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영월 흥녕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가상현실)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2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사찰사지정보
 
{{사찰사지정보
 
|사진=  
 
|사진=  
21번째 줄: 20번째 줄:
  
 
=='''정의'''==
 
=='''정의'''==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법흥리에 있는 신라시대의 절터.<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980 흥녕선원지]", 신종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4일.</ref>
+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법흥리에 있는 절터.
  
 
=='''내용'''==
 
=='''내용'''==
이 절은 원래 [[자장|자장율사(慈藏律師)]]창건하였으며, 흥녕사를 [[사자산문|사자산파]]의 중심사찰로 성장시킨 것은 [[도윤|도윤(道允)]]의 제자인 [[절중|징효국사(澄曉國師)]]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979 흥녕선원]", 장충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4일.</ref> [[절중|징효국사]]882년(헌강왕 8)에 이 절에 와서 891년의 병화(兵火)를 피해 떠날 때까지 이곳에 살았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980 흥녕선원지]", 신종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4일.</ref> 전쟁으로 불에 타 없어져버린 흥녕사를 고려 [[혜종]] 원년(943)에 다시 세웠으나, 계속되는 재해로 폐허가 되고 현재는 선원지만 남아있다.<ref>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원형백과 한강 생활문화』, 문화콘텐츠닷컴, 2006.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93931&cid=49217&categoryId=49217 흥녕선원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14일.</ref> 이후 천년 가까이 흥녕사는 겨우 명맥만 유지해오다가, 1902년에 비구니 대원각(大圓覺)이 중건하여 절이름을 [[법흥사|법흥사(法興寺)]]로 고쳤다. 1912년에 화재를 만나 1930년에 중건하였으나, 이듬해의 산사태로 절터 일부와 석탑이 유실되었다. 1933년에 이곳에서 1㎞ 정도 산쪽으로 올라와 다시 절을 지었으니 곧 지금의 [[법흥사]]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980 흥녕선원지]", 신종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4일.</ref>
+
===역사===
 
+
흥녕선원(興寧禪院)은 [[자장|자장(慈藏)]]창건하였으며, [[도윤|도윤(道允)]]의 제자 [[절중|징효국사 절중(澄曉國師 折中)]]이 [[사자산문|사자산문(獅子山門)]]의 중심사찰로 성장시켰다.<ref>장충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979 흥녕선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절중]]882년([[신라 헌강왕]] 8)에 이 절에 와서 891년의 병화(兵火)를 피해 떠날 때까지 이곳에 살았다.<ref>신종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980 흥녕선원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전쟁으로 불에 타 없어져버린 흥녕사를 942년([[고려 혜종|혜종]] 1)에 다시 세웠으나, 계속되는 재해로 폐허가 되고 현재는 선원지만 남아있다.<ref>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원형백과 한강 생활문화』, 문화콘텐츠닷컴, 2006.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93931&cid=49217&categoryId=49217 흥녕선원지]", 문화원형백과 한강 생활문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이후 천년 가까이 흥녕사는 겨우 명맥만 유지해오다가, 1902년에 비구니 대원각(大圓覺)이 중건하여 절이름을 [[영월 법흥사|법흥사(法興寺)]]로 고쳤다. 1912년에 화재를 만나 1930년에 중건하였으나, 이듬해의 산사태로 절터 일부와 석탑이 유실되었다. 1933년에 이곳에서 1㎞ 정도 산쪽으로 올라와 다시 절을 지었으니 곧 지금의 [[영월 법흥사|법흥사]]다.<ref>신종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980 흥녕선원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법흥사]]로 들어가는 진입로 오른쪽 민가 옆에 위치한 흥녕사지는 법당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되는 집터(74평) 1곳을 포함해 약 1만평 규모로 현재 집터에는 일부 훼손된 주춧돌 10여 개만이 여기저기 나뒹굴고 있다. 특히 이 일대에 흩어져 있던 [[절중|징효국사]]의 [[영월 징효국사부도|부도]](강원유형문화재 72)와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부도탑비]](보물 612), 주인을 알 수 없는 부도(강원유형문화재 73) 1기, 금동불상 1기, 부도에 사용되었던 석재 등의 유물들은 대부분 [[법흥사]] 경내로 옮겨졌고 금동불상은 단국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다. 그 밖에 흥녕사지의 길을 알려주기 위한 3개의 안내석탑과 1개의 수호불상이 있었다고 전하는데 석탑은 제천시 장락에 있는 석탑, 무릉리 삼층석탑, 주천리 삼층석탑(강원문화재자료 28)이고 수호불상은 [[절중|징효국사]]가 입적한 곳인 요선정(강원문화재자료 41) 옆에 있는 마애여래좌상(강원유형문화재 74)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5747 흥녕선원지(興寧禪院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doopedia. 최종확인: 2017년 04월 14일.</ref>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599년 || 백제 법왕에 의해 오합사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다.
 
|-
 
|845년 || [[무염]]이 오합사의 주지가 되어 크게 중창하였다.
 
|-
 
| || 신라 문성왕 때 오합사에서 성주사로 개명되었다.
 
|-
 
|888년 || [[무염]]이 성주사에서 입적하였다.
 
|-
 
|임진왜란기 || 보령 성주사 건물이 크게 소실되었다.
 
|-
 
|1984년  || 사적 제 307호로 지정되었다.
 
|}
 
  
비는 흥녕선원을 크게 발전시킨 징효대사의 행적을 기리기 위하여 고려 혜종 원년(944)에 세운 탑비이다. 징효대사는 사자산문파의 개산조 도윤국사의 제자로서 당대 선풍을 크게 일으켰다.
+
===현황===
 +
[[영월 법흥사|법흥사(法興寺)]]로 들어가는 진입로 오른쪽 민가 옆에 위치한 흥녕사지(興寧禪址)는 법당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되는 집터 1곳을 포함해 약 1만평 규모로 현재 집터에는 일부 훼손된 주춧돌 10여 개만이 여기저기 나뒹굴고 있다. 특히 일대에 흩어져 있던 [[절중|절중(折中)]]의 [[영월 징효국사부도|징효국사 부도(澄曉國師 浮屠)]]와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징효대사탑비(澄曉大師塔碑)]], 주인을 알 수 없는 부도 1기, 금동불상 1기, [[영월 징효국사부도|징효국사부도]]사용되었던 석재 등의 유물들은 대부분 [[영월 법흥사|법흥사]] 경내로 옮겨졌고 금동불상은 단국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5747 흥녕선원지(興寧禪院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최언위(崔彦撝)가 짓고, 최윤(崔潤)이 쓰고, 최환규(崔奐規)가 새겼습니다
+
===관련 문화유산===
 +
*[[영월 법흥사]]
 +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
*[[영월 징효국사부도]]
  
=='''관련항목'''==
+
=='''지식관계망'''==
 +
*'''영월 흥녕사지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06/temple_heungnyeong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 [[영월 흥녕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 [[영월 징효국사부도]] || [[영월 흥녕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보령 성주사지 중앙삼층석탑]]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 [[절중]]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 [[사자산문]] || [[영월 흥녕사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 [[영월 흥녕사지]] || [[영월 법흥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
|[[보령 성주사지 석등]]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보령 성주사지 석계단]]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643년 || [[자장]]이 당나라에서 귀국하였다
 
|-
 
|-
|[[보령 성주사지 석불입상]]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891년 || [[영월 흥녕사지|흥녕사]]가 병화로 소실되었다
 
|-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무염]]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944년 || [[영월 흥녕사지|흥녕사]]가 중건되었다
 
|-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최치원]]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1902년 || [[영월 흥녕사지|흥녕사]][[영월 법흥사|법흥사]]로 개칭되었다
 
|-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최인연]]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1930년|| [[영월 법흥사|법흥사]]를 다시 중건하였으나, 이듬해에 산사태로 절터의 일부가 유실되었다.
|-
 
|[[무염]]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보령 성주사지 || [[구산선문]] || A는 B에 포함된다 ||
 
|-
 
|[[성주산문]] || [[구산선문]] || A는 B에 포함된다 ||
 
|-
 
|[[성주산문]] || [[선종]] || A는 B에 포함된다 ||
 
 
|-
 
|-
 +
|1971년 || 강원기념물 제6호로 지정되었다.
 
|}
 
|}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06/beopheungsa.htm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06/beopheung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
=='''참고문헌'''==
 +
* 신종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980 흥녕선원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장충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979 흥녕선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원형백과 한강 생활문화』, 문화콘텐츠닷컴, 2006.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93931&cid=49217&categoryId=49217 흥녕선원지]", 문화원형백과 한강 생활문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5747 흥녕선원지(興寧禪院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승탑비문 Top icon}}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검토요청]]

2018년 9월 29일 (토) 05:24 기준 최신판

영월 흥녕사지
(寧越 興寧禪址)
대표명칭 영월 흥녕사지
한자 寧越 興寧禪址
이칭 흥녕선원지(興寧禪院址)
주소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법흥리 385
문화재 지정번호 강원기념물 제6호
문화재 지정일 1971년 12월 16일
관리자 법흥사
교구정보 대한불교조계종
건립시기 신라시대
창건자 자장
경내문화재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영월 징효국사부도



정의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법흥리에 있는 절터.

내용

역사

흥녕선원(興寧禪院)은 자장(慈藏)이 창건하였으며, 도윤(道允)의 제자 징효국사 절중(澄曉國師 折中)사자산문(獅子山門)의 중심사찰로 성장시켰다.[1] 절중은 882년(신라 헌강왕 8)에 이 절에 와서 891년의 병화(兵火)를 피해 떠날 때까지 이곳에 살았다.[2] 전쟁으로 불에 타 없어져버린 흥녕사를 942년(혜종 1)에 다시 세웠으나, 계속되는 재해로 폐허가 되고 현재는 선원지만 남아있다.[3] 이후 천년 가까이 흥녕사는 겨우 명맥만 유지해오다가, 1902년에 비구니 대원각(大圓覺)이 중건하여 절이름을 법흥사(法興寺)로 고쳤다. 1912년에 화재를 만나 1930년에 중건하였으나, 이듬해의 산사태로 절터 일부와 석탑이 유실되었다. 1933년에 이곳에서 1㎞ 정도 산쪽으로 올라와 다시 절을 지었으니 곧 지금의 법흥사다.[4]

현황

법흥사(法興寺)로 들어가는 진입로 오른쪽 민가 옆에 위치한 흥녕사지(興寧禪址)는 법당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되는 집터 1곳을 포함해 약 1만평 규모로 현재 집터에는 일부 훼손된 주춧돌 10여 개만이 여기저기 나뒹굴고 있다. 특히 이 일대에 흩어져 있던 절중(折中)징효국사 부도(澄曉國師 浮屠)징효대사탑비(澄曉大師塔碑), 주인을 알 수 없는 부도 1기, 금동불상 1기, 징효국사부도에 사용되었던 석재 등의 유물들은 대부분 법흥사 경내로 옮겨졌고 금동불상은 단국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다.[5]

관련 문화유산

지식관계망

  • 영월 흥녕사지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영월 흥녕사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영월 징효국사부도 영월 흥녕사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절중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사자산문 영월 흥녕사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영월 흥녕사지 영월 법흥사 A는 B의 터이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643년 자장이 당나라에서 귀국하였다
891년 흥녕사가 병화로 소실되었다
944년 흥녕사가 중건되었다
1902년 흥녕사법흥사로 개칭되었다
1930년 법흥사를 다시 중건하였으나, 이듬해에 산사태로 절터의 일부가 유실되었다.
1971년 강원기념물 제6호로 지정되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주석

  1. 장충식, "흥녕선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신종원, "흥녕선원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원형백과 한강 생활문화』, 문화콘텐츠닷컴, 2006. 온라인 참조: "흥녕선원지", 문화원형백과 한강 생활문화,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신종원, "흥녕선원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흥녕선원지(興寧禪院址)", 『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

  • 신종원, "흥녕선원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장충식, "흥녕선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원형백과 한강 생활문화』, 문화콘텐츠닷컴, 2006. 온라인 참조: "흥녕선원지", 문화원형백과 한강 생활문화,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흥녕선원지(興寧禪院址)", 『두산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