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전자취염초방언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신전자취염초방언해에 저자 이서(李曙)에 대해서)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신전자취염초방언해
 
|대표명칭=신전자취염초방언해
|한자표기=新前煮取焰硝方諺解
+
|한자표기=新傳煮取焰硝方諺解
 
|영문명칭=
 
|영문명칭=
 
|이칭=
 
|이칭=
52번째 줄: 52번째 줄:
 
마지막 판본은 1685년의 복간본으로 1796년(정조 20)에 간행된 것이다. [[화포식언해]]와 함께 1698년(숙종 24)에 김지남이 지어 간행한 [[신전자초방언해]]의 중간본인 1796년판까지 합본되어 있다.
 
마지막 판본은 1685년의 복간본으로 1796년(정조 20)에 간행된 것이다. [[화포식언해]]와 함께 1698년(숙종 24)에 김지남이 지어 간행한 [[신전자초방언해]]의 중간본인 1796년판까지 합본되어 있다.
 
<ref>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349 신전자취염초방언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 중앙연구원.</ref>
 
<ref>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349 신전자취염초방언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 중앙연구원.</ref>
 
+
<!--
 
===[[신전자취염초방언해]]에 저자 [[이서|이서(李曙)]]에 대해서===
 
===[[신전자취염초방언해]]에 저자 [[이서|이서(李曙)]]에 대해서===
본관은 전주 자는 자는 인숙(仁叔), 호는 월봉(月峰). [[효령대군|효령대군(孝寧大君)]]의 7대손이며, 아버지는 목사 완령부원군(完寧府院君) [[경록|경록(慶祿)]]이며, 어머니는 감찰 [[이학증|이학증(李學曾)]]의 딸이다.
 
 
1603년(선조 36) 무과에 급제해 행사용(行司勇), 진도군수 등을 지냈다. 1618년(광해군 10) 대북파에서 폐모론이 일어났을 때 무인으로서 그 만이 정청(政廳)에 불참하였다. 그 뒤 장단부사로 경기방어사를 겸했고, 1623년 [[인조반정]] 때 [[김류|김류(金瑬)]], [[이귀|이귀(李貴)]] 등과 함께 공을 세워 호조판서에 승진되고 정국공신(靖國功臣) 1등에 책록되었으며 완풍군(完豊君)에 봉해졌다.  
 
1603년(선조 36) 무과에 급제해 행사용(行司勇), 진도군수 등을 지냈다. 1618년(광해군 10) 대북파에서 폐모론이 일어났을 때 무인으로서 그 만이 정청(政廳)에 불참하였다. 그 뒤 장단부사로 경기방어사를 겸했고, 1623년 [[인조반정]] 때 [[김류|김류(金瑬)]], [[이귀|이귀(李貴)]] 등과 함께 공을 세워 호조판서에 승진되고 정국공신(靖國功臣) 1등에 책록되었으며 완풍군(完豊君)에 봉해졌다.  
 
이어 경기관찰사가 되었으나 1624년(인조 2) [[이괄|이괄(李适)]]의 반란이 일어나자 관찰사로 부원수(副元帥)를 겸해 적을 추격, 송도(松都)에 이르렀으나, 여러 가지 어려운 사정으로 요해처에 웅거한 채 출전하지 못해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 이어 총융사(摠戎使)로서 왕에게 건의해 남한산성을 수축하고 군량을 많이 확보했으며, 삼혈총(三穴銃 : 砲身이 세 개가 겹쳐있는 총)과 조총(鳥銃)을 많이 제조해 적의 침공에 대비하였다. 1632년에는 특명으로 공조판서가 되어 각처에 산성을 수축해 청나라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이어 경기관찰사가 되었으나 1624년(인조 2) [[이괄|이괄(李适)]]의 반란이 일어나자 관찰사로 부원수(副元帥)를 겸해 적을 추격, 송도(松都)에 이르렀으나, 여러 가지 어려운 사정으로 요해처에 웅거한 채 출전하지 못해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 이어 총융사(摠戎使)로서 왕에게 건의해 남한산성을 수축하고 군량을 많이 확보했으며, 삼혈총(三穴銃 : 砲身이 세 개가 겹쳐있는 총)과 조총(鳥銃)을 많이 제조해 적의 침공에 대비하였다. 1632년에는 특명으로 공조판서가 되어 각처에 산성을 수축해 청나라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어영제조(御營提調)로 왕을 호종하고 남한산성에 들어가 지키다가, 이듬 해 정월에 적군이 겹겹이 포위하고 항복을 재촉하는 가운데 과로로 순직하였다. 저서로는 [[화포식언해]]와 [[마경언해(馬經諺解)]]가 있다. 시호는 충정(忠定)이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어영제조(御營提調)로 왕을 호종하고 남한산성에 들어가 지키다가, 이듬 해 정월에 적군이 겹겹이 포위하고 항복을 재촉하는 가운데 과로로 순직하였다. 저서로는 [[화포식언해]]와 [[마경언해(馬經諺解)]]가 있다. 시호는 충정(忠定)이다.
 
<ref> 차용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650 이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 중앙연구원.</ref>
 
<ref> 차용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650 이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 중앙연구원.</ref>
 
+
-->
 
===무관 [[성근(成根)]] 과 [[신전자취염초방언해]]에서 나타나는 염초 정제기술===
 
===무관 [[성근(成根)]] 과 [[신전자취염초방언해]]에서 나타나는 염초 정제기술===
 
생몰년은 알수가 없으며 다만 [[인조]]시기 별장을 지낸 무장이다. 염초 달이는 방법을 성공적으로 연구하고 실험한 사람이다. 화약의 주원료인 염초를 만드는 기술이 제대로 발달되지 못하여 우리나라는 일찍부터 화약을 중국에서 사들여 왔으므로, 그 공급량이 충분하거나 일정하지 못하였다.  
 
생몰년은 알수가 없으며 다만 [[인조]]시기 별장을 지낸 무장이다. 염초 달이는 방법을 성공적으로 연구하고 실험한 사람이다. 화약의 주원료인 염초를 만드는 기술이 제대로 발달되지 못하여 우리나라는 일찍부터 화약을 중국에서 사들여 왔으므로, 그 공급량이 충분하거나 일정하지 못하였다.  

2017년 12월 14일 (목) 16:46 기준 최신판

신전자취염초방언해(新傳煮取焰硝方諺解)
Old book.png
대표명칭 신전자취염초방언해
한자표기 新傳煮取焰硝方諺解
유형 문헌
저자 이서
편자 이서
저술시기 1635년
간행처 군기시
시대 조선시대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정의

화약의 재료인 염초를 채취부터 정제까지, 그 과정을 기록한 신전자취염초방을 언해한 고서이다.

내용

신전자취염초방언해에 대해서

신전자취염초방언해은 완풍군(完豊君) 이서(1580-1637)가 1635년(인조 13)에 화약의 원료인 염초를 채취하고 정제하는 과정을 기술한 고서이다. 이 이문서는 화포식언해와 합철되어있다. 신전자초방언해는 본래 신전자취염초방언해을 수정하여 간행한 책이나, 원문인 신전자초방화포식언해와는 합철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서적임을 알 수 있겠다. 신전자취염초방언해이 만들어진 이유는 화약 원료인 염초를 국내에서 보급하는 것이 어려워 매번 중국에서 매입하는 상황이었다. 이 시기에 관서(關西)출신 무관인 성근(成根)이 중국에 잡혀포로가 되었다가 생환한 사람들과 중국 사람들에게 물어서 염초 채취 및 정제 기술을 익혔다. [1]

신전자취염초방언해의 판본에 대해서

현재 판본은 총 3가지가 있는데 모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첫번째 판본은 원간본으로 구안춘근 소장본이며, 화포식언해와 함께 한 책으로 묶여 있다. 책 끝에는 최명길의 발문과 간기 "숭정8년 8월 일간"가 적혀있다. 두번째 판본은 1685년(숙종 11)에 중간된 것이다. 그리고 간기에 감교관의 이름이 더 적혀있다. 또한 화포식언해와 필사본인 매화법이 합철되어있다. 이 책도 첫번째 판본과 같이 서문은 없고 동일한 최명길 발문이 있다. 마지막 판본은 1685년의 복간본으로 1796년(정조 20)에 간행된 것이다. 화포식언해와 함께 1698년(숙종 24)에 김지남이 지어 간행한 신전자초방언해의 중간본인 1796년판까지 합본되어 있다. [2]

무관 성근(成根)신전자취염초방언해에서 나타나는 염초 정제기술

생몰년은 알수가 없으며 다만 인조시기 별장을 지낸 무장이다. 염초 달이는 방법을 성공적으로 연구하고 실험한 사람이다. 화약의 주원료인 염초를 만드는 기술이 제대로 발달되지 못하여 우리나라는 일찍부터 화약을 중국에서 사들여 왔으므로, 그 공급량이 충분하거나 일정하지 못하였다. 중국입장에서 보면, 화약 제조법 자체가 군사 기밀이어서 조선이 공식적 루트로도 구입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명나라 때는 요청에 의해서 염초를 구할 수 있었지만, 청나라 때는 조선과의 외교관계 때문에 더욱 어려워 졌다. 그러한 이유로 인해 국방에 꼭 필요한 화약이 항시 부족한 것을 걱정하던 성근은, 포로들이나 다른 중국 사람들에게서 배우고 연구하여 무고(武庫)에서 실험한 결과 힘은 전보다 쉽고도 100배나 성능이 좋은 화약제조 방법을 개발할 수 있었다. 성근에 관해서는 문헌에 알려진 것이 없으나 1698년(숙종 24)에 간행된 역관 김지남신전자초방에 실려 있는 간기에서 성근이 관서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겠다. [3]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신전자취염초방언해 신전자취염초방 A는 B의 언해본이다 A edm:isDerivativeOf B
신전자취염초방언해 성근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신전자취염초방언해 최명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신전자취염초방언해 화포식언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신전자취염초방언해 신전자초방언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신전자취염초방언해 매화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신전자초방언해 신전자초방 A는 B의 언해본이다 A edm:isDerivativeOf B
신전자초방 김지남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신전자취염초방 이서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화포식언해 이서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마경언해 이서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이서 인조반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인조반정 인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인조반정 이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경록 이서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효령대군 이경록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이서 이학증 A는 B의 후손이다 A ekc:hasncestor B
신전자취염초방언해 임진왜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신전자취염초방언해 병자호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신전자취염초방언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635년 신전자취염초방언해가 간행되었다
1685년 신전자취염초방언해가 중간되었다
1796년 신전자취염초방언해 1685년 판본을 복간 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991 127.054362 신전자취염초방언해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있다.


주석

  1. 신전자취염초방, 『국립중앙과학관』online, 국립중앙과학관.
  2. 신전자취염초방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 중앙연구원.
  3. 고경신, 성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 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유용한 자료

  • 신전자취염초방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 중앙연구원.
  • 신전자취염초방, 『국립중앙과학관』online, 국립중앙과학관.
  • 차용걸, 이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 중앙연구원.
  • 고경신, 성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 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