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Encyves Wiki
서소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21일 (화) 23:48 판 (지식관계망)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傳) 原州 興法寺址 廉居和尙塔)
BHST heungbeobsaji Yeomgeo stupa front resolution.jpg
대표명칭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영문명칭 Stupa of Buddhist Monk Yeomgeo from Heungbeopsa Temple Site, Wonju (Presumed)
한자 (傳) 原州 興法寺址 廉居和尙塔
문화재 지정번호 국보 제104호
문화재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소유자 국유
관리자 국립중앙박물관
크기 높이 1.7m
관련승려 염거(廉居)



정의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흥법사(興法寺) 터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신라시대의 고승 염거(廉居, ?-844)승탑.

내용

역사

통일신라 말의 승려 염거화상(廉居和尙)의 사리탑이다.[1]

원래 강원도 흥법사(興法寺) 터에 서 있었다고 하나, 이에 대한 확실한 근거가 없기 때문에 탑이름 앞에 ‘전(傳:∼라 전하다)’자를 붙이게 되었다.[2] 1914년경 일본인들이 불법으로 원래의 위치에서 서울 탑골공원으로 옮겼다고 하며, 이후 경복궁(景福宮)으로 다시 옮겨졌다. 1986년 옛 국립중앙박물관(현재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이전되어 있다가, 2005년 용산에 새롭게 국립중앙박물관이 개관함에 따라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3][4]

탑지

승탑을 탑골공원에서 경복궁(景福宮)으로 옮길 때 금동(金銅)으로 된 탑지(塔誌)[5]가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844년(문성왕 6)에 이 탑이 세워졌음이 밝혀졌다.[6][7]

이 탑지는 2015년 보물 제1871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국립춘천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8]

팔각원당형 승탑

염거화상탑(廉居和尙塔)은 한국의 승탑 형태 중 가장 흔한 형태인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의 시초로 여겨진다.[9] 이후 신라에서 고려에 걸쳐 고승의 승탑은 대부분이 팔각원당형을 기본형으로 두고 있으며,[10]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和順 雙峯寺 澈鑒禪師塔), 여주 고달사지 승탑(驪州 高達寺址 僧塔) 등이 있다.[11]

이 승탑을 경복궁(景福宮)으로 옮기기 이전에 촬영한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 사진을 보면, 옥개석 정상에 3석의 상륜부(相輪部)가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12] 현재 남아있는 탑의 구조를 살펴보면 기단(基壇)[13]과 탑신(塔身)[14], 지붕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단 밑부분과 상륜부는 없어졌다.[15]

사천왕상

이 승탑 형태에서 주목되는 것은 탑신(塔身)에 새겨진 사천왕상(四天王像)으로 이 탑은 탑신에 부조상이 등장하는 첫 예가 된다. 사천왕은 부처님을 호위하는 신중(神衆)[16]으로 선사의 묘탑인 승탑에 사천왕이 표현된 것은 선사를 부처와 같이 동등하게 생각했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 특히 가장 예술적으로 뛰어난 승탑이 많이 조성된 신라 말, 고려 초까지는 이 염거화상탑(廉居和尙塔)을 따라 대부분 탑신에 사천왕이 등장하고 있으며 뛰어난 조각 솜씨를 보인다.[17]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和順 雙峯寺 澈鑒禪師塔)(868년),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884년),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南原實相寺秀澈和尙塔)(894년) 등이 사천왕상이 부조된 승탑의 대표적인 예이다.[18]

지식관계망

  • 가지산문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염거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원주 흥법사지 A는 B에 있었다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경복궁 A는 B에 있었다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있다 2005년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사천왕 A는 B와 관련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2.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3. 정영호,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염거화상탑", 미술작품,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탑을 세우게 된 내력이나 시주자 등의 이름을 적은 글로 탑 내부에서 발견된다. 주로 금속이나 돌에 새겨 넣는 경우가 많은데, 탑의 제작 연대를 아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솔출판사 편집부, 『한국 미의 재발견 - 용어 모음』, 솔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탑지",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정영호,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국립중앙박물관.
  8. "동제염거화상탑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9. "팔각원당형 승탑",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0. 정영호,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1. "팔각원당형 승탑",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2. 정영호,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3. 건축물의 기초가 되는 단
  14. 탑기단과 상륜(相輪) 사이 탑의 몸
  15.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국립중앙박물관.
  16. 화엄신장(華嚴神將)과 같은 의미. 화엄경을 보호하는 신장.
  17. 정영호,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8. 문명대, "사천왕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9. 동제염거화상탑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

  • 강삼혜, 「나말여초 승탑 탑신 신장상 연구」, 『미술사학연구』 No.252, 한국미술사학회, 2006, 81-11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