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도전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도전(鄭道傳)
대표명칭 정도전
한자표기 鄭道傳
생몰년 1342-1398
본관 봉화(奉化)
삼봉(三峰)
종지(宗之)
출생지 충청도 단양 삼봉(三峰)
시대 조선
대표저서 조선경국전, 고려국사, 경제문감, 학자지남도, 팔진36변도보 등
대표직함 지경연예문춘추관사, 겸의흥친군위절제사
정운경(鄭云敬)
성격 정치가, 학자
유형 인물



정의

고려 말 조선 초의 정치가이자 학자이다.

내용

가계

정도전의 본관은 봉화(奉化)이고 자는 종지(宗之)이며 호는 삼봉(三峰)이다. 봉화호장 정공미(鄭公美)의 고손자로, 아버지는 형부상서 정운경(鄭云敬)이다. [1] 1342년 고려 충혜왕 3년 경상북도 영주에서 밀직제학 형부상서를 지낸 정운경(鄭云敬)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출생한 곳은 충청도 단양이다. [2] 아버지와 이곡(李穀)의 교우관계가 인연이 되어, 이곡의 아들 이색(李穡)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정몽주(鄭夢周)·박상충(朴尙衷)·박의중(朴宜中)·이숭인(李崇仁)·이존오(李存吾)·김구용(金九容)·김제안(金齊顔)·윤소종(尹紹宗) 등과 교유하였다.[3]

관직 진출

1360년(고려 공민왕 9) 성균시에 합격하고, 2년 후에 동 진사시에 합격해 충주사록(忠州司錄)·전교주부(典校注簿)·통례문지후(通禮門祗候)를 역임하였다. [4] 1370년 성균박사가 되고 이어 태상박사(太常博士)를 거쳐 예조정랑 겸 성균태상박사가 되어 전선(銓選)을 관장하였다. 1375년(우왕 1) 성균사예(成均司藝)·지제교(知製敎) 등을 역임하였다. 권신(權愼), 이인임(李仁任)·경복흥(慶復興) 등의 친원파 권문세족들과 정치적으로 대립했다. 정도전은 친명(親明)정책을 주장하였다가 친원파에게 공격을 받아 회진현(會津縣, 현 전라남도 나주)에 유배되었다. 1377년 유배형을 마치고 고향 경상도 영주(榮州)에서 학문연구와 후진교육에 종사하였다. 특히 주자학적 입장에서 불교배척론을 체계화하였다. [5]

이성계와의 만남

1383년 함경도 함주에 있는 동북면도지휘사(都指揮使) 이성계(李成桂)를 찾아가 그의 막료가 되었다. 1384년 성절사(聖節使) 정몽주(鄭夢周)가 명나라로 가게 되자 그의 추천으로 서장관이 되어 명(明)나라에 다녀오면서 다시 정계에 복귀하였다. 1385년 성균제주(成均祭酒), 이듬해 남양부사(南陽府使)로 있다가 1388년 이성계의 천거로 성균대사성(成均大司成)에 승진하였다. 이성계의 우익으로서 조준(趙浚)과 함께 전제개혁론을 주장하였다. [6]

새 왕조를 위해

1389년 이성계·심덕부(沈德符)·지용기(池湧奇)·정몽주·설장수(偰長壽)·성석린(成石璘)·조준·박위(朴葳) 등과 모의해 폐가입진(廢假立眞)의 명분을 내걸어 창왕을 폐위하고 공양왕을 옹립해 좌명공신(佐命功臣: 中典功臣)에 봉해지고, 삼사우사(三司右使)·지경연사(知經筵事)를 지냈다. 그 뒤 정당문학(政堂文學)으로서 성절사 겸 변무사(聖節使兼辨誣使)가 되어 명나라에 가서 윤이(尹彛)·이초(李初)의 무고사건을 해결하고 돌아와 동판도평의사사 겸 성균관대사성(同判都評議使司兼成均大司成)이 되었다. 그리고 1391년 삼군도총제부 우군총제사(三軍都摠制府右軍摠制使)가 되어 병권을 장악하였다.[7] 이성계가 군사권을 장악하여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를 설치하자 우군총제사(右軍摠制使)가 되고 이어 정당문학(政堂文學)으로 재직하던 중, 구세력의 역습으로 탄핵을 받아 관직을 박탈당하고 봉화로 유배되었다. 1392년 한때 풀렸다가 정몽주의 탄핵으로 다시 투옥되었다. 정몽주가 살해된 뒤 풀려나와 조준·남은(南誾) 등과 함께 이성계를 추대, 조선 건국의 주역이 되었다. [8]

조선의 기틀을 마련

조선의 개국공신으로 분의좌명개국공신(奮義佐命開國功臣) 1등에 녹훈되고, 문하시랑찬성사(門下侍郞贊成事)·예문춘추관사(藝文春秋館事)에 임명되어 사은 겸 정조사(謝恩兼正朝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394년(태조 3) 한양천도 때는 궁궐과 종묘의 위치 및 도성의 기지를 결정하고 궁·문의 모든 칭호를 정했다.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을 찬진하여 법제의 기본을 이룩하게 하고 1395년 정총(鄭摠) 등과 『고려국사(高麗國史)』 37권을 찬진했으며, 지방행정 방법을 기술한 『감사요약』을 만들었다. 1397년 동북면도선무순찰사(都宣撫巡察使)가 되어 성을 수축하고 역참(驛站)을 신설했다. 제1차 왕자의 난이방원(李芳遠)에게 피살되었다. [9]

평가와 저서

유학(儒學)의 대가로 개국 후 군사·외교·행정·역사·성리학 등 여러 방면에서 활약하였고, 척불숭유(斥佛崇儒)를 국시로 삼게 하여 유학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글씨에도 뛰어났으며 저서에 『삼봉집(三峰集)』, 『경제문감(經濟文鑑)』, 『심기리편(心氣理篇)』, 『불씨잡변(佛氏雜辨)』, 『심문천답(心問天答)』, 『진법서(陳法書)』, 『금남잡제(錦南雜題)』 등이 있다. 그 밖의 작품에 『납씨가(納氏歌)』, 『정동방곡(靖東方曲)』, 『문덕곡』, 『신도가(新都歌)』 등이 있다. [10]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운경 정도전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정도전 정공미 A는 B의 후손이다 A ekc:hasDescendant B
정도전 정몽주 A는 B의 동문이다 A ekc:isFellowOf B
정도전 이숭인 A는 B의 동문이다 A ekc:isFellowOf B
정도전 조선 태조 A는 B의 신하이다 A ekc:isSubjectOf B
정도전 좌명공신(1389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도전 조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도전 남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도전 조선 태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도전 삼봉집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정도전 불씨잡변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주석

  1. 한영우, "정도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정도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한영우, "정도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한영우, "정도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정도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정도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7. 한영우, "정도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정도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9. "정도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0. "정도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한영우, "정도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정도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더 읽을 거리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국역 고려사: 열전』, 경인문화사, 2006. 온라인 참조: "정도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정도전", 인물한국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