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윤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생애 및 활동사항)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 이혜영
+
{{인물정보
|사진=
+
|사진= joseon_mungwan_mid.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유윤겸  
 
|대표명칭= 유윤겸  
 
|한자표기= 柳允謙
 
|한자표기= 柳允謙
 
|영문명칭=
 
|영문명칭=
|이칭=한석봉
+
|본관= 서산(瑞山)
 +
|이칭=  
 +
|시호=
 +
|호=
 
|자= 형수(亨叟)
 
|자= 형수(亨叟)
|=
+
|생년= 1420년
|시호=
+
|몰년= 미상
|본관= 서산(瑞山)
 
|직함= 사헌부감찰, 홍문관부제학, 대사간, 부제학, 돈녕부도정
 
|시대=조선
 
|국적=
 
|출생년= 1420
 
|사망년= 미상
 
|재위기간=
 
 
|출생지=
 
|출생지=
 
|사망지=
 
|사망지=
|능묘=
+
|시대= 조선
 +
|국적=
 +
|대표저서=
 +
|대표직함= 사헌부감찰, 홍문관부제학, 대사간, 부제학, 돈녕부도정
 
|배우자=
 
|배우자=
|부친= 유방선
+
|= [[유방선]]
|모친= 이원(李原)의 딸
+
|=  
 
|자녀=
 
|자녀=
 
|전임자=
 
|전임자=
 
|후임자=
 
|후임자=
|대표작품= [[분류두공부시]]
+
|상훈=
|관련사건=
+
|능묘=
 +
|성격= 문신
 +
|유형= 인물
 
}}
 
}}
 
 
 
=='''정의'''==
 
=='''정의'''==
1420(세종 2)∼? 조선 전기의 문신.
+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내용'''==
 
=='''내용'''==
 
===가족관계===
 
===가족관계===
본관은 . [[유후]](柳厚)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기]](柳沂)이다. 아버지는 [[유방선]](柳方善)이며, 어머니는 [[이원]](李原)의 딸이다.
+
본관은 서령(서산)이고 자는 형수(형수)이다. [[유후]](柳厚)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기|유기(柳沂)]]이다. 아버지는 [[유방선|유방선(柳方善)]]이다.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1728  유윤겸 [柳允謙],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ref> 박정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1728  유윤겸(柳允謙)]",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생애 및 활동사항===
 
===생애 및 활동사항===
할아버지는 [[민무구]](閔無咎)·[[민무질]](閔無疾) 사건에 연루되어 죄를 입고, 아버지는 연좌죄로 관노가 되었다가 뒤에 사면되어 평민이 되었다. 아버지가 억울한 생활을 하는 동안 두보시(杜甫詩)에 정통했기 때문에 그것을 배워 과거를 치르기도 전에 세종의 부름으로 포의(布衣)로서 두시의 찬주(撰註)에 참여하였다.
+
할아버지는 [[민무구|민무구(閔無咎)]]·[[민무질|민무질(閔無疾)]] 사건에 연루되어 죄를 입고, 아버지는 연좌죄로 관노가 되었다가 뒤에 사면되어 평민이 되었다. 아버지로부터 학문을 배웠으며 특히 두보시(杜甫詩)에 정통하였다. 1443년(세종 25) 4월 『[[분류두공부시언해|두시언해]]』 편찬사업에서 신분을 가리지 않고 두보시에 실력이 있는 사람을 뽑았는데, 유윤겸은 이 때 포의(布衣)로서 두시의 찬주(撰註)에 참여하였다. 1455년(세조 1) 과거 응시를 허락해 달라고 상언한 결과, 허락을 얻어 1462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465년 사헌부감찰이 되자 사간원에서 유윤겸의 선대 할아버지의 죄를 지적하면서 규찰 임무를 맡길 수 없다는 주장도 있었으나, 이미 벼슬길이 허용된 관계로 그대로 감찰직이 제수되었다. 1466년 교리(校理)로서 발영시(拔英試)에 2등으로 급제하였다. 그 뒤 성균관사성을 지냈으며, 1480년(성종 11) 중국에서 오는 사신들과 창화(唱和)를 할 수 있는 젊은 문신들에게 두시를 교습시켰다.<ref> 박정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1728  유윤겸(柳允謙)]",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455년(세조 1) 과거 응시를 허락해 달라고 상언한 결과, 허락을 얻어 1462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465년 사헌부감찰이 되자 사간원에서 유윤겸의 선대 할아버지의 죄를 지적하면서 규찰 임무를 맡길 수 없다는 주장도 있었으나, 이미 벼슬길이 허용된 관계로 그대로 감찰직이 제수되었다.
+
===학문적 업적===
1466년 교리(校理)로서 발영시(拔英試)에 2등으로 급제하였다. 그 뒤 성균관사성을 지냈으며, 1480년(성종 11) 중국에서 오는 사신들과 창화(唱和)를 할 수 있는 젊은 문신들에게 두시를 교습시켰다. 이듬해는 왕명을 받아 조위(曺偉) 등과 함께 [[분류두공부시|분류두공부시언해]](分類杜工部詩諺解)』25권을 완성해 [[강희안]](姜希顔)의 필체인 을해자(乙亥字)로 간행해 국문학사상 큰 업적을 남겼다.
+
이듬해인 1481년(성종 12) 왕명을 받아 조위(曺偉) 등과 함께 [[분류두공부시|『분류두공부시언해(分類杜工部詩諺解)』]] 25권을 완성해 이를 [[강희안|강희안(姜希顔)]]의 필체인 [[을해자|을해자(乙亥字)]]간행하여 국문학사상 큰 업적을 남겼다. 1482년 홍문관부제학이 되었을 때는 언로를 널리 개방할 것(開廣言路), 현인과 재능있는 자를 등용할 것(任用賢才) 등을 상언해 왕의 인정을 받았다. 이듬해 공조참의가 되었으며, 또 왕명으로 [[서거정|서거정(徐居正)]]·[[노사신|노사신(盧思愼)]]·[[허종|허종(許琮)]]·[[어세겸|어세겸(魚世謙)]]·[[유순|유순(柳洵)]] 등과 함께 [[연주시격|『연주시격(聯珠詩格)』]]과 [[황산곡시집|『황산곡시집(黃山谷詩集)』]]을 한글로 번역하였다. 1484년 대사간을 거쳐 다시 부제학이 되어, 시관(試官)으로서 문신의 강서(講書)를 맡기도 하였다. 이후 동부승지·호조참의·돈녕부도정에 이르렀다.<ref> 박정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1728  유윤겸(柳允謙)]",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482년 홍문관부제학이 되었을 때는 언로를 널리 개방할 것(開廣言路), 현인과 재능있는 자를 등용할 것(任用賢才) 등을 상언해 왕의 인정을 받았다. 이듬해 공조참의가 되었으며, 또 왕명으로 [[서거정]](徐居正)·[[노사신]](盧思愼)·[[허종]](許琮)·[[어세겸]](魚世謙)·[[유순]](柳洵) 등과 함께 [[연주시격]](聯珠詩格)』과 『[[황산곡시집]](黃山谷詩集)』을 한글로 번역하였다.
 
1484년 대사간을 거쳐 다시 부제학이 되어, 시관(試官)으로서 문신의 강서(講書)를 맡기도 하였다. 이어서 동부승지·호조참의·돈녕부도정에 이르렀다.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1728  유윤겸 [柳允謙],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분류두공부시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
<html>
{|class="wikitable sortabl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23/A02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련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PAGENAME}}||[[분류두공부시]]||A는 B와 관련이 있다||
+
|[[유후]] || [[유윤겸]]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
 +
|[[유기]] || [[유윤겸]]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
 +
|[[유방선]] || [[유윤겸]]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유윤겸]] || [[이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유윤겸]] || [[두보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분류두공부시]] || [[유윤겸]]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분류두공부시]] || [[강희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분류두공부시]] || [[을해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연주시격]] || [[유윤겸]] ||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
|-
 +
|[[연주시격]] || [[서거정]] ||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
|-
 +
|[[연주시격]] || [[노사신]] ||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
|-
 +
|[[연주시격]] || [[허종]] ||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
|-
 +
|[[연주시격]] || [[어세겸]] ||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
|-
 +
|[[연주시격]] || [[유순]] ||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
|-
 +
|[[황산곡시집]] || [[유윤겸]] ||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
|-
 +
|[[황산곡시집]] || [[서거정]] ||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
|-
 +
|[[황산곡시집]] || [[노사신]] ||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
|-
 +
|[[황산곡시집]] || [[허종]] ||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
|-
 +
|[[황산곡시집]] || [[어세겸]] ||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
|-
 +
|[[황산곡시집]] || [[유순]] ||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
|-
 
|}
 
|}
 
 
 
<!--
 
<!--
 
===시간정보===
 
===시간정보===
63번째 줄: 101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
 
-->
 
  
 
==주석==
 
==주석==
71번째 줄: 107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 임홍빈, 김영배, 김성주, 임홍빈, 송준호,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1-2016.
 +
** 두보, 유윤겸, 등수명 『분류두공부시언해』, 홍문각, 1985.
  
===사료===
+
*논문
* 세조실록(世祖實錄)
+
** 이의강, 「朝鮮《杜詩諺解》硏究」, 北京師範大學: 中國古典文獻學(文學古籍整理) 박사학위논문, 2000.
* 성종실록(成宗實錄)
 
* 국조방목(國朝榜目)
 
* 해동잡록(海東雜錄)
 
* 조선도서해제(朝鮮圖書解題)
 
 
 
===논문===
 
*이의강, 「朝鮮《杜詩諺解》硏究」, Thesis(doctoral)-- 北京師範大學: 中國古典文獻學(文學古籍整理) 2000
 
 
 
  
[[분류:한글고문서]] [[분류:인물]]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인물]]

2017년 11월 25일 (토) 00:21 기준 최신판

유윤겸(柳允謙)
Joseon mungwan mid.png
대표명칭 유윤겸
한자표기 柳允謙
생몰년 1420년-미상
본관 서산(瑞山)
형수(亨叟)
시대 조선
대표직함 사헌부감찰, 홍문관부제학, 대사간, 부제학, 돈녕부도정
유방선
성격 문신
유형 인물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내용

가족관계

본관은 서령(서산)이고 자는 형수(형수)이다. 유후(柳厚)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기(柳沂)이다. 아버지는 유방선(柳方善)이다. [1]

생애 및 활동사항

할아버지는 민무구(閔無咎)·민무질(閔無疾) 사건에 연루되어 죄를 입고, 아버지는 연좌죄로 관노가 되었다가 뒤에 사면되어 평민이 되었다. 아버지로부터 학문을 배웠으며 특히 두보시(杜甫詩)에 정통하였다. 1443년(세종 25) 4월 『두시언해』 편찬사업에서 신분을 가리지 않고 두보시에 실력이 있는 사람을 뽑았는데, 유윤겸은 이 때 포의(布衣)로서 두시의 찬주(撰註)에 참여하였다. 1455년(세조 1) 과거 응시를 허락해 달라고 상언한 결과, 허락을 얻어 1462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465년 사헌부감찰이 되자 사간원에서 유윤겸의 선대 할아버지의 죄를 지적하면서 규찰 임무를 맡길 수 없다는 주장도 있었으나, 이미 벼슬길이 허용된 관계로 그대로 감찰직이 제수되었다. 1466년 교리(校理)로서 발영시(拔英試)에 2등으로 급제하였다. 그 뒤 성균관사성을 지냈으며, 1480년(성종 11) 중국에서 오는 사신들과 창화(唱和)를 할 수 있는 젊은 문신들에게 두시를 교습시켰다.[2]

학문적 업적

이듬해인 1481년(성종 12) 왕명을 받아 조위(曺偉) 등과 함께 『분류두공부시언해(分類杜工部詩諺解)』 25권을 완성해 이를 강희안(姜希顔)의 필체인 을해자(乙亥字)로 간행하여 국문학사상 큰 업적을 남겼다. 1482년 홍문관부제학이 되었을 때는 언로를 널리 개방할 것(開廣言路), 현인과 재능있는 자를 등용할 것(任用賢才) 등을 상언해 왕의 인정을 받았다. 이듬해 공조참의가 되었으며, 또 왕명으로 서거정(徐居正)·노사신(盧思愼)·허종(許琮)·어세겸(魚世謙)·유순(柳洵) 등과 함께 『연주시격(聯珠詩格)』『황산곡시집(黃山谷詩集)』을 한글로 번역하였다. 1484년 대사간을 거쳐 다시 부제학이 되어, 시관(試官)으로서 문신의 강서(講書)를 맡기도 하였다. 이후 동부승지·호조참의·돈녕부도정에 이르렀다.[3]

지식 관계망

  • 분류두공부시 지식관계망

관련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유후 유윤겸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유기 유윤겸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유방선 유윤겸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유윤겸 이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유윤겸 두보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분류두공부시 유윤겸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분류두공부시 강희안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분류두공부시 을해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연주시격 유윤겸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연주시격 서거정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연주시격 노사신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연주시격 허종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연주시격 어세겸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연주시격 유순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황산곡시집 유윤겸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황산곡시집 서거정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황산곡시집 노사신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황산곡시집 허종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황산곡시집 어세겸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황산곡시집 유순 A는 B에 의해 번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주석

  1. 박정자, "유윤겸(柳允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박정자, "유윤겸(柳允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박정자, "유윤겸(柳允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임홍빈, 김영배, 김성주, 임홍빈, 송준호,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1-2016.
    • 두보, 유윤겸, 등수명 『분류두공부시언해』, 홍문각, 1985.
  • 논문
    • 이의강, 「朝鮮《杜詩諺解》硏究」, 北京師範大學: 中國古典文獻學(文學古籍整理) 박사학위논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