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탑비)
33번째 줄: 33번째 줄:
  
 
비신높이 263㎝, 너비 155㎝, 두께 43㎝. 국보 제8호. 전체 높이 4.55m에 달하는 거대한 외형에 듬직하고 아름다운 조각수법을 구사하여 신라시대 석비를 대표할 만하다.
 
비신높이 263㎝, 너비 155㎝, 두께 43㎝. 국보 제8호. 전체 높이 4.55m에 달하는 거대한 외형에 듬직하고 아름다운 조각수법을 구사하여 신라시대 석비를 대표할 만하다.
귀부의 일부에 손상이 있을 뿐 거의 완전한 상태로, 귀부의 구름무늬나 이수(螭首), 4면의 구름을 배경으로 나타낸 용의 문양은 생동감이 넘친다. 이수 앞면 중앙에 마련한 제액(題額)은 마멸되어 판독이 어렵다.<ref>김세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587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ref>김세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587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비석 얼굴의 일부분이 깨져 있는 거북은 머리 위쪽에 둥근 뿔이 나 있고, 뒤로 째진 눈에는 눈썹이 휘말려 있으며, 입은 마치 불을 내뿜으려는 기세이다. 등에는 선명한 이중의 육각무늬를 새기고, 중앙에는 제법 굵직한 구름무늬가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구름무늬 위로는 비몸을 꽂아두는 네모난 홈을 높게 마련하여 각 면을 장식하였다. 길다란 비몸은 앞면에만 비문을 새기고, 위쪽 양 모서리를 둥글게 깎아 놓았다. 맨 위에 올려진 머릿돌은 밑면에 연꽃을 두르고, 그 위로 구름과 용이 서로 뒤엉킨 장면을 입체적으로 조각하였다. 앞면에는 받침돌의 거북머리와 같은 방향으로 용머리가 툭 불거져 나와 있어 흥미를 자아낸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080000,34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머릿돌 앞면 중앙에 마련한 제액(題額)은 마멸되어 판독이 어렵다.<ref>김세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587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얼굴의 일부분이 깨져 있는 거북은 머리 위쪽에 둥근 뿔이 나 있고, 뒤로 째진 눈에는 눈썹이 휘말려 있으며, 입은 마치 불을 내뿜으려는 기세이다. 등에는 선명한 이중의 육각무늬를 새기고, 중앙에는 제법 굵직한 구름무늬가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구름무늬 위로는 비몸을 꽂아두는 네모난 홈을 높게 마련하여 각 면을 장식하였다. 길다란 비몸은 앞면에만 비문을 새기고, 위쪽 양 모서리를 둥글게 깎아 놓았다. 맨 위에 올려진 머릿돌은 밑면에 연꽃을 두르고, 그 위로 구름과 용이 서로 뒤엉킨 장면을 입체적으로 조각하였다. 앞면에는 받침돌의 거북머리와 같은 방향으로 용머리가 툭 불거져 나와 있어 흥미를 자아낸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080000,34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비문===
 
===비문===

2017년 6월 2일 (금) 14:05 판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保寧 聖住寺址 郎慧和尙塔碑)
BHST Stele.png
대표명칭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영문명칭 Stele for Buddhist Monk Nanghye at Seongjusa Temple Site, Boryeong
한자 保寧 聖住寺址 郎慧和尙塔碑
이칭 낭혜화상비,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주소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80-5
문화재 지정번호 국보 제8호
문화재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찬자 최치원(崔致遠)
서자 최인연(崔仁渷)
승려 무염(無染)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에 있는 통일신라 말의 승려 무염(無染)의 탑비.[1]

내용

개요

낭혜화상무열왕의 8세손으로 801년(애장왕 2)에 태어나 열세 살 되던 해에 출가, 821년(헌덕왕 13)에 당나라로 유학하여 수도를 통해 깨달음을 얻게 되었고 845년(문성왕 7)에 귀국하여 당시 웅천(지금의 보령)에 있던 오합사(烏合寺)의 주지가 되었다. 이 절에서 선(禪)을 널리 알리고 점점 크게 번성되자, 왕은 ‘성주사’라는 절 이름을 내려주었고, 무염은 888년(진성여왕 2) 89세로 이 절에서 입적하였다. 왕은 시호를 ‘낭혜(郎慧)’라 하고, 탑 이름을 ‘백월보광(白月葆光)’이라 내리었다.[2]비문을 지은 사람은 최치원이며, 비의 건립연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대략 890년(진성여왕 4)에서 얼마 멀지 않은 시기에 건립되었다고 보인다.[3]

성주산문을 일으킨 무염을 기리기 위해 최치원이 왕명에 따라 비문을 지었고,[4] 최인연이 비문을 썼다.[5] 신라시대 부도비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알려진 이 비에는 최치원이 지은 5,000여 자의 글씨가 몸체에 새겨져 있다.[6] 비문에는 건립연대가 밝혀져 있지 않은데, 낭혜화상이 입적한 2년 뒤에 부도(浮屠)를 쌓았다는 비문으로 보아 이 때 비문이 작성되고 비가 건립되었다고 추정된다.[7]

탑비

절터 서북쪽에 세워진 이 비는 거북 모습의 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그 위로 머릿돌을 얹은 모습으로 받침돌이 심하게 부서진 채 흙에 묻혀 있던 것을 1974년에 해체·보수하였다.[8]

비신높이 263㎝, 너비 155㎝, 두께 43㎝. 국보 제8호. 전체 높이 4.55m에 달하는 거대한 외형에 듬직하고 아름다운 조각수법을 구사하여 신라시대 석비를 대표할 만하다. [9] 비석 얼굴의 일부분이 깨져 있는 거북은 머리 위쪽에 둥근 뿔이 나 있고, 뒤로 째진 눈에는 눈썹이 휘말려 있으며, 입은 마치 불을 내뿜으려는 기세이다. 등에는 선명한 이중의 육각무늬를 새기고, 중앙에는 제법 굵직한 구름무늬가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구름무늬 위로는 비몸을 꽂아두는 네모난 홈을 높게 마련하여 각 면을 장식하였다. 길다란 비몸은 앞면에만 비문을 새기고, 위쪽 양 모서리를 둥글게 깎아 놓았다. 맨 위에 올려진 머릿돌은 밑면에 연꽃을 두르고, 그 위로 구름과 용이 서로 뒤엉킨 장면을 입체적으로 조각하였다. 앞면에는 받침돌의 거북머리와 같은 방향으로 용머리가 툭 불거져 나와 있어 흥미를 자아낸다.[10] 머릿돌 앞면 중앙에 마련한 제액(題額)은 마멸되어 판독이 어렵다.[11]

비문

비문에는 성주사를 일으키고 선종을 전파한 내용과[12] 낭혜화상의 일생, 업적이 자세히 적혀 있는데, 진골이던 낭혜화상의 가문이 아버지 대에 이르러 6두품의 신분으로 낮아지는 대목도 나타나 있어 당시 신라골품제도의 연구자료로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탑비 중에서 가장 거대한 풍채를 자랑하며, 화려하고 아름다운 조각솜씨가 작품속에서 유감없이 발휘되어 통일신라시대 최고의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13] 또한 낭혜화상의 불교 공부 과정이 언급되어 있어 이것은 신라 하대 불교 학풍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낭혜화상이 국왕의 자문에 응하여 유교경전 등을 인용하고 있어 유교와 불교의 관계를 연구하는 데도 필수적인 사료이다.[14]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보령 성주사지 A는 B에 있다
진성여왕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A는 B의 이름을 지었다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무염 A는 B를 위한 비이다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최치원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최인연 A는 B가 비문을 썼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성주사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두산백과』online.
  2.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3.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4. 서영진, "허물어진 절터에서 온기를 느끼다, 보령 성주사지", 구석구석 여행지찾기,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
  5. "성주사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두산백과』online.
  6. 최정규,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마로니에북스, 2010. 온라인 참조: "성주사지",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7. 김세호,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9. 김세호,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0.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11. 김세호,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2. 서영진, "허물어진 절터에서 온기를 느끼다, 보령 성주사지", 구석구석 여행지찾기,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
  13.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14.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