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임성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지식 관계망)
39번째 줄: 39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이채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17/E01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2017년 11월 24일 (금) 18:12 판

임성주(任聖周)
대표명칭 임성주
한자표기 任聖周
생몰년 1711년-1788년
본관 풍천(豊川, 지금의 황해도 송화)
녹문(鹿門)
중사(仲思)
시대 조선
대표저서 녹문집(鹿門集)
적(適)
윤부(尹扶)의 딸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1733년(영조 9) 어머니의 명으로 형과 함께 사마에 합격, 1743년 서울로 이사하고 1750년 익위사 세마(翊衛司洗馬)ㆍ시직(侍直) 등 벼슬에 올랐으나 형제를 여의자 벼슬을 버리고 1758년 녹문(鹿門)에 내려갔다. 1777년 정조가 즉위하자 불리어서 동궁(東宮)의 보도에 힘썼고, 여러 부(府)ㆍ군(郡)의 원을 역임하고 만년에 다시 녹문에 들어가 후진올 가르쳤으며, 문장이 선명하고 학덕(學德)이 높았다. [1]

호락논쟁(湖洛論爭)이 일어났을 때 처음에는 스승인 이재(李縡)와 같이 낙론(洛論)을 표방하였으나 후에 호론(湖論)으로 기울어졌고, 기일원론(氣一元論)을 발전시켜 조선 성리학(性理學) 육대가(六大家)의 일인으로 불렸다.[2] 1845년(헌종 11) 대사헌에 추증(追贈)되었다.[3]

지식 관계망

  • 이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재 임성주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임성주 호락논쟁 A는 B와 관련이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주석

  1.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조:"임성주",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권영민, "임성주", 네이버고전문학사전, 2004,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조:"임성주",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조:"임성주",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권영민, "임성주", 네이버고전문학사전, 2004,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더 읽을거리

  • 웹 자원
    • "임성주", 『두산백과』online.
    • 최영진, "임성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논문
    • 강순애, 「녹문(鹿門) 임성주(任聖周)의 자필 서간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Vol.64, 한국서지학회, 2015, 49-79.
    • 김승영, 「녹문 임성주 수양론 체계와 특징」, 『동서철학연구』Vol83, 한국동서철학회, 2017. 171-191.
    • 최복희, 「녹문 임성주의 생의(生意)로서의 기(氣)와 마음의 개념」, 『생명연구』, Vol16,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원, 2010, 113-137.
    • 정덕희, 「녹문(鹿門) 임성주(任聖周)의 인간형성이론」, 『敎育學硏究』Vol.42 No.1, 한국교육학회, 2004. 1-27.
    • 이장희, 「조선 후기 성리학에서의 한 경향성-녹문(塵門) 임성주(任聖周)의 일원적(一元的) 철학-」, 『동양철학』Vol21, 한국동양철학회, 2004, 73-93.
  • 단행본
    • 김현, 『임성주의 생의철학:기철학의 한국적 전개와 귀결』, 한길사, 1995.
    • 홍정근, 『호락논쟁의 본질과 임성주의 철학사상』, 한국연구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