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이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4번째 줄: 14번째 줄:
 
|유사어=
 
|유사어=
 
|반의어=
 
|반의어=
|관련어=[[탑비|탑비(塔碑)]], [[이수|이수(螭首)]]
+
|관련어=[[탑비]], [[귀부]]
 
|필드수=3
 
|필드수=3
 
}}
 
}}
23번째 줄: 23번째 줄:
  
 
=='''개요'''==
 
=='''개요'''==
'이(螭)'자는 본래 뿔이 없는 용, 혹은 교룡(蛟龍)을 가리키는 글자로서, 이수(螭首)는 뿔이 달리지 않은 가상적인 동물인 용 두 마리가 서로 어울려 있는 것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2407&cid=46656&categoryId=46656 이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16일 확인.</ref>
+
'이(螭)'자는 본래 뿔이 없는 용, 혹은 교룡(蛟龍)을 가리키는 글자로서, 이수(螭首)는 뿔이 달리지 않은 가상적인 동물인 용 두 마리가 서로 어울려 있는 것이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810 이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06일 확인.</ref>
  
이수라는 용어와 양식은 중국에서부터 사용한 것으로, 본래는 이기(彛器)·비액(碑額)·석주(石柱)·석계(石階)·인장(印章)·종(鐘)·정(鼎) 등의 표면과 머리 부분에 용의 형체를 조각하여 장식한 것을 말하는데, 이 가운데 비액의 이수가 형체나 크기로 보아 가장 대표적인 것이어서 오늘날의 일반적인 개념이 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4935&cid=40942&categoryId=33058 이수]",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16일 확인.</ref>
+
이수라는 용어와 양식은 중국에서부터 사용한 것으로, 본래는 이기(彛器)·비액(碑額)·석주(石柱)·석계(石階)·인장(印章)·종(鐘)·정(鼎) 등의 표면과 머리 부분에 용의 형체를 조각하여 장식한 것을 말하는데, 이 가운데 비액의 이수가 형체나 크기로 보아 가장 대표적인 것이어서 오늘날의 일반적인 개념이 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4935&cid=40942&categoryId=33058 이수]",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66일 확인.</ref>
  
 
=='''갤러리'''==
 
=='''갤러리'''==

2017년 4월 6일 (목) 10:36 판


틀:개념정보상세


정의

용의 모양을 새긴 비석 머릿돌.

개요

'이(螭)'자는 본래 뿔이 없는 용, 혹은 교룡(蛟龍)을 가리키는 글자로서, 이수(螭首)는 뿔이 달리지 않은 가상적인 동물인 용 두 마리가 서로 어울려 있는 것이다.[1]

이수라는 용어와 양식은 중국에서부터 사용한 것으로, 본래는 이기(彛器)·비액(碑額)·석주(石柱)·석계(石階)·인장(印章)·종(鐘)·정(鼎) 등의 표면과 머리 부분에 용의 형체를 조각하여 장식한 것을 말하는데, 이 가운데 비액의 이수가 형체나 크기로 보아 가장 대표적인 것이어서 오늘날의 일반적인 개념이 되었다.[2]

갤러리

주석

  1. "이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06일 확인.
  2. "이수", 『두산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66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