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이순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내용)
35번째 줄: 35번째 줄:
 
=='''내용'''==
 
=='''내용'''==
 
===출생과 유년시기===
 
===출생과 유년시기===
 
+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해(汝諧). 고려 때 중랑장을 지낸 이돈수(李敦守)로부터 내려오는 문반(文班)의 가문으로, 이돈수(李敦守)의 12대손이다. 아버지는 이정(李貞)이며, 어머니는 초계 변씨(草溪卞氏)로 변수림(卞守琳)의 딸이다. 서울 건천동(乾川洞: 지금의 중구 인현동 부근)에서 출생하였다. 이순신은 위로 이희신(李羲臣)·이요신(李堯臣)의 두 형과 아우 이우신(李禹臣)이 있어 모두 4형제였다. 형제들의 이름은 돌림자인 신(臣)자 위에 삼황오제(三皇五帝) 중에서 복희씨(伏羲氏)·요(堯)·순(舜)·우(禹) 임금을 시대순으로 따서 붙인 것이다.<ref>민백</ref>
  
 
===관직생활===
 
===관직생활===
 +
1572년(선조 5) 훈련원(訓鍊院) 별과(別科)에 응시했으나 말에서 떨어져 왼쪽다리가 부러지는 바람에 탈락하였다. 그래서 30세가 넘은 1576년(선조 9)에야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해 관직에 나섰다. 권지훈련원봉사(權知訓練院奉事)와 함경도의 동구비보(董仇非堡) 권관(權管), 발포수군(鉢浦水軍) 만호(萬戶) 등을 거쳐 건원보(乾原堡) 권관, 훈련원(訓鍊院) 참군(參軍)을 지냈다.<ref>두산백과</ref>
  
  

2017년 11월 8일 (수) 01:08 판

이순신(李舜臣)
대표명칭 이순신
한자표기 李舜臣
생몰년 1545년(인종 1)-1598년(선조 31)
본관 덕수(德水)
시호 충무(忠武)
여해(汝諧)
출생지 서울 건천동(乾川洞: 지금의 중구 인현동 부근)
사망지 노량
시대 조선
대표저서 『난중일기』,『이충무공전서』
대표직함 동구비보권관, 건원보권관, 사복시주부, 정읍현감, 전라좌도수군절도사, 삼도수군통제사
이정(李貞)
초계 변씨(草溪卞氏) 변수림(卞守琳)의 딸
성격 장군
유형 인물



정의

조선시대의 무신

내용

출생과 유년시기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해(汝諧). 고려 때 중랑장을 지낸 이돈수(李敦守)로부터 내려오는 문반(文班)의 가문으로, 이돈수(李敦守)의 12대손이다. 아버지는 이정(李貞)이며, 어머니는 초계 변씨(草溪卞氏)로 변수림(卞守琳)의 딸이다. 서울 건천동(乾川洞: 지금의 중구 인현동 부근)에서 출생하였다. 이순신은 위로 이희신(李羲臣)·이요신(李堯臣)의 두 형과 아우 이우신(李禹臣)이 있어 모두 4형제였다. 형제들의 이름은 돌림자인 신(臣)자 위에 삼황오제(三皇五帝) 중에서 복희씨(伏羲氏)·요(堯)·순(舜)·우(禹) 임금을 시대순으로 따서 붙인 것이다.[1]

관직생활

1572년(선조 5) 훈련원(訓鍊院) 별과(別科)에 응시했으나 말에서 떨어져 왼쪽다리가 부러지는 바람에 탈락하였다. 그래서 30세가 넘은 1576년(선조 9)에야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해 관직에 나섰다. 권지훈련원봉사(權知訓練院奉事)와 함경도의 동구비보(董仇非堡) 권관(權管), 발포수군(鉢浦水軍) 만호(萬戶) 등을 거쳐 건원보(乾原堡) 권관, 훈련원(訓鍊院) 참군(參軍)을 지냈다.[2]


임진왜란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순신 류성룡 A는 B와 교유하였다
이순신 수군절도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이순신 수군통제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이순신 임진왜란 A는 B에 참가하였다
이순신 원균 A는 B와 대립하였다
이순신 옥포대첩 A는 B에 참가하였다
이순신 이억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이순신 고니시유키니가 A는 B와 대립하였다
이순신 한산대첩 A는 B에 참가하였다
이순신 김응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이순신 가토 기요마사 A는 B와 대립하였다
이순신 정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이순신 노량대첩 A는 B에 참가하였다
이순신 권율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이순신 이항복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이순신 명랑대첩 A는 B에 참가하였다
이순신 진린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이순신 이문욱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이순신 난중일기 A는 B를 저술하였다
이순신 통영 충렬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이순신 여수 충민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이순신 아산 현충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이순신 이충무공전서 A는 B를 저술하였다
이순신 조선 선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이순신 표준영정 이순신 A는 B를 묘사하였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민백
  2. 두산백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 거리

  • 김강녕, 「충무공 이순신의 생애와 리더십의 특성」, 『군사발전연구』 10권 2호, 2016, 29-71쪽.
  • 김대현, 『이충무공전서 이야기 정조 이순신을 역사에 새기다』, 한국고전번역원, 2015.
  • 김범, "이순신", 인물한국사, 네이버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김봉렬, 「이순신의 백의종군 시기 행적에 관한 고찰」, 『인문논총』 25,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5-55쪽.
  • 김영숙, 『충무공 이순신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 김영환, 「이순신의 해전과 호남인의 애국정신」, 『정치정보연구』 7권 2호, 2004, 208-245쪽.
  • 김현기, 「이순신 제독의 전략 · 전술과 손자병법」, 『이순신연구논총』 4권 1호, 2005, 277-325호.
  • 신윤호, 「임진왜란 중 이순신일가의 동태와 이순신의 효의」, 『이순신연구논총』 8권 1호,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7, 185-220쪽.
  • 이경식, 『충무공 이순신의 전승에 관한 연구 - 전리(戰理)에 의한 분석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이순신(저)/노승석(역), 『교감완역 난중일기』, 여해, 2016.
  • 이장희, "이순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정진술, 「이순신 백의종군로의 연구 - 수원부에서 평택현까지」, 『충무공 이순신과 한국 해양』 1, 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 2014, 181-209쪽.
  • 정혜영, 『이순신의 리더십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7.
  • 최두환, 『충무공 이순신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 - 난중일기에 나타난 리더십 사례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황병성, 「정유재란기 이순신의 전략과 의병막하인물」, 『역사학연구』 46, 호남사학회, 2012, 67-91쪽.
  • 황유복, 「중국에서의 이순신장군 관련 사료와 연구」, 『이순신연구논총』 4권 1호,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5, 125-13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