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씨부인 원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대표명칭= 정씨부인 원정 |한자명칭= |로마자명칭= |영문명칭= An appeal of Kim, a widow of Yi Heungseon |작자= 정씨부...)
 
22번째 줄: 22번째 줄:
  
 
==개요==
 
==개요==
전주동에 사는 [[이흥선]] [[과부 정씨]]올린 원정(原情)이다.
+
1876년 윤5월에 공주 정안면 도현리에 사는 [[미망인 정씨]][[공주관아]]올린 원정(原情)이다.
  
  
 
==내용==
 
==내용==
전주동에 사는 [[이흥선]] [[과부 정씨]]올린 원정(原情)이다. 정씨는 전라도 부안 석교에 여러 해 동안 살아왔는데, 재작년 가을에 [[낙장부]]로 이사하면서 석교에 있는 1만 8천 냥의 가사와 전답을 나누어 팔려고 하였다. 당시 [[김이조]]가 1만 냥에 모두 구매하는 조건으로 문서를 작성했으나 3천 냥만 주고 나머지 돈을 지불하지 않았다. 또한 정씨는 [[김이조]]에게 1천 냥에 노비를 팔았는데, [[김이조]]는 정씨에게 1천 냥을 주지 않으려고 정씨의 조카 [[김방충]], 시숙 [[이각선]]과 모의하였다. 정씨는 이러한 사정을 [[장성관아]]에 정소했으나 [[김이조]]가 장성의 관원에게 뇌물을 주어 매수했고, [[장성관아]]에서는 친인척을 정소하는 것이 잘못된 일이라 하여 도리어 남편 [[이흥선]]을 장형에 처해 죽게 하였다. 신임 사또가 부임한 이후에 정씨는 전후의 억울한 사정에 대하여 원정을 올려 [[김이조]]와 장성의 관원, [[김방충]]을 처벌하고 지난해 도지(賭地)와 노비를 방매한 돈을 분간해서 받아줄 것을 요청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70쪽.</REF>
+
1876년 윤5월에 공주 정안면 도현리에 사는 [[미망인 정씨]][[공주관아]]올린 원정(原情)이다. 정씨는 자식과 손자가 다 죽어 선조의 제사를 받들 사람이 없어서 일가 가운데 한 사람을 계후로 삼았다. 그런데 친척 조카 [[신낙균]](申洛均)이 종가의 재산에 욕심을 내어 계후자를 파양(罷養)시키고 자신의 손자로 계후하였다. [[신낙균]]은 문서를 위조하여 정씨가 생전에 마련한 전답(田畓), 봉사조의 전답, 손녀에게 분재해 준 전답 등을 모두 팔아버렸다. 이에 정씨는 지난 번에 감영에 의송을 올린 결과, [[신낙균]]이 도둑질하여 팔아버린 전답을 모두 찾아주고, 이후의 폐단을 막기 위하여 입지를 성급해 주라는 감영의 처분을 받았다. 병자년(1876)에 정씨는 다시 공주의 관아에 원정을 올려서 자신이 방매하거나 분재한 전답에 대하여 입지를 성급해 주고 [[신낙균]]이 이후 흉악한 일을 못하도록 수표를 받아 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에 대하여 관에서는 감영의 제사(題辭)에 따라 입지를 성급해 주라는 처분을 내렸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70쪽.</REF>
  
  
35번째 줄: 35번째 줄:
 
|{{PAGENAME}} ||편찬자||정씨부인
 
|{{PAGENAME}} ||편찬자||정씨부인
 
|-
 
|-
|{{PAGENAME}} ||인물||이흥선
+
|{{PAGENAME}} ||인물||신낙균
 
|-
 
|-
|{{PAGENAME}} ||인물||김이조
+
|{{PAGENAME}} ||지명||공주관아
|-
 
|{{PAGENAME}} ||인물||김방충
 
|-
 
|{{PAGENAME}} ||인물||이각선
 
|-
 
|{{PAGENAME}} ||지명||낙장부
 
|-
 
|{{PAGENAME}} ||지명||장성관아
 
 
|-
 
|-
 
|{{PAGENAME}} ||소장처||우리한글박물관
 
|{{PAGENAME}} ||소장처||우리한글박물관

2017년 2월 3일 (금) 19:23 판

정씨부인 원정
영문명칭 An appeal of Kim, a widow of Yi Heungseon
작자 정씨부인
간행시기 1876년(고종13)
소장처 우리한글박물관
유형 고문서
크기(세로×가로) 97.5×56.0㎝
판본 필사본
수량 1장
표기문자 한글



개요

1876년 윤5월에 공주 정안면 도현리에 사는 미망인 정씨공주관아에 올린 원정(原情)이다.


내용

1876년 윤5월에 공주 정안면 도현리에 사는 미망인 정씨공주관아에 올린 원정(原情)이다. 정씨는 자식과 손자가 다 죽어 선조의 제사를 받들 사람이 없어서 일가 가운데 한 사람을 계후로 삼았다. 그런데 친척 조카 신낙균(申洛均)이 종가의 재산에 욕심을 내어 계후자를 파양(罷養)시키고 자신의 손자로 계후하였다. 신낙균은 문서를 위조하여 정씨가 생전에 마련한 전답(田畓), 봉사조의 전답, 손녀에게 분재해 준 전답 등을 모두 팔아버렸다. 이에 정씨는 지난 번에 감영에 의송을 올린 결과, 신낙균이 도둑질하여 팔아버린 전답을 모두 찾아주고, 이후의 폐단을 막기 위하여 입지를 성급해 주라는 감영의 처분을 받았다. 병자년(1876)에 정씨는 다시 공주의 관아에 원정을 올려서 자신이 방매하거나 분재한 전답에 대하여 입지를 성급해 주고 신낙균이 이후 흉악한 일을 못하도록 수표를 받아 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에 대하여 관에서는 감영의 제사(題辭)에 따라 입지를 성급해 주라는 처분을 내렸다.[1]


관련항목

중심 연결정보 대상
정씨부인 원정 편찬자 정씨부인
정씨부인 원정 인물 신낙균
정씨부인 원정 지명 공주관아
정씨부인 원정 소장처 우리한글박물관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정씨부인 원정 간행년 1876년
정씨부인 원정 간행년 고종13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정씨부인 원정 소장처 우리한글박물관 37.074883 127.858322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7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