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도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상)
(참고문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장소정보
 
{{장소정보
|사진=
+
|사진= 민족기록화_장소_인천항 도크_인천항도크모습.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http://incheonport.tistory.com/1994 인천항 갑문에 대해 알아보자!]", useful/특파룡의 현장취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인천항만공사 공식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인천항만공사.
 
|대표명칭= 인천항 도크
 
|대표명칭= 인천항 도크
 
|한자표기=   
 
|한자표기=   
 
|영문명칭=
 
|영문명칭=
 
|이칭=   
 
|이칭=   
|유형= 기념관
+
|유형=  
|주소= 충남 금산군 금성면 의총리
+
|주소= 인천광역시 신포동 인천항
|위도= 37.463812
+
|위도= 37.4594566
|경도= 126.625059
+
|경도= 126.6168906
 
|관련인물=   
 
|관련인물=   
 
|관련단체=
 
|관련단체=
|관련장소=
+
|관련장소= [[인천항]]
 
|관련물품=
 
|관련물품=
 
|관련유물유적=   
 
|관련유물유적=   
 
}}
 
}}
 
=='''정의'''==
 
=='''정의'''==
 +
수위를 조정하기 위해 [[인천항]]에 설치된 [[갑문식 도크]]를 말한다.
  
 
=='''내용'''==
 
=='''내용'''==
[[인천항 도크]]는 [[인천항 제1도크]]와 [[인천항 제2도크]]로 이루어졌다.<br/>
+
조석간만의 차가 심한 항만에서 선박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수위를 조정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구조물을 갑문<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5272docId=1056757&cid=40942&categoryId=32191 갑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 온라인 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br/>이라고 하는데, [[인천항 도크]]는 [[인천항 제1도크]]와 [[인천항 제2도크]]로 이루어졌다.<br/>
조석간만의 차가 심한 항만에서 선박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수위를 조정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구조물을 갑문이라 한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5272docId=1056757&cid=40942&categoryId=32191 갑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 온라인 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ref><br/>  
+
 
 
===인천항 제1도크===
 
===인천항 제1도크===
[[인천항]]은 조석간만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갑문식 도크]]를 설치하였는데, [[인천항 제1도크]]는 일제시대인 1911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918년 10월에 완성되었다. 동양에서 보기 드문 [[갑문식 도크]]로, 4,500톤급 선박이 접안할 수 있게 되었고, 연간 하역 능력이 130만톤에 달하게 되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7102 인천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3월 19일.</ref><br/>
+
[[인천항 제1도크]]는 일제시대인 1911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918년 10월에 완성되었다. 동양에서 보기 드문 [[갑문식 도크]]로, 4,500톤급 선박이 접안할 수 있게 되었고, 연간 하역 능력이 130만톤에 달하게 되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7102 인천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3월 19일.</ref>  
  
 
===인천항 제2도크===
 
===인천항 제2도크===
그 뒤 일본은 중국 대륙으로 진출하기 위하여 8,000톤급 선박을 대상으로 하는 [[인천항 제2도크]] 건설을 1935년에 착공하였으나, 제2차 세계대전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br/>
+
그 뒤 일본은 중국 대륙으로 진출하기 위하여 1935년에 8,000톤급 선박을 대상으로 하는 [[인천항 제2도크]] 건설에 착공하였으나, 제2차 세계대전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 광복에 뒤이어 일어난 [[한국전쟁]] 등으로 공사를 재개할 수 없었다. 이윽고 1966년 6월에 다시 건설에 착공하여 1974년 5월 10일 [[인천항 제2도크]]가 완공되었다. 이로써 대형 선박 25척이 부두까지 들어와 하역을 할 수 있게 됨 이로써 인천항에서 조수간만의 차에 구애받지 않고 대형 선박 출입 가능하게 되었다.<br/>
종전 후 1974년, [[인천항 제2도크]]가 완공되면서 대형 선박 25척이 부두까지 들어와 하역을 할 수 있게 됨 이로써 인천항에서 조수간만의 차에 구애받지 않고 대형 선박 출입 가능하게 되었다.<br/>
+
실제로 [[인천항 도크#인천항 제2도크|인천항 제2도크]]에는 [[경부고속도로]] 서울-대전 구간 사용량만큼의 콘크리트가 투입되었다고 한다.<ref>정경숙, "[http://goodmorning.incheon.go.kr/board/54/1911979?curPage=&codeNm=2015/07&codeText=%EA%B9%8C%EC%B9%98%EB%B0%9C%EB%A1%9C%20%EB%B3%B8%20%EC%9D%B8%EC%B2%9C 멀어진 바다, 사라진 비린내]", 『굿모닝인천』, 2015년 07월 06일.</ref>  
  
 +
=='''지식 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C102/C102.htm "인천항도크(정창섭)" 지식관계망]'''
  
https://www.icpa.or.kr/content/view.do?menuKey=406&contentKey=63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http://cafe.naver.com/tourpostmark/1912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102/C10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tp://incheonport.tistory.com/1994
+
</html>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7061&cid=46632&categoryId=4663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96180&cid=49209&categoryId=49209
 
 
 
 
 
 
 
2도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7061&cid=46632&categoryId=4663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55번째 줄: 42번째 줄:
 
|-
 
|-
 
| [[정창섭-인천항도크]]  ||[[인천항 도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정창섭-인천항도크]]  ||[[인천항 도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인천항 도크#인천항 제2도크|인천항 제2도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인천항 도크]] || [[인천항]]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인천항 도크]] || [[인천항]]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63번째 줄: 52번째 줄:
 
|-
 
|-
 
| [[인천항 도크]] || [[갑문식 도크]]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인천항 도크]] || [[갑문식 도크]]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인천항 도크#인천항 제2도크|인천항 제2도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73번째 줄: 60번째 줄: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300px  style="float:center"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300px  style="float:center"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정창섭-인천항도크_인천항 입항 과정.jpg|[[인천항]] 입항 과정<ref>"[http://incheonport.tistory.com/1994 인천항 갑문에 대해 알아보자!]",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인천항만공사 공식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인천항만공사.</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정창섭-인천항도크_인천항 입항 과정.jpg|[[인천항]] 입항 과정<ref>"[http://incheonport.tistory.com/1994 인천항 갑문에 대해 알아보자!]", useful/특파룡의 현장취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인천항만공사 공식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인천항만공사.</ref>
 
</gallery>
 
</gallery>
  
85번째 줄: 72번째 줄: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O1IfF1jdqr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O1IfF1jdqr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기사
 +
#* 정경숙, "[http://goodmorning.incheon.go.kr/board/54/1911979?curPage=&codeNm=2015/07&codeText=%EA%B9%8C%EC%B9%98%EB%B0%9C%EB%A1%9C%20%EB%B3%B8%20%EC%9D%B8%EC%B2%9C 멀어진 바다, 사라진 비린내]", 『굿모닝인천』, 2015년 07월 06일.
 +
# 웹 자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5272docId=1056757&cid=40942&categoryId=32191 갑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 온라인 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7102 인천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3월 19일.
 +
#* "[http://incheonport.tistory.com/1994 인천항 갑문에 대해 알아보자!]", useful/특파룡의 현장취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인천항만공사 공식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인천항만공사.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장소]]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장소]]

2017년 12월 1일 (금) 01:13 기준 최신판

인천항 도크()
"인천항 갑문에 대해 알아보자!", useful/특파룡의 현장취재, 『인천항만공사 공식 블로그』online, 인천항만공사.
대표명칭 인천항 도크
주소 인천광역시 신포동 인천항
관련장소 인천항


정의

수위를 조정하기 위해 인천항에 설치된 갑문식 도크를 말한다.

내용

조석간만의 차가 심한 항만에서 선박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수위를 조정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구조물을 갑문[1]
이라고 하는데, 인천항 도크인천항 제1도크인천항 제2도크로 이루어졌다.

인천항 제1도크

인천항 제1도크는 일제시대인 1911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918년 10월에 완성되었다. 동양에서 보기 드문 갑문식 도크로, 4,500톤급 선박이 접안할 수 있게 되었고, 연간 하역 능력이 130만톤에 달하게 되었다.[2]

인천항 제2도크

그 뒤 일본은 중국 대륙으로 진출하기 위하여 1935년에 8,000톤급 선박을 대상으로 하는 인천항 제2도크 건설에 착공하였으나, 제2차 세계대전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 광복에 뒤이어 일어난 한국전쟁 등으로 공사를 재개할 수 없었다. 이윽고 1966년 6월에 다시 건설에 착공하여 1974년 5월 10일 인천항 제2도크가 완공되었다. 이로써 대형 선박 25척이 부두까지 들어와 하역을 할 수 있게 됨 이로써 인천항에서 조수간만의 차에 구애받지 않고 대형 선박 출입 가능하게 되었다.
실제로 인천항 제2도크에는 경부고속도로 서울-대전 구간 사용량만큼의 콘크리트가 투입되었다고 한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창섭-인천항도크 인천항 도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인천항 제2도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인천항 도크 인천항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인천항 도크 인천항 제2도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인천항 도크 인천항 제1도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인천항 도크 갑문식 도크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983호-인천항 도크 준공(게시일: 2016년 12월 7일)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722호-우리는 건설한다(게시일: 2016년 11월 16일) - 41초~ : 인천항 2도크 축조 공사 모습

주석

  1. "갑문", 『두산백과 온라인 서비스』online, 두산백과.
  2. "인천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3월 19일.
  3. 정경숙, "멀어진 바다, 사라진 비린내", 『굿모닝인천』, 2015년 07월 06일.
  4. "인천항 갑문에 대해 알아보자!", useful/특파룡의 현장취재, 『인천항만공사 공식 블로그』online, 인천항만공사.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기사
  2. 웹 자원
    • "갑문", 『두산백과 온라인 서비스』online, 두산백과.
    • "인천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03월 19일.
    • "인천항 갑문에 대해 알아보자!", useful/특파룡의 현장취재, 『인천항만공사 공식 블로그』online, 인천항만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