 상단에 가로로 돌려가며 새긴 것을 횡액(橫額), 앞면에 세로로 쓴 것을 종액(縱額)이라 한다. 횡액을 쓰는 경우, 비문은 대개 뒷면에서 시작하여 끝나지만 짧은 명문(銘文)은 종액의 좌우에 나누어 새기기도 한다.<ref>조동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072 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시각자료'''==
 
=='''시각자료'''==

2017년 10월 2일 (월) 21:22 판

제액
(題額)
대표명칭 제액
한자표기 題額
관련개념 탑비, 이수



정의

비신(碑身)의 상단부 또는 이수(螭首)에 새긴 비의 명칭.[1]

내용

제액(題額)은 서체에 따라 전서(篆書)로 쓴 것을 전액(篆額), 예서(隷書)로 쓴 것을 예액(隷額)이라 하기도 한다. 또한 비신의 상단에 가로로 돌려가며 새긴 것을 횡액(橫額), 앞면에 세로로 쓴 것을 종액(縱額)이라 한다. 횡액을 쓰는 경우, 비문은 대개 뒷면에서 시작하여 끝나지만 짧은 명문(銘文)은 종액의 좌우에 나누어 새기기도 한다.[2]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조동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조동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조동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왕직, 『알기 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온라인 참조: "부도비",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