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
{{인물정보
{{인물정보상세
 
 
|사진=
 
|사진=
|대표명칭=이경석(李景奭)
+
|사진출처=
 +
|대표명칭=이경석
 +
|한자표기=李景奭
 
|영문명칭=
 
|영문명칭=
|생년=1595(선조 28)
+
|본관=전주(全州)
|몰년=1671(현종 12)
+
|이칭=
|국가=조선
 
 
|시호=문충(文忠)
 
|시호=문충(文忠)
 
|호=백헌(白軒)
 
|호=백헌(白軒)
 
|자=상보(尙輔)
 
|자=상보(尙輔)
|본관=전주(全州)
+
|생년=1595(선조 28)
|증조부=
+
|몰년=1671(현종 12)
|조부=이수광(李秀光)
+
|출생지=
 +
|사망지=
 +
|시대=조선
 +
|국적=
 +
|대표저서=
 +
|대표직함=
 +
|배우자=
 
|부=이유간(李惟侃)
 
|부=이유간(李惟侃)
|모=대호군(大護軍) 한량(漢良)의 딸 개성 고씨(開城高氏)
+
|모=대호군(大護軍) 한량(漢良)의 딸 개성고씨(開城高氏)
|처=
 
 
|자녀=
 
|자녀=
|유명자손=
+
|전임자=
|저서(작품)=『백헌집(白軒集)』, 『장릉지장(長陵誌狀)』, 「삼전도비문(三田渡碑文)」
+
|후임자=
|필드수=12
+
|상훈=
 +
|능묘=
 +
|성격=
 +
|유형=
 
}}
 
}}
  
30번째 줄: 38번째 줄:
 
이경석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정종의 열번째 아들 덕천군(德泉君)의 6대손이며, 병자호란 시기에 인조가 남한산성을 나와 청나라에 무릎을 꿇고 굴복하여 전쟁이 끝나자 청나라의 요구에 의해 승전을 기념하는 삼전도비(三田渡碑)의 비문을 썼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4104&cid=40942&categoryId=33383 이경석]",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16일 확인.</ref>
 
이경석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정종의 열번째 아들 덕천군(德泉君)의 6대손이며, 병자호란 시기에 인조가 남한산성을 나와 청나라에 무릎을 꿇고 굴복하여 전쟁이 끝나자 청나라의 요구에 의해 승전을 기념하는 삼전도비(三田渡碑)의 비문을 썼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4104&cid=40942&categoryId=33383 이경석]",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16일 확인.</ref>
  
=='''관련항목'''==
+
=='''지식관계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관련항목===
!항목A!!항목B!!관계!!비고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 || [[이경석]]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이경석]]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
 
|[[서울 삼전도비]] || [[이경석]]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서울 삼전도비]] || [[이경석]]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41번째 줄: 50번째 줄:
 
|}
 
|}
  
 +
=='''시각자료'''==
  
 +
=='''주석'''==
 +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74번째 줄: 86번째 줄:
  
  
==주석==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references/>
+
[[분류:인물]]  
 
+
[[분류:조선]]
 
+
[[분류:승탑/작성중]]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인물]] [[분류:조선]] [[분류:승탑/작성중]]
 

2017년 9월 6일 (수) 01:03 판

이경석(李景奭)
대표명칭 이경석
한자표기 李景奭
생몰년 1595(선조 28)-1671(현종 12)
본관 전주(全州)
시호 문충(文忠)
백헌(白軒)
상보(尙輔)
시대 조선
이유간(李惟侃)
대호군(大護軍) 한량(漢良)의 딸 개성고씨(開城高氏)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이경석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정종의 열번째 아들 덕천군(德泉君)의 6대손이며, 병자호란 시기에 인조가 남한산성을 나와 청나라에 무릎을 꿇고 굴복하여 전쟁이 끝나자 청나라의 요구에 의해 승전을 기념하는 삼전도비(三田渡碑)의 비문을 썼다.[1]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이경석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서울 삼전도비 이경석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이경석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 A는 B와 관련있다

시각자료

주석

  1. "이경석",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16일 확인.

참고문헌

사료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백헌집(白軒集)』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단행본

  • 이성무, 『영의정의 경륜』, 지식산업사, 2012.

논문

  • 강혜선,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의 삶과 시세계」,『한국한시작가연구』Vol.10, 2006, 127-159쪽.
  • 송강호, 「삼전도 대청황제공덕비의 연구: 만한문 대역을 중심으로=삼전도 대청황제공덕비연구」, 『만주연구』Vol.11, 2011, 293-358쪽.
  • 이상배, 「병자호란과 삼전도비문 찬술」,『강원사학』Vol.19, 2004, 85-122쪽.
  • 이은순, 「이경석(李景奭)의 정치적생애와 삼전도비문시비(三田渡碑文是非)」,『한국사연구』Vol.60, 1988, 57-102쪽.
  • 이은순, 「이경석의 국정운영과 대외 시국인식」,『조선시대사학회』Vol.29, 2004, 105-136쪽.

웹자원

사료 및 자료

사전류

  • "이경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경석", 『두산백과』.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이경석", 『인명사전』, 2002.
  • "이경석(1595년)", 『위키백과』
  • "이경석", 『디지털용인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경석", 『디지털성남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