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산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형성과 전개)
(형성과 전개)
17번째 줄: 17번째 줄:
 
고승 [[무염|낭혜화상 무염(朗慧和尙 無染)]]이 충청남도 [[보령 성주사|보령 성주사(聖住寺)]]에서 선법(禪法)을 크게 떨침으로써 성립되었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598 성주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고승 [[무염|낭혜화상 무염(朗慧和尙 無染)]]이 충청남도 [[보령 성주사|보령 성주사(聖住寺)]]에서 선법(禪法)을 크게 떨침으로써 성립되었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598 성주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무염은 821년([[신라 헌덕왕|헌덕왕]] 13) 당나라로 가서 [[도일|마조(馬祖)]]의 제자인 [[보철|보철(寶徹)]]의 법맥을 이어받고, 845년([[신라 문성왕|문성왕]] 7) 귀국하였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598 성주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후 같은 태종무열왕계 후손인 [[김흔(신라)|김흔]]의 후원으로 [[보령 성주사|성주사]]를 건립하고<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447&cid=42957&categoryId=42957 무염]",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보령 성주사|성주사]]를 [[구산선문|선문구산(九山禪門)]]의 하나인 성주산문의 본산으로 삼아 40여 년 동안 교화하였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61 무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5월 2일.</ref> 「성주사사적기(聖住寺事蹟記)」에 의하면 이 사찰의 원래 이름은 오합사(烏合寺)였는데, [[신라 문성왕|문성왕]]이 사찰의 이름을 성주(聖住)로 지어주고 대흥륜사에 편입시켰다.<ref>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한국국학진흥원, 2014, 5-30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27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ref>
+
무염은 821년([[신라 헌덕왕|헌덕왕]] 13) 당나라로 가서 [[도일|마조(馬祖)]]의 제자인 [[보철|보철(寶徹)]]의 법맥을 이어받고, 845년([[신라 문성왕|문성왕]] 7) 귀국하였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598 성주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후 같은 태종무열왕계 후손인 [[김흔(신라)|김흔]]의 후원으로 [[보령 성주사|성주사]]를 건립하고<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447&cid=42957&categoryId=42957 무염]",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보령 성주사|성주사]]를 [[구산선문|선문구산(九山禪門)]]의 하나인 성주산문의 본산으로 삼아 40여 년 동안 교화하였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61 무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5월 2일.</ref>
  
 
===후원세력===
 
===후원세력===

2017년 10월 7일 (토) 13:47 판

성주산문
(聖住山門)
대표명칭 성주산문
한자표기 聖住山門
이칭 성주산파(聖住山派)
관련개념 구산선문(九山禪門)



정의

충청남도 보령의 성주사(聖住寺)를 중심으로 일어난 선종구산문(禪宗九山門)의 하나.

내용

형성과 전개

고승 낭혜화상 무염(朗慧和尙 無染)이 충청남도 보령 성주사(聖住寺)에서 선법(禪法)을 크게 떨침으로써 성립되었다.[1]

무염은 821년(헌덕왕 13) 당나라로 가서 마조(馬祖)의 제자인 보철(寶徹)의 법맥을 이어받고, 845년(문성왕 7) 귀국하였다.[2] 이후 같은 태종무열왕계 후손인 김흔의 후원으로 성주사를 건립하고[3] 성주사선문구산(九山禪門)의 하나인 성주산문의 본산으로 삼아 40여 년 동안 교화하였다.[4]

후원세력

성주산문의 승려들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시각자료

주석

  1. 김영태, "성주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영태, "성주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무염",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김위석, "무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5월 2일.

참고문헌

  • 김두진, "선종구산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영태, "성주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3-99쪽.
  • 신동하, 「백제 성주산 신앙과 성주사」, 『불교학연구』 Vol.22, 불교학연구회, 2009, 75-122쪽.
  • 이일야, "성주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21-145쪽.
  • 장일규, 「신라 말 고려 초 선승의 시기별 지역별 활동 추이와 산문 형성 과정」, 『신라사학회』 Vol.39, 2017, 133-163쪽.
  • "성주산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