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물 → 신분)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관련항목==
+
{{개념정보
===인물 → 신분===
+
|사진= 궁중기록화 인물 영조01.jpg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90%; background:white;"  
+
|사진출처=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대표명칭=
|-  
+
|한자표기=
| [[경종]] || '''{{PAGENAME}}''' || A는 B이다 ||
+
|영문명칭=
 +
|이칭= 군부(君父)
 +
|유형= 신분
 +
|관련개념=
 +
}}
 +
 
 +
=='''정의'''==
 +
조선시대 절대권력자로, 타인을 지배하기 위한 강제력과 권력의 정당화가 수반되는 통치자이다.<ref>신명호, 『조선의 왕』, 가람기획, 1998, 75쪽.</ref>
 +
 
 +
=='''내용'''==
 +
왕의 지위는 장자상속제로 전대 [[왕]]의 적장자가 이어받는다. 천명(天命)을 받은 초월적 존재이며, 세속적 권력자로, 모든 백성과 토지를 소유하는 세속적 권력을 행사한다. 세속권력자로서 [[왕]]은 자신의 토지를 경작하는 세금을 거두어들이고, 백성들의 주인으로서 노동력도 징발할 수 있다. 국가제사장으로서 국가제례에서 신과 교류하는 대사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인간사회를 통치하면서 인사권, 상벌권, 사법권, 외교권 등을 가지고 있다. 국가를 대표해 왕의 이름으로 사신을 파견해 외국과의 외교를 수행하고, 국가 재정을 좌우할 수 있는 정치를 하며, [[백관]]을 임명 또는 파면하고, 그들에게 상벌을 내릴 수 있다. 왕은 최고입법자이면서 최고재판관으로 왕의 명령이 성문법의 기초가 되기도 했으며 왕이 직접 판결을 내리기도 했다. 가장 중요한 임무는 유교적 제사권을 가진 국가의 대제사장으로서의 임무이다.<ref>신명호, 『조선의 왕』, 가람기획, 1998, 95~145쪽.</ref>
 +
 
 +
=='''지식 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인조]] || 왕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 [[효종]] || 왕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 [[현종]] || 왕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 [[숙종]] || 왕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고종]] || '''{{PAGENAME}}''' || A는 B이다 ||
+
| [[영조]] ||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숙종]] || '''{{PAGENAME}}''' || A는 B이다 ||
+
| [[정조]] ||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순조]] || '''{{PAGENAME}}''' || A는 B이다 ||
+
| [[경종]] ||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영조]] || '''{{PAGENAME}}''' || A는 B이다 ||
+
| [[순조]] ||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인조]] || '''{{PAGENAME}}''' || A는 B이다 ||
+
| [[철종]] ||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정조]] || '''{{PAGENAME}}''' || A는 B이다 ||
+
| 왕 || [[왕비]]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헌종]] || '''{{PAGENAME}}''' || A는 B이다 ||
+
| 왕 || [[왕의 대례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신분 → 복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항목A!!항목B!!관계
 
 
|-
 
|-
| '''{{PAGENAME}}''' || [[왕의 제복]] || A는 B를 착용한다
+
| || [[왕의 조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의 조복]] || A는 B를 착용한다
+
| || [[왕의 상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의 상복]] || A는 B를 착용한다
+
| || [[왕의 군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의 융복]] || A는 B를 착용한다
+
| || [[왕의 융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의 편복]] || A는 B를 착용한다
+
| || [[왕의 편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400px>
 +
파일:철종-군복.JPG|왕의 군복을 착용한 철종 어진.<ref>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ref>
 +
</gallery>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신명호, 『조선의 왕』, 가람기획, 1998.
 +
* 신병주, 『왕으로 산다는 것』, 매경출판, 2017.
 +
* 육수화, 『조선의 왕과 왕세자, 왕관을 쓴 자의 무게』, 민속원, 2017.
 +
* 이덕일, 『조선 왕을 말하다 1』, 역사의 아침, 2010.
 +
* 이한우, 『조선의 숨은 왕, 문제적 인물 송익필로 읽는 당쟁의 역사』, 해냄출판사, 2010.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신분]]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개념]] [[분류:신분]]

2017년 11월 3일 (금) 00:17 기준 최신판


(王)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대표명칭
한자표기
이칭 군부(君父)
유형 신분



정의

조선시대 절대권력자로, 타인을 지배하기 위한 강제력과 권력의 정당화가 수반되는 통치자이다.[1]

내용

왕의 지위는 장자상속제로 전대 의 적장자가 이어받는다. 천명(天命)을 받은 초월적 존재이며, 세속적 권력자로, 모든 백성과 토지를 소유하는 세속적 권력을 행사한다. 세속권력자로서 은 자신의 토지를 경작하는 세금을 거두어들이고, 백성들의 주인으로서 노동력도 징발할 수 있다. 국가제사장으로서 국가제례에서 신과 교류하는 대사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인간사회를 통치하면서 인사권, 상벌권, 사법권, 외교권 등을 가지고 있다. 국가를 대표해 왕의 이름으로 사신을 파견해 외국과의 외교를 수행하고, 국가 재정을 좌우할 수 있는 정치를 하며, 백관을 임명 또는 파면하고, 그들에게 상벌을 내릴 수 있다. 왕은 최고입법자이면서 최고재판관으로 왕의 명령이 성문법의 기초가 되기도 했으며 왕이 직접 판결을 내리기도 했다. 가장 중요한 임무는 유교적 제사권을 가진 국가의 대제사장으로서의 임무이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인조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효종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현종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숙종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영조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정조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경종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순조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철종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왕비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왕의 대례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의 조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의 상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의 군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의 융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의 편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신명호, 『조선의 왕』, 가람기획, 1998, 75쪽.
  2. 신명호, 『조선의 왕』, 가람기획, 1998, 95~145쪽.
  3.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신명호, 『조선의 왕』, 가람기획, 1998.
  • 신병주, 『왕으로 산다는 것』, 매경출판, 2017.
  • 육수화, 『조선의 왕과 왕세자, 왕관을 쓴 자의 무게』, 민속원, 2017.
  • 이덕일, 『조선 왕을 말하다 1』, 역사의 아침, 2010.
  • 이한우, 『조선의 숨은 왕, 문제적 인물 송익필로 읽는 당쟁의 역사』, 해냄출판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