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원전 은제기 목록

Encyves Wiki
김바로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2월 3일 (금) 20:42 판 (새 문서: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대표명칭= 선원전 은제기 목록 |한자명칭= 璿源殿銀祭器目錄 |로마자명칭= |영문명칭= A list of silver utensils |...)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선원전 은제기 목록
한자명칭 璿源殿銀祭器目錄
영문명칭 A list of silver utensils
작자 정조(추정)
간행시기 1778년(정조2)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1896
유형 고문서
크기(세로×가로) 36.2×200.2㎝
판본 필사본
수량 1장
표기문자 한글



개요

김상덕(金商悳, 1852~1924)이 쓴 8대조의 생신과 기일 기록이다.


내용

창덕궁 선원전(璿源殿) 제2실에 선왕(영조)의 어진을 봉안할 때, 제1실과 제2실의 제기를 개수하고, 은제기(銀祭器)를 개조한 뒤 각 실의 은제기의 종류·수량·무게를 적어둔 것이다. 일실에는 ‘면기’ 등 10종의 37기, 이실에는 일실의 10종 외에 ‘벼오병’을 더하여 38기로 정하였다. 마지막에는 일실과 이실의 제기의 합을 정리하였다. 서체로 보아 정조의 친필 또는 정조의 필체를 모방한 사자관의 글씨로 추정된다. ‘우리’와 같이 종묘제례에 사용하지 않는 제기가 명시되어 있어 선원전 다례에 소용된 것으로 보인다. 선원전에는 임진왜란 이후 남아 있는 숙종, 영조, 정조, 순조, 익종, 헌종까지 모두 여섯 국왕의 어진(御眞)을 모시고, 각 탄일(誕日)에 다례를 올렸다. 태조의 어진은 고종대에 봉안되었다. 1778년(정조2) 1월 20일 『승정원일기』 기사에 은기(銀器)로 개수한 기록이 있어 이 무렵 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1]


관련항목

중심 연결정보 대상
선원전 은제기 목록 편찬자 정조
선원전 은제기 목록 인물 영조
선원전 은제기 목록 인물 숙종
선원전 은제기 목록 인물 영조
선원전 은제기 목록 인물 정조
선원전 은제기 목록 인물 순조
선원전 은제기 목록 인물 익종
선원전 은제기 목록 인물 헌종
선원전 은제기 목록 인물 태조
선원전 은제기 목록 인물 고종
선원전 은제기 목록 장소 선원전
선원전 은제기 목록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선원전 은제기 목록 간행년 1778년
선원전 은제기 목록 간행년 정조2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선원전 은제기 목록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37.39197 127.054387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9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