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영총 고분벽화

Encyves Wiki
민족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26일 (화) 23:58 판 (참고문헌)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쌍영총 고분벽화
(雙楹塚 古墳壁畫)
민족 일러 쌍영총.png
대표명칭 쌍영총 고분벽화
한자표기 雙楹塚 古墳壁畫
유형 고분벽화
시대 고구려
소장처 평안남도 용강군 용강면 안성리
관련유물유적 쌍영총



정의

평안남도 남포시 용강군에 위치한 고구려 시대의 고분 쌍영총 내부에 그려진 벽화이다.

내용

쌍영총은 앞방의 남벽 중앙에 달린 널길, 앞방, 앞방과 뒷방 사이의 통로, 뒷방으로 이루어진 두방무덤[二室墳]이다.
벽화는 회벽 위에 그렸는데 일부 손상이 있으나 뒷방 서벽을 제외하고는 전체 벽면이 양호한 편이다. 벽화 내용은 약수리 벽화분, 대안리 1호분과 같이 사신도(四神圖)와 인물풍속도(人物風俗圖)이다. 다만 이들이 사신을 뒷방에 배치한 것과 달리 쌍영총에서는 앞방과 뒷방에 나누어 배치하였다.[1]

널길

널길의 동벽에는 소가 끄는 수레 2대, 기사(騎士) 3명 등 30여 명이 등장하는 행렬도 그림이 있다. 서벽에도 소수레나 기사 등으로 구성된 행렬도가 있으며, 천장에는 구름무늬가 묘사되어 있다.

앞방

앞방 입구의 좌우측에는 수문장격인 험상궂은 역사(力士)의 모습이 희미하게 남아 있는데, 고리자루큰칼[環頭大刀]도 보인다. 동·서벽에는 청룡과 백호가 묘사되어 있는데, 많이 손상되어 알아보기 힘들다.

뒷방

뒷방 남벽에는 주작이, 북벽에는 현무가 묘사되어 있다. 무덤의 주인공인 부부의 생활상을 그린 풍속도는 현무와 함께 북벽에 그려졌다. 주인공 부부상은 덕흥리 벽화고분처럼 평상 위에 나란히 정좌해 있으며, 화려한 붉은색 의복을 입었다. 부부는 안악 3호분이나 덕흥리 벽화고분처럼 신상화(神像化)되어 있다. 동벽에는 승려 등 9명의 공양행렬도가 그려져 있다. 여기에 표현된 인물은 신분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묘사되어 고대미술의 특징인 위계적 표현을 잘 보여주며, 의복에서도 신분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난다. 서벽에도 장막과 우산 등의 흔적이 보여 행렬도가 그려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쌍영총 고분벽화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쌍영총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쌍영총 고분벽화 쌍영총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쌍영총 고구려 고분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삼실총 고구려 고분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통구12호분 고구려 고분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13년 일본인들이 쌍영총을 발견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8.863702 125.418705 쌍영총은 평안남도 용강군 용강면 안성리에 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나사라, 『사신도 도록』, 신광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네이버 지식백과』online</online></html>.
  3. 나사라, 『사신도 도록』, 신광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네이버 지식백과』online</online></html>.
  4. 나사라, 『사신도 도록』, 신광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네이버 지식백과』online</online></html>.
  5. 나사라, 『사신도 도록』, 신광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네이버 지식백과』online</online></html>.
  6. 나사라, 『사신도 도록』, 신광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네이버 지식백과』online</online></html>.
  7. 나사라, 『사신도 도록』, 신광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네이버 지식백과』online</online></html>.
  8. 나사라, 『사신도 도록』, 신광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네이버 지식백과』online</online></html>.
  9. 나사라, 『사신도 도록』, 신광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네이버 지식백과』online</online></html>.
  10.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1. 나사라, 『사신도 도록』, 신광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네이버 지식백과』online</online></html>.
  12. 나사라, 『사신도 도록』, 신광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네이버 지식백과』online</online></html>.
  13. 나사라, 『사신도 도록』, 신광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네이버 지식백과』online</online></html>.
  14. 나사라, 『사신도 도록』, 신광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네이버 지식백과』online</online></html>.
  15. 나사라, 『사신도 도록』, 신광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네이버 지식백과』online</online></html>.
  16. 나사라, 『사신도 도록』, 신광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네이버 지식백과』online</online></html>.
  17. 나사라, 『사신도 도록』, 신광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네이버 지식백과』online</online></html>.
  18. 나사라, 『사신도 도록』, 신광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네이버 지식백과』online</online></html>.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국립문화재연구소 편집부, 『고고학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온라인 참조: "쌍영총", 고고학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이영훈, 신광섭, 『한국 미의 재발견 - 고분미술』, 솔출판사, 2005. 온라인 참조: "쌍영총", 한국 미의 재발견-고분미술,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나사라, 『사신도 도록』, 신광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쌍기둥무덤", 사신도 도록>『네이버 지식백과』online</online></html>.
    •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