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운

Encyves Wiki
복식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29일 (일) 14:27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유상운(柳尙運)
대표명칭 유상운
한자표기 柳尙運
생몰년 1636년-1707년
본관 문화(文化)
시호 충간(忠簡)
약재(約齋), 누실(陋室)
유구(悠久)
시대 조선
대표직함 판중추부사,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이조판서
배우자 이행원의 딸 전의 이씨
좌랑 유성오
박동량의 딸 반남 박씨
자녀 교리 유봉서, 좌의정 유봉휘, 부사 유봉일, 호조좌랑 유봉협, 좌랑 유봉래
성격 인물
유형 백관



정의

조선 후기의 문관이다.

내용

처음에는 노론에도 우호적이었으나 붕당과정에서 소론에 속하여 노론과 대립하였다.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 도제조, 『단종정순왕후복위부묘도감의궤』 도제조[1]를 역임하였고, 『인선왕후영릉산릉도감의궤(상)』 도청[2]을 맡았다가 체대(遞代)되었다.

관직

1660년(현종 1) 진사시에 급제하고, 1666년(현종 7) 별시 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승정원 주서가 되었다. 1680년(숙종 6) 대사간으로 특진되어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3]복성군(福城君)을 탄핵했다. 1683년(숙종 9) 사은사로 청에 다녀왔고 대사간을 거쳐 평안도 관찰사가 되었다. 서인이 분화할 때 윤증(尹拯), 박세채(朴世采) 등과 입장을 함께 하여 소론에 소속되었고, 김석주(金錫胄)를 탄핵했다. 1685년(숙종 11) 호조판서, 이조판서, 형조판서를 역임했다. 우참찬,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1696년(숙종 20) 영의정이 되었다. 1698년 삭직되었다가 판중추부사로 복직되었다. 1701년(숙종 25) 장희빈 사사에 반대하다가 파직되고, 다음해 충청도 직산에 부처되었다가 1704년(숙종 28) 복직되었다. 소론에 소속된 뒤에는 노론에 계속 반대하고 남인에 대하여 온건한 입장을 보였다.[4]

사후

전남 영암의 죽봉사에 제향되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유상운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 A는 B의 담당자였다 A edm:isRelatedTo B
유성오 유상운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박동량 유상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반남 박씨 유상운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이행원 유상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유상운 전의 이씨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유상운 유봉서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유상운 유봉희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유상운 유봉일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유상운 유봉협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유상운 유봉래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죽봉사 유상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유상운 백관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696년 유상운은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를 담당하였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단종정순왕후복위부묘도감의궤", 의궤 검색, 『규장각』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 "인선왕후영릉산릉도감의궤(상)", 의궤 검색, 『규장각』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 "경신대출척",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4. "유상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5. "유상운 필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숙종실록』
  • 『숙종실록보궐정오』
  • 『한국계행보』

더 읽을거리

  • "유상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 "유상운 필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