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전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이미지= |사진출처= |대표명칭= 전립 |한자표기= 面紗 |이칭별칭= |복식구분= 관 및 쓰개 |착용신분= ...)
 
잔글 (정의)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이미지=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전립01 민박.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대표명칭= 전립
 
|대표명칭= 전립
|한자표기= 面紗
+
|한자표기= 戰笠
|이칭별칭=  
+
|이칭별칭= 전립(氈笠), 모립(毛笠)
|복식구분= 관 및 쓰개
+
|구분= 관 및 쓰개
|착용신분= [[왕]], [[왕세자]], [[왕세손]], [[무관]]
+
|착용신분= [[왕]], [[왕세자]], [[왕세손]], [[백관]]
|착용성별= 여성
+
|착용성별= 남성
|관련복식= [[동다리]], [[전대]]
 
|필드수= 10
 
 
}}
 
}}
  
==정의==
+
=='''정의'''==
짐승의 털을 다져서 담()을 만들어 모자골에 씌워 형태를 만든 입자로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23쪽.</ref>
+
조선의 [[왕]], [[왕세자]], [[왕세손]], [[백관]]이 군사(軍事)가 있거나 능에 행차할 때 군복에 갖추어 착용한 관모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08쪽.</ref>
  
==내용==
+
=='''내용'''==
===복식구성===
+
짐승의 털을 다져서 만든 담(毯)을 모자골에 씌워 형태를 만든 입자(笠子)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24쪽.</ref> 정수리를 덮는 돔형의 모자(帽子)와 차양의 역할을 하는 테두리인 양태(凉太)로 구성된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08쪽.</ref> 모자 정수리에는 쟁자(鏳子)를 계급에 따라 달고, 공작 깃털[孔雀尾]과 상모(象毛)를 걸어 늘어뜨리며, 양옆에는 밀화(蜜花)로 만든 매미 장식을 붙인다.<ref>석주선, 『冠帽와 首飾』, 단국대학교출판부, 1993, 202쪽.</ref> 양태 안쪽에는 남색 운문단으로 꾸미고 밀화로 만든 끈을 달았다. 조선 말기에는 가볍고 화려한 것이 유행하여 말총으로 만든 [[엽립|엽립(鬣笠)]]이나 가는 대나무를 만든 [[죽전립|죽전립(竹戰笠)]]도 등장하였다. 여기에 모자 정수리에 옥으로 만든 장식[玉鷺]을 단 것을 [[옥로립]]이라 하였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24쪽.</ref> [[백관]] 중 무관의 관모이며, 문관도 조선 말기까지 [[왕]]이 궁궐 밖 행차를 수행할 때 등의 상황에서 [[백관의 군복]]의 일습으로 [[전립]]을 착용하였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24쪽.</ref>
모정에는 쟁자(鏳子)를 계급에 따라 달고, 공작미(孔雀尾)와 상모(象毛)를 걸어 늘어뜨리며, 양옆에는 밀화(蜜花)로 만든 매미 장식을 붙인다.<ref>석주선, 『冠帽와 首飾』, 단국대학교출판부, 202쪽.</ref>
 
  
===착용신분===
+
=='''지식 관계망'''==
[[왕]], [[왕세자]], [[왕세손]], [[무관]]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왕실에서는 [[가례]]시와 같이 의례용이나 외출시 사용한다.<br/>
 
민간에서는 조선전기에는 외출 시 내외용 반드시 며사를 드리워야 했으며 조선후기에는 외출용 쓰개로 사용된 예는 나타나지 않고, 혼례시 신부가 착용한 사실만 기록으로 남아있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300쪽.</ref>
 
 
 
===형태===
 
사각 보자기 모양이며 금박으로 길상 무늬를 입혀 장식한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23쪽.</ref><br/>
 
머리 위에 얹어 어깨를 가릴 정도의 길이이다.
 
 
 
===기타===
 
대비 이하 세손빈까지 자적색 면사를 쓰고, 숙의·공주·옹주는 남색을 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23쪽.</ref><br/>
 
전해지는 면사 유물들은 흑색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항목A!!항목B!!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PAGENAME}}''' || [[왕비]]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 전립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세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세자]] || 전립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세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백관]] || 전립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PAGENAME}}'''  || [[홍장삼]] || A는 B에 착용한다
+
| [[왕의 군복]] || 전립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 [[왕세자의 군복]] || 전립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군복]] || 전립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전립 || [[동다리]]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시간정보===
 
===시간정보===
  
 
===공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전립02 민박.jpg | 조선시대 전립.<ref>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전립01-1 민박.jpg | 조선시대 전립 착용 모습.<ref>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ref>
 
</gallery>
 
</gallery>
  
 
===영상===
 
===영상===
  
==주석==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 姜淳弟, 「笠制의 變遷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4.
===더 읽을거리===
+
* 姜淳弟, 「韓國 笠制의 變遷에 關한 硏究」, 『服飾』 1권, 한국복식학회, 1977.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유용한 정보===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金正子, 「韓國軍服의 變遷硏究」, 『대한가정학회지』 제24권 4호, 대한가정학회, 1986.
 +
* 金賢舜, 「軍服에 對한 硏究 -具軍服을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
* 柳喜卿, 「우리나라의 冠帽」, 『대한가정학회지』 제4권, 대한가정학회, 1963.
 +
* 문광희, 「조선 후기 甲胄 및 具軍服에 관한 연구-부산 忠烈祠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제7권 1호, 한복문화학회, 2004.
 +
* 석주선, 『冠帽와 首飾』, 단국대학교출판부, 1993.
 +
* 이혜영, 「어가행렬에 나타난 의장병의 복식에 관한 연구 –정조의 화성행차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 任明美, 「介胄와 軍服과 戎服에 관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3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79.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식]]
 
[[분류:복식]]

2017년 12월 17일 (일) 16:41 기준 최신판


전립
(戰笠)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대표명칭 전립
한자표기 戰笠
이칭별칭 전립(氈笠), 모립(毛笠)
구분 관 및 쓰개
착용신분 , 왕세자, 왕세손, 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의 , 왕세자, 왕세손, 백관이 군사(軍事)가 있거나 능에 행차할 때 군복에 갖추어 착용한 관모이다.[1]

내용

짐승의 털을 다져서 만든 담(毯)을 모자골에 씌워 형태를 만든 입자(笠子)이다.[2] 정수리를 덮는 돔형의 모자(帽子)와 차양의 역할을 하는 테두리인 양태(凉太)로 구성된다.[3] 모자 정수리에는 쟁자(鏳子)를 계급에 따라 달고, 공작 깃털[孔雀尾]과 상모(象毛)를 걸어 늘어뜨리며, 양옆에는 밀화(蜜花)로 만든 매미 장식을 붙인다.[4] 양태 안쪽에는 남색 운문단으로 꾸미고 밀화로 만든 끈을 달았다. 조선 말기에는 가볍고 화려한 것이 유행하여 말총으로 만든 엽립(鬣笠)이나 가는 대나무를 만든 죽전립(竹戰笠)도 등장하였다. 여기에 모자 정수리에 옥으로 만든 장식[玉鷺]을 단 것을 옥로립이라 하였다.[5] 백관 중 무관의 관모이며, 문관도 조선 말기까지 이 궁궐 밖 행차를 수행할 때 등의 상황에서 백관의 군복의 일습으로 전립을 착용하였다.[6]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전립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 전립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백관 전립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의 군복 전립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군복 전립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군복 전립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전립 동다리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08쪽.
  2.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24쪽.
  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08쪽.
  4. 석주선, 『冠帽와 首飾』, 단국대학교출판부, 1993, 202쪽.
  5.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24쪽.
  6.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24쪽.
  7.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8.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姜淳弟, 「笠制의 變遷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4.
  • 姜淳弟, 「韓國 笠制의 變遷에 關한 硏究」, 『服飾』 1권, 한국복식학회, 1977.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金正子, 「韓國軍服의 變遷硏究」, 『대한가정학회지』 제24권 4호, 대한가정학회, 1986.
  • 金賢舜, 「軍服에 對한 硏究 -具軍服을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 柳喜卿, 「우리나라의 冠帽」, 『대한가정학회지』 제4권, 대한가정학회, 1963.
  • 문광희, 「조선 후기 甲胄 및 具軍服에 관한 연구-부산 忠烈祠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제7권 1호, 한복문화학회, 2004.
  • 석주선, 『冠帽와 首飾』, 단국대학교출판부, 1993.
  • 이혜영, 「어가행렬에 나타난 의장병의 복식에 관한 연구 –정조의 화성행차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任明美, 「介胄와 軍服과 戎服에 관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3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