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선암사 원통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승탑비문 Top icon}} {{승탑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순천 선암사 대웅전 |영문명칭=Daeungjeon Hall of Seonamsa Temple, Suncheon |한자=順天 仙...)
 
(지식 관계망)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6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
{{유물유적정보
{{승탑정보
+
|사진= BHST_Seonamsa_wontongjeon.jpg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순천 선암사 대웅전
+
|대표명칭= 순천 선암사 원통전
|영문명칭=Daeungjeon Hall of Seonamsa Temple, Suncheon
+
|한자표기= 順天 仙岩寺 圓通殿
|한자=順天 仙巖寺 大雄殿
+
|영문명칭= Wontongjeon Hall of Seonamsa Temple, Suncheon
 
|이칭=
 
|이칭=
|지정번호=보물 제1311호
+
|유형=
|지정일=2001년 06월 08일
+
|시대= 조선시대
|주소=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  
+
|지정번호= 전남유형문화재 제169호
|경위도= 34.996552, 127.331175
+
|지정일= 1990년 2월 24일
|소유자=[[순천 선암사]]
+
|소장처=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  
|관리자=[[순천 선암사]]
+
|경도= 127.331175
|크기=
+
|위도= 34.996552
|건립시대=조선시대
+
|수량=
|관련승려=[[의천]]
+
|관련인물= [[의천]], [[경잠]], [[경준]], [[문정]], [[해붕]], [[눌암]], [[익종]]
|관련탑비=
+
|관련단체=  
|필드수=16
+
|관련장소= [[순천 선암사]]
 +
|관련물품=
 +
|관련유물유적=
 
}}
 
}}
 
  
 
=='''정의'''==
 
=='''정의'''==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순천 선암사|선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ref>천득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799 선암사원통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내용'''==
 
=='''내용'''==
원통전은 관세음보살을 주불로 봉안한 전각이며 보통 관음전(觀音殿)이라고도 한다. 선암사의 원통전은 1660년 경잠·경준·문정 3대사가 초창하여 1698년 약휴대사(若休大師)가 중창하였고, 그후 1824년에 해봉·눌암·익종 3대사가 중수했다. 또한 운악돈각(雲岳頓覺)선사의 유촉으로 1000여 원을 회사하여 1923년에 중수하였다.
+
===원통전의 역사와 특징===
 
+
원통전은 [[관세음보살]]을 주불로 봉안한 전각이며 보통 관음전(觀音殿)<ref>관세음보살을 모신 불전</ref>이라고도 한다. [[순천 선암사|선암사]]의 원통전은 1660년 [[경잠|경잠(敬岑)]]·[[경준|경준(敬俊)]]·[[문정|문정(文正)]]이 처음 지었고, 1698년 [[약휴|약휴대사(若休大師)]]고쳐지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1690000,36&flag=Y 선암사원통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그후 1824년에 [[해붕|해붕(海鵬)]], [[눌암|눌암(訥庵)]], [[익종|익종(益宗)]]이 중수했다. 또한 [[운악돈각|운악돈각(雲岳頓覺)]]선사의 유촉으로 1000여 원을 회사하여 1923년에 중수하였다.<ref>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6』, 사찰문화연구원, 1996. 283쪽.</ref>
선암사는 일주문, 대웅전을 잇는 남북축선상에 대웅전 좌우로 설선당과 심검당을 두어 중정을 형성하고 그 위에 여러 전각들을 지세에 맞게 배치하였는데, 원통전도 그중 하나에 속한다. 방향은 동남향으로 앞면 3칸, 옆면 3칸의 '丁'자형 건물로 정면에 기둥과 활주를 내어 처마선을 길게 돌출시켰다.
 
-전국사찰통서
 
  
순조는 대복전 편액을 썼는데, 대복전은 원통전 안에 있다.
+
아담한 크기의 건물로 사찰건축에서 보기 드문 T자형 평면을 갖추고 있어 주목 받는 건물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1690000,36&flag=Y 선암사원통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동영상'''==
+
===현판===
 +
조선 [[조선 정조|정조]]가 후사가 없자 [[눌암|눌암대사]]에게 100일 기도를 부탁하여 [[조선 순조|순조]] 임금을 얻게 되었는데, 후에 [[조선 순조|순조]]가 그 은혜에 보답하기 위하여 ‘人(인), 天(천)’, ‘大福田(대복전)’이라는 친필 현판을 하사하였다. 이 현판은 현재 건물의 내부에 걸려 있다.<ref>천득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799 선암사원통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갤러리'''==
+
=='''지식 관계망'''==
''답사 이후 추가 예정''
+
*'''순천 선암사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100/temple_Seonam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하동 쌍계사 승탑|| [[하동 쌍계사]] || A는 B에 있다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순천 선암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하동 쌍계사 승탑 || [[혜소]]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885년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경잠]]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 [[혜소]]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887년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경준]]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문정]]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약휴]]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해붕]] || A는 B가 중건하였다|| A ekc:renovator B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눌암]] || A는 B가 중건하였다|| A ekc:renovator B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익종]] || A는 B가 중건하였다|| A ekc:renovator B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운악돈각]]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조선 정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조선 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조선 정조]] || [[조선 순조]]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
파일:BHST_Seonamsa_wontongjeon.jpg|원통전 전면
 +
파일:BHST_Seonamsa_wontongjeon_roof.jpg|원통전의 겹처마 지붕
 +
파일:BHST_Seonamsa wontongjeon door.jpg|꽃살문<ref>사진출처: 비니버미, "[http://blog.naver.com/bnbmoh/70164448320 하동화개벚꽃 만개, 선암사매화 1주일뒤, 옥룡동백 4월내내]", 『네이버 블로그 - 독서같은 여행 비니버미집』, 작성일: 2013년 03월 30일.</ref>
 +
파일:BHST_Seonamsa_wontongjeon-1.jpg|전면부 처마의 우물천장<ref>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만든 천장.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36130&cid=55761&categoryId=55761 우물천장]",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BHST_Seonamsa_wontongjeon_gungchang-1.png|꽃살문 아래의 궁창<ref>"[http://www.cha.go.kr/dic/selectDictionView.do?mn=NS_04_02_05&id=235 궁창]", 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ref>사진출처: 들찔레, "[http://blog.naver.com/rock0190/220160323150 달, 토끼, 계수나무 - 선암사 원통전 궁창]", 『네이버 블로그 - 바람에게 길을 묻다』, 작성일: 2014년 10월 24일.</ref>
 +
파일:BHST_Seonamsa_wontongjeon_board.jpg|대복전 현판
 +
</gallery>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보물]]
+
=='''참고문헌'''==
 +
*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6』, 사찰문화연구원, 1996.
 +
*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36130&cid=55761&categoryId=55761 우물천장]",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천득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799 선암사원통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1690000,36&flag=Y 선암사원통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http://www.cha.go.kr/dic/selectDictionView.do?mn=NS_04_02_05&id=235 궁창]", 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문화유산]]
 +
[[분류:승탑/완료]]

2017년 11월 25일 (토) 02:04 기준 최신판

순천 선암사 원통전
(順天 仙岩寺 圓通殿)
BHST Seonamsa wontongjeon.jpg
대표명칭 순천 선암사 원통전
한자표기 順天 仙岩寺 圓通殿
영문명칭 Wontongjeon Hall of Seonamsa Temple, Suncheon
시대 조선시대
지정번호 전남유형문화재 제169호
지정일 1990년 2월 24일
소장처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
관련인물 의천, 경잠, 경준, 문정, 해붕, 눌암, 익종
관련장소 순천 선암사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1]

내용

원통전의 역사와 특징

원통전은 관세음보살을 주불로 봉안한 전각이며 보통 관음전(觀音殿)[2]이라고도 한다. 선암사의 원통전은 1660년 경잠(敬岑)·경준(敬俊)·문정(文正)이 처음 지었고, 1698년 약휴대사(若休大師)가 고쳐지었다.[3] 그후 1824년에 해붕(海鵬), 눌암(訥庵), 익종(益宗)이 중수했다. 또한 운악돈각(雲岳頓覺)선사의 유촉으로 1000여 원을 회사하여 1923년에 중수하였다.[4]

아담한 크기의 건물로 사찰건축에서 보기 드문 T자형 평면을 갖추고 있어 주목 받는 건물이다.[5]

현판

조선 정조가 후사가 없자 눌암대사에게 100일 기도를 부탁하여 순조 임금을 얻게 되었는데, 후에 순조가 그 은혜에 보답하기 위하여 ‘人(인), 天(천)’, ‘大福田(대복전)’이라는 친필 현판을 하사하였다. 이 현판은 현재 건물의 내부에 걸려 있다.[6]

지식 관계망

  • 순천 선암사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순천 선암사 원통전 순천 선암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순천 선암사 원통전 경잠 A는 B가 창건하였다 A ekc:founder B
순천 선암사 원통전 경준 A는 B가 창건하였다 A ekc:founder B
순천 선암사 원통전 문정 A는 B가 창건하였다 A ekc:founder B
순천 선암사 원통전 약휴 A는 B가 중건하였다 A ekc:renovator B
순천 선암사 원통전 해붕 A는 B가 중건하였다 A ekc:renovator B
순천 선암사 원통전 눌암 A는 B가 중건하였다 A ekc:renovator B
순천 선암사 원통전 익종 A는 B가 중건하였다 A ekc:renovator B
순천 선암사 원통전 운악돈각 A는 B가 창건하였다 A ekc:renovator B
순천 선암사 원통전 조선 정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천 선암사 원통전 조선 순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정조 조선 순조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천득염, "선암사원통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관세음보살을 모신 불전
  3. 선암사원통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4.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6』, 사찰문화연구원, 1996. 283쪽.
  5. 선암사원통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6. 천득염, "선암사원통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사진출처: 비니버미, "하동화개벚꽃 만개, 선암사매화 1주일뒤, 옥룡동백 4월내내", 『네이버 블로그 - 독서같은 여행 비니버미집』, 작성일: 2013년 03월 30일.
  8.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만든 천장.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온라인 참조: "우물천장",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9. "궁창", 용어사전,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10. 사진출처: 들찔레, "달, 토끼, 계수나무 - 선암사 원통전 궁창", 『네이버 블로그 - 바람에게 길을 묻다』, 작성일: 2014년 10월 24일.

참고문헌

  •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6』, 사찰문화연구원, 1996.
  •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온라인 참조: "우물천장",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천득염, "선암사원통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선암사원통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 "궁창", 용어사전,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