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이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영상)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초상화 이이 표준영정.png
 
|사진= 초상화 이이 표준영정.png
31번째 줄: 32번째 줄:
  
 
==정의==
 
==정의==
조선후기의 문신·학자로 [[조선 중종|중종]]과 [[조선 선조|선조]]대의 인물이다. 조선 성리학을 대표하는 학자로 손꼽히며 그의 후대 문인들이 서인 세력을 형성하여 조선후기 정치를 주도하였다.  
+
조선후기의 문신·학자로 [[조선 중종|중종]]과 [[조선 선조|선조]]대의 인물이다. 조선 성리학을 대표하는 학자로 손꼽히며 그의 후대 문인들이 서인 세력을 형성하였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내용==
 
==내용==
 
===이이의 성장배경===
 
===이이의 성장배경===
 
====이이의 가정환경====
 
====이이의 가정환경====
이이의 본관은 경기 덕수(德水)이며, 부친은 이원수(李元秀)이다. 어머니는  [[신사임당|신사임당(申師任堂)]]이다. [[이이]]는 1536년 12월 26일에 강릉의 외가([[강릉 오죽헌]])에서 태어났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이이의 본관은 경기 덕수(德水)이며, 부친은 [[이원수|이원수(李元秀)]]이다. 어머니는  [[신사임당|신사임당]]이다. [[이이]]는 1536년 12월 26일에 [[강릉 오죽헌]]에서 태어났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이이]]의 혼인과 학문적 성장====
 
====[[이이]]의 혼인과 학문적 성장====
[[이이]]는 16세에 어머니의 상(喪)을 당하였고, 19세에 불교를 공부하러 산에 들어갔다가 20세에 다시 강릉으로 돌아왔다. 그때 [[자경문]]을 지었다. 1557년 [[노경린|노경린(盧慶麟)]]의 딸과 혼인하였다. 다음 해 성주에서 강릉으로 돌아가는 길에 [[안동 계상서당]]에 들러 [[이황|퇴계 이황]]을 만났다. 그 후 서찰을 주고받으며 여러 학설을 논변하였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이이]]는 16세에 어머니 [[신사임당]]이 사망으로 충격을 받아 19세에 불교를 공부하러 산에 들어갔다가 20세에 다시 강릉으로 돌아왔다. 그 때 [[자경문]]을 지었다. 1557년 [[노경린|노경린(盧慶麟)]]의 딸과 혼인하였다. 다음 해 [[안동 계상서당]]에서 [[이황|퇴계 이황]]을 만났다. 그 후 서찰을 주고받으며 여러 학설을 논변하였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이이의 정계활동===
 
===이이의 정계활동===
이이는 1564년 과거에 급제하였다. 이때 사마시(司馬試)와 문과(文科)를 거치면서 장원을 차지한 것이 아홉 차례에 이르러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이라고 불리었다. 처음 호조좌랑(戶曹佐郞)에 제수되었고, 이조좌랑(吏曹佐郞), 사헌부 지평 등을 역임하였다. [[조선 명종]]이 승하하고 [[조선 선조]]가 즉위하자 [[홍문관]] 교리가 되었는데, 이때 『[[동호문답|동호문답(東湖問答)]]』과 『[[만언봉사]]』를 지어올렸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이이는 1564년 과거에 급제하였다. 처음 호조좌랑(戶曹佐郞)에 제수되었고, 이조좌랑(吏曹佐郞), 사헌부 지평 등을 역임하였다. [[조선 명종]]이 승하하고 [[조선 선조]]가 즉위하자 [[홍문관]] 교리가 되었는데, 이때 『[[동호문답|동호문답(東湖問答)]]』과 『[[만언봉사]]』를 지어올렸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이이는 청주목사, 황해도 관찰사 등를 지냈다. 지방관으로 있으면서 여러 개혁책을 추진하였다.  [[공납|공납(貢納)]]의 폐단에 대해서도 공안(貢案)의 개정, [[수미법]] 시행 등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이이는 청주목사, 황해도 관찰사 등를 지냈다. 지방관으로 있으면서 여러 개혁책을 추진하였다.  [[공납|공납(貢納)]]의 폐단에 대해서도 공안(貢案)의 개정, [[수미법]] 시행 등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52번째 줄: 54번째 줄:
 
이이는 자신의 성리학 사상의 핵심 개념으로 ‘[[이기지묘|이기지묘(理氣之妙)]]’를 제시하였다. 이이는 자신의 학문적 기준을 성리학에 두고 있었지만, 다른 학문에도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어릴 때 불서를 섭렵한 경험도 있었고, [[양명학|양명학(陽明學)]]과 도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가치를 평가하였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이이는 자신의 성리학 사상의 핵심 개념으로 ‘[[이기지묘|이기지묘(理氣之妙)]]’를 제시하였다. 이이는 자신의 학문적 기준을 성리학에 두고 있었지만, 다른 학문에도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어릴 때 불서를 섭렵한 경험도 있었고, [[양명학|양명학(陽明學)]]과 도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가치를 평가하였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경세학적 학문활동====
 
====경세학적 학문활동====
이이 학문의 또 다른 특징은 경세학에 대한 폭넓은 관심이다. 여러 개혁 상소와 [[동호문답]] 등의 저술을 통해 그는 동서분당의 해소, 공납 제도 개혁, 서얼 허통과 공사노비속량 등 신분제 개혁, 교육 제도 및 군사 제도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제왕학에도 관심이 있던 이이는 『[[성학집요|성학집요(聖學輯要)]]』를 저술하여 [[조선 선조]]에게 바쳤다.<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이이]]는 여러 개혁 상소와 [[동호문답]] 등의 저술을 통해 분당의 해소, 공납 제도 개혁, 신분제 개혁, 교육 및 군사 제도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제왕학에도 관심이 있던 이이는 『[[성학집요|성학집요(聖學輯要)]]』를 저술하여 [[조선 선조]]에게 바쳤다.<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교육과 교화활동====
 
====교육과 교화활동====
[[이이]]는 [[조선 선조|선조]]의 명을 받들어 사서의 언해본을 저술하였고, 『[[격몽요결|격몽요결(擊蒙要訣)]]』과 같은 어린이들을 위한 교재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또한 『[[학교모범|학교모범(學校模範)]]』을 지어 구체적인 학교 제도의 개혁안도 제시한 바 있다. 그는 [[서원향약]]과 [[해주향약]]을 저술하여 지방 사회의 교화와 자치에 대한 방안도 제시하였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이이]]는 [[조선 선조|선조]]의 명을 받들어 사서의 언해본을 저술하였고, 『[[격몽요결|격몽요결(擊蒙要訣)]]』과 같은 어린이들을 위한 교재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또한 『[[학교모범|학교모범(學校模範)]]』을 지어 구체적인 학교 제도의 개혁안도 제시하였다. 그는 [[서원향약]]과 [[해주향약]]을 저술하여 지방 사회의 교화와 자치에 대한 방안도 제시하였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영향과 계승====
 
====영향과 계승====
 
이이의 문인으로는  [[김장생|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과 [[조헌|중봉(重峯) 조헌(趙憲)]]이 있다. 이는 [[송시열|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등으로 이어져 [[서인]] 세력을 형성한다. 또한 친우인 우계 [[성혼]]의 문인들도 율곡의 문인들과 관련을 맺었는데 성혼의 학맥은 [[윤증|명재(明齋) 윤증(尹拯)]]으로 계승되었다.  
 
이이의 문인으로는  [[김장생|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과 [[조헌|중봉(重峯) 조헌(趙憲)]]이 있다. 이는 [[송시열|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등으로 이어져 [[서인]] 세력을 형성한다. 또한 친우인 우계 [[성혼]]의 문인들도 율곡의 문인들과 관련을 맺었는데 성혼의 학맥은 [[윤증|명재(明齋) 윤증(尹拯)]]으로 계승되었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소현서원|소현서원(紹賢書院)]]은 이이가 황해도 석담(石潭)에 정착하면서 세운 은병정사(銀甁精舍)가 모태가 되어 설립된 서원으로 1610년에 소현이라는 사액을 받았으며, [[자운서원]]은 이이의 묘가 있는 경기 파주에 그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으로 [[조선 효종|효종(孝宗)]] 때 사액을 받았다.
+
[[소현서원|소현서원(紹賢書院)]]은 이이가 황해도에 세운 은병정사(銀甁精舍)가 모태가 되어 설립된 서원으로 1610년에 소현이라는 사액을 받았으며, [[자운서원]]은 이이의 묘가 있는 경기 파주에 그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으로 [[조선 효종|효종(孝宗)]] 때 사액을 받았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신사임당과 이이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01/E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24/A124.htm 고산구곡도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06/A206.htm 구곡가계로 보는 이황화 이이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E001/E001.htm      신사임당과 이이 지식관계망]
 +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PAGENAME}} || [[이원수]]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
| [[이이]] || [[이원수]]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
| [[이이]] || [[신사임당]] || A는 어머니 B가 있다 || A ekc:hasMother B
 +
|-
 +
| [[신사임당]] || [[신명화]]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
| [[신사임당]] || [[이원수]]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
| {{PAGENAME}} || [[신사임당]] || A는 어머니 B가 있다||  
+
| [[이이]] || [[이황]]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신사임당]] || [[신명화]]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 [[이이]] || [[성혼]]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신사임당]] || [[이원수]] || A는 B의 아내이다 ||  
+
| [[이이]] || [[이이 처 곡산 노씨]]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
| {{PAGENAME}} || [[이황]] || A는 B와 교유하였다 ||  
+
| [[이이 처 곡산 노씨]] || [[노경린]]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 {{PAGENAME}} || [[성혼]] || A는 B와 교유하였다 ||  
+
| [[이이]] || [[김장생]]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PAGENAME}} || [[이이 처 곡산 노씨]] || A는 B의 아내이다 || 1557년
+
| [[이이]] || [[조헌]]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이이 처 곡산 노씨]] || [[노경린]]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
| [[김장생]] || [[김집]]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PAGENAME}} || [[김장생]] || A는 B의 스승이다 ||  
+
| [[김장생]] || [[송시열]]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PAGENAME}} || [[조헌]] || A는 B의 스승이다  ||
+
| [[김장생]] || [[송준길]]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김장생]] || [[김집]] || A는 B의 스승이다  ||
 
|-
 
| [[김장생]] || [[송시열]] || A는 B의 스승이다  ||
 
|-
 
| [[김장생]] || [[송준길]] || A는 B의 스승이다 ||  
 
 
|-
 
|-
| [[김장생]] || [[유이태]] || A는 B의 스승이다 ||
+
| [[김장생]] || [[유이태]]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김장생]] || [[조익]] || A는 B의 스승이다  ||
 
|-
 
| [[김장생]] || [[장유]] || A는 B의 스승이다  ||
 
|-
 
| [[김장생]] || [[신흠]] || A는 B의 스승이다  ||  
 
 
|-
 
|-
| [[성혼]] || [[윤황]] || A는 B의 스승이다  ||
+
| [[김장생]] || [[조익]]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김장생]] || [[윤선거]] || A는 B의 스승이다  ||
 
|- 
 
| [[김장생]] || [[윤증]] || A는 B의 스승이다 ||
 
|-
 
| [[윤선거]] || [[윤황]]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
| [[윤증]] || [[윤선거]]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 [[김장생]] || [[장유]]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성학집요]] || {{PAGENAME}}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
| [[김장생]] || [[신흠]]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동호문답]] || {{PAGENAME}}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1567년
+
| [[성혼]] || [[윤황]]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만언봉사]] || {{PAGENAME}}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1574년
+
| [[김장생]] || [[윤선거]]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격몽요결]] || {{PAGENAME}}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 [[김장생]] || [[윤증]]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학교모범]] || {{PAGENAME}}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 [[윤선거]] || [[윤황]]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 [[서원향약]] || {{PAGENAME}} || A는 B에 의해 창시되었다||1574년
+
| [[윤증]] || [[윤선거]]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 [[해주향약]] || {{PAGENAME}} || A는 B에 의해 창시되었다||1574년
+
| [[성학집요]] || [[이이]]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소현서원]] || {{PAGENAME}}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동호문답]] || [[이이]]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자운서원]] || {{PAGENAME}}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만언봉사]] || [[이이]]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격몽요결]] || [[이이]]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학교모범]] || [[이이]]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서원향약]] || [[이이]] || A는 B에 의해 창시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해주향약]] || [[이이]] || A는 B에 의해 창시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소현서원]] || [[이이]] || A는 B에 배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자운서원]] || [[이이]] || A는 B에 배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강릉 오죽헌]] || [[이이]] || A는 B에서 거주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강릉 오죽헌]] || [[이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142번째 줄: 158번째 줄:
 
| 1574년 || {{PAGENAME}}가 [[서원향약]], [[해주향약]], [[만언봉사]]를 지었다.
 
| 1574년 || {{PAGENAME}}가 [[서원향약]], [[해주향약]], [[만언봉사]]를 지었다.
 
|}
 
|}
 +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이이 표준영정.jpg|이이 표준영정
 +
HFP_Ojukheon_eojegak.JPG|오죽헌
 +
</gallery>
 
===영상===
 
===영상===
* "[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37/menu/37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2337&bbIdx=10753&brdType=R 오죽헌 2부 시묘살이 3년 이이의 사모곡]",  7분다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
* "[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37/menu/37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2337&bbIdx=10753&brdType=R 오죽헌 2부 시묘살이 3년 이이의 사모곡]",  7분다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html>
 
<html>
 
<video  
 
<video  
160번째 줄: 182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더 읽을 거리===
 
*논문
 
*논문
 
**류태건, 「이황과 이이의 우주론과 인성론 비교정리」, 『21세기정치학회보』제12권 1호, 21세기정치학회, 2005, 105-127쪽.
 
**류태건, 「이황과 이이의 우주론과 인성론 비교정리」, 『21세기정치학회보』제12권 1호, 21세기정치학회, 2005, 105-127쪽.
175번째 줄: 197번째 줄:
  
 
[[분류:인물]]
 
[[분류:인물]]
[[분류:한글고문서]]
 
[[분류:이혜영]]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민족기록화]]
 
[[분류:민족기록화]]
 +
[[분류:역사인물]]

2017년 11월 27일 (월) 22:52 기준 최신판


이이(李珥)
"이이", 표준영정, 『한민족정보마당』online, 한국문화정보원.
대표명칭 이이
한자표기 李珥
생몰년 1536-1584
본관 덕수(德水)
시호 문성(文成)
율곡(栗谷), 석담(石潭), 우재(愚齋)
숙헌(叔獻)
출생지 강릉 오죽헌
시대 조선
대표저서 성학집요, 격몽요결, 동호문, 기자실기
대표직함 이조판서, 병조판서, 홍문관대제학
배우자 이이 처 곡산 노씨
이원수
신사임당



정의

조선후기의 문신·학자로 중종선조대의 인물이다. 조선 성리학을 대표하는 학자로 손꼽히며 그의 후대 문인들이 서인 세력을 형성하였다. [1]

내용

이이의 성장배경

이이의 가정환경

이이의 본관은 경기 덕수(德水)이며, 부친은 이원수(李元秀)이다. 어머니는 신사임당이다. 이이는 1536년 12월 26일에 강릉 오죽헌에서 태어났다. [2]

이이의 혼인과 학문적 성장

이이는 16세에 어머니 신사임당이 사망으로 충격을 받아 19세에 불교를 공부하러 산에 들어갔다가 20세에 다시 강릉으로 돌아왔다. 그 때 자경문을 지었다. 1557년 노경린(盧慶麟)의 딸과 혼인하였다. 다음 해 안동 계상서당에서 퇴계 이황을 만났다. 그 후 서찰을 주고받으며 여러 학설을 논변하였다. [3]

이이의 정계활동

이이는 1564년 과거에 급제하였다. 처음 호조좌랑(戶曹佐郞)에 제수되었고, 이조좌랑(吏曹佐郞), 사헌부 지평 등을 역임하였다. 조선 명종이 승하하고 조선 선조가 즉위하자 홍문관 교리가 되었는데, 이때 『동호문답(東湖問答)』과 『만언봉사』를 지어올렸다. [4]

이이는 청주목사, 황해도 관찰사 등를 지냈다. 지방관으로 있으면서 여러 개혁책을 추진하였다. 공납(貢納)의 폐단에 대해서도 공안(貢案)의 개정, 수미법 시행 등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5]

이이는 병조판서로 재직 중에 과로로 병을 얻어 4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죽기 직전 서익(徐益)이 임금의 명을 받고 변방의 일을 물으러 오자 이이는 6조항의 방략을 일러주고, 다음날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6]

이이의 학문활동

성리학적 학문활동

이이는 자신의 성리학 사상의 핵심 개념으로 ‘이기지묘(理氣之妙)’를 제시하였다. 이이는 자신의 학문적 기준을 성리학에 두고 있었지만, 다른 학문에도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어릴 때 불서를 섭렵한 경험도 있었고, 양명학(陽明學)과 도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가치를 평가하였다. [7]

경세학적 학문활동

이이는 여러 개혁 상소와 동호문답 등의 저술을 통해 분당의 해소, 공납 제도 개혁, 신분제 개혁, 교육 및 군사 제도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제왕학에도 관심이 있던 이이는 『성학집요(聖學輯要)』를 저술하여 조선 선조에게 바쳤다.[8]

교육과 교화활동

이이선조의 명을 받들어 사서의 언해본을 저술하였고, 『격몽요결(擊蒙要訣)』과 같은 어린이들을 위한 교재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또한 『학교모범(學校模範)』을 지어 구체적인 학교 제도의 개혁안도 제시하였다. 그는 서원향약해주향약을 저술하여 지방 사회의 교화와 자치에 대한 방안도 제시하였다. [9]

영향과 계승

이이의 문인으로는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중봉(重峯) 조헌(趙憲)이 있다. 이는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등으로 이어져 서인 세력을 형성한다. 또한 친우인 우계 성혼의 문인들도 율곡의 문인들과 관련을 맺었는데 성혼의 학맥은 명재(明齋) 윤증(尹拯)으로 계승되었다. [10]

소현서원(紹賢書院)은 이이가 황해도에 세운 은병정사(銀甁精舍)가 모태가 되어 설립된 서원으로 1610년에 소현이라는 사액을 받았으며, 자운서원은 이이의 묘가 있는 경기 파주에 그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으로 효종(孝宗) 때 사액을 받았다. [11]

지식 관계망

  • 신사임당과 이이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이 이원수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이이 신사임당 A는 어머니 B가 있다 A ekc:hasMother B
신사임당 신명화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신사임당 이원수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이이 이황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이이 성혼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이이 이이 처 곡산 노씨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이이 처 곡산 노씨 노경린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이이 김장생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이이 조헌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장생 김집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장생 송시열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장생 송준길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장생 유이태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장생 조익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장생 장유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장생 신흠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성혼 윤황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장생 윤선거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장생 윤증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윤선거 윤황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윤증 윤선거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성학집요 이이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동호문답 이이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만언봉사 이이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격몽요결 이이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학교모범 이이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서원향약 이이 A는 B에 의해 창시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해주향약 이이 A는 B에 의해 창시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소현서원 이이 A는 B에 배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자운서원 이이 A는 B에 배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강릉 오죽헌 이이 A는 B에서 거주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557년 이이가 이이 처 곡산 노씨와 혼인하였다.
1567년 이이가 동호문답을 저술하였다.
1574년 이이가 서원향약, 해주향약, 만언봉사를 지었다.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2.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3.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4.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5.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6.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7.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8.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9.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10.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11.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류태건, 「이황과 이이의 우주론과 인성론 비교정리」, 『21세기정치학회보』제12권 1호, 21세기정치학회, 2005, 105-127쪽.
  • 단행본
    • 이병도, 『栗谷의 生涯와 思想』, 서문당, 1972.
    • 조남국, 『율곡의 삶과 철학 그리고 경제·윤리』, 교육과학사, 1997.
    • 황준연, 『이율곡, 그 삶의 모습』,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황의동, 『율곡 이이』, 살림, 2007.
    • 황의동, 『한국의 사상가 10인(人) 율곡 이이』, 예문서원, 2003.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