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신라 헌강왕

Encyves Wiki
김현규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30일 (토) 22:19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신라 헌강왕(新羅 憲康王)
대표명칭 신라 헌강왕
한자표기 新羅 憲康王
생몰년 -886년
이칭 김정(金晸)
시대 신라시대
국적 신라
신라 경문왕
문의왕후
자녀 신라 효공왕
전임자 신라 경문왕
후임자 신라 정강왕
능묘 경주 헌강왕릉



정의

신라 제49대왕.

내용

헌강왕은 866년(경문왕 6) 태자로 봉해졌으며, 875년(경문왕 15) 음력 7월에 아버지 경문왕이 죽자 그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삼국사기』에는 헌강왕이 글 읽기를 좋아했으며 한 번 보기만 해도 모두 입으로 읊을 수 있을 만큼 천성이 총명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1]

즉위한 뒤 불교와 국학(國學)에 대한 관심을 아울러 가졌다. 이를 통하여 국학에 적극적이었던 6두품 신분층의 정치적 성장이 이루어졌다. 876년(헌강왕 2)과 886년에 황룡사(皇龍寺)에서 백고좌강경(百高座講經)을 설치하고 친히 가서 들었다. 이러한 왕의 사찰행(寺刹幸)은 불력에 의한 국가의 재건과 왕실의 안녕을 위한 출행이었다.[2]

879년(헌강왕 5) 일길찬 신홍(信弘)이 모반의 혐의로 처형되는 사건이 벌어지기는 했으나 상대적으로 정치적 안정이 유지되었다. 자연재해도 일어나지 않고 해마다 풍년이 들어 백성의 삶도 안정되었다. 『삼국사기』에는 880년 헌강왕이 음력 9월 9일에 신하들과 월상루(月上樓)에 올라가 사방을 바라보니 금성에 민가가 즐비하고 곳곳에서 노랫소리가 들려왔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유함은 신라 전체가 아닌, 이른바 금입택과 같은 진골귀족에 국한된 것으로 본다. 오히려 , 『삼국유사』에는 헌강왕대에 신라 하대 사회의 위기의식을 나타낸 기록이 나타나기도 한다.[3]

헌강왕이 이름을 지어준 탑비로는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碑),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碑)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堤川 月光寺址 圓朗禪師塔碑),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襄陽 禪林院址 弘覺禪師塔碑)등이 있다. 또 문경 봉암사(聞慶 鳳巖寺)의 사찰명을 하사하기도 했다.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신라 경문왕 신라 헌강왕 A의 아들은 B이다 A ekc:hasSon B
신라 헌강왕 신라 효공왕 A의 아들은 B이다 A ekc:hasSon B
경주 헌덕왕릉 신라 헌강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경주 황룡사 신라 헌강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신라 헌강왕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A dc:contributor B
체징 신라 헌강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신라 헌강왕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A dc:contributor B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신라 헌강왕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A dc:contributor B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신라 헌강왕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A dc:contributor B
문경 봉암사 신라 헌강왕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A dc:contributor B
대통 신라 헌강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도헌 신라 헌강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체징 신라 헌강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주석

  1. "헌강왕", 『두산백과』online.
  2. "헌강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3. "헌강왕", 『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

  • "헌강왕", 『두산백과』online.
  • "헌강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헌강왕", 『위키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