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8번째 줄: 8번째 줄:
 
|유형= 계몽/항일
 
|유형= 계몽/항일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독립기념관
+
|소장처= [[독립기념관]]
|필드수=7
+
|필드수=8
 
}}
 
}}
 +
 +
=='''개요'''==
 +
1894년 4월 (고종 31년) 고부군 백산(白山 : 현 전라북도 부안군 백산면)에서 수천명의 동학교도와 함께 4개조의 맹약을 맺고 궐기하는 전봉준.
 +
 
=='''설명'''==
 
=='''설명'''==
<br/>
+
===작품 소재===
 +
고부 군수 조병갑의 탐학에 대항한 고부민란을 수습하러 애려온 안핵사 이용태의 부당한 행동에 격분한 전봉준은 1894년 3월 인근의 동학접주에게 통문을 보내 보국안민을 위하여 봉기할 것을 호소하였고, 백산(白山)에 집결한 동학농민군의 수는 1만 명이 넘었다. 전봉준은 동도대장(東徒大將)에 추대되고 손화중·김개남을 총관령(總管領)으로 삼아 보좌하게 하였다. 동학농민군은  1)사람을 죽이거나 재물을 손상하지 말 것, 2) 충효를 다하여 세상을 구하고 백성을 편안히 할 것, 3) 일본오랑캐를 내쫓아 성도(聖道)를 밝힐 것, 4) 군사를 거느리고 입경하여 권귀(權貴)를 모두 죽일 것 등의 4개 행동강령을 내걸고 격문을 작성하여 통문으로 각처에 보내어 농민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요청하니, 민란은 전반적인 동학농민전쟁으로 전환되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6865 동학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20일.</ref>
 +
 
 +
===작품 배경===
  
  
 
=='''시각적 안내'''==
 
=='''시각적 안내'''==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파일: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800px|center]]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br/>
+
<imagemap>Image: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center|900px
 +
rect 266 149 440 462 [[전봉준]]
 +
</imagemap>
 +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 민족기록화'''==
계몽/항일 관련 작품
+
<gallery mode=packed caption="계몽항일 소재 작품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gallery>
 
 
파일: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파일: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파일: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장리석-홍주성수복]]
 
파일: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장리석-홍주성수복]]
39번째 줄: 48번째 줄:
  
 
=='''관련항목'''==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A항목||width="33%"|B항목||width="33%"|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PAGENAME}} ||~에 의해 그려지다|| [[오승윤]]
+
|[[오승윤]]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6년
 
|-
 
|-
|{{PAGENAME}} ||~에 소장되어 있다 || [[독립기념관]]  
+
|{{PAGENAME}} || [[전봉준]]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PAGENAME}} ||~을 소재로 삼다|| [[전봉준]]
+
|{{PAGENAME}} || [[동학농민전쟁]]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PAGENAME}} ||~을 소재로 삼다|| [[동학농민전쟁]]
+
|{{PAGENAME}} || [[독립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1998년-
 
|}
 
|}
  
 
=='''시간정보'''==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PAGENAME}}||제작연도|| 1976년
+
|1976년 || [[오승윤]]이 {{PAGENAME}}을 제작하였다.
 
|-
 
|-
|[[국회사무처]]||소장처|| 1979년
+
|1998년- || [[독립기념관]]이 {{PAGENAME}}를 소장하고 있다.
|-
 
|[[독립기념관]]||소장처|| 2017년
 
 
|}
 
|}
  
 
=='''공간정보'''==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PAGENAME}} ||소장처|| [[독립기념관]] || 36.783822 || 127.223257
+
|36.783676 || 127.223193 || [[독립기념관]]이 {{PAGENAME}}를 소장하고 있다.
 +
|-
 +
|35.719028 || 126.807356 || {{PAGENAME}}는 [[백산성]]을 배경으로 한다.
 
|}
 
|}
  
 
=='''그래프'''==
 
=='''그래프'''==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동학교주/동학교주.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참고문헌'''==
 
=='''참고문헌'''==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1981년, 65-69쪽.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년, 65-69쪽.
  
 
=='''주석'''==
 
=='''주석'''==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계몽/항일]]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계몽/항일]]

2017년 4월 21일 (금) 17:44 판


동학교주 전봉준
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
작가 오승윤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계몽/항일
분류 유화
소장처 독립기념관



개요

1894년 4월 (고종 31년) 고부군 백산(白山 : 현 전라북도 부안군 백산면)에서 수천명의 동학교도와 함께 4개조의 맹약을 맺고 궐기하는 전봉준.

설명

작품 소재

고부 군수 조병갑의 탐학에 대항한 고부민란을 수습하러 애려온 안핵사 이용태의 부당한 행동에 격분한 전봉준은 1894년 3월 인근의 동학접주에게 통문을 보내 보국안민을 위하여 봉기할 것을 호소하였고, 백산(白山)에 집결한 동학농민군의 수는 1만 명이 넘었다. 전봉준은 동도대장(東徒大將)에 추대되고 손화중·김개남을 총관령(總管領)으로 삼아 보좌하게 하였다. 동학농민군은 1)사람을 죽이거나 재물을 손상하지 말 것, 2) 충효를 다하여 세상을 구하고 백성을 편안히 할 것, 3) 일본오랑캐를 내쫓아 성도(聖道)를 밝힐 것, 4) 군사를 거느리고 입경하여 권귀(權貴)를 모두 죽일 것 등의 4개 행동강령을 내걸고 격문을 작성하여 통문으로 각처에 보내어 농민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요청하니, 민란은 전반적인 동학농민전쟁으로 전환되었다.[1]

작품 배경

시각적 안내

전봉준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오승윤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A는 B를 그렸다. 1976년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전봉준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동학농민전쟁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독립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1998년-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6년 오승윤이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을 제작하였다.
1998년- 독립기념관이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를 소장하고 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783676 127.223193 독립기념관이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를 소장하고 있다.
35.719028 126.807356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는 백산성을 배경으로 한다.

그래프


참고문헌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년, 65-69쪽.

주석

  1. "동학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