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동다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번째 줄: 20번째 줄: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 왕․문무백관들이 모두 몸을 가볍고 편하게 하기 위하여 입었던 복장으로 행행(幸行)이나 호위복, 외국에 사신으로 파견되었을 때와 국난을 당하였을 때 입었던 의복.
 
* 왕․문무백관들이 모두 몸을 가볍고 편하게 하기 위하여 입었던 복장으로 행행(幸行)이나 호위복, 외국에 사신으로 파견되었을 때와 국난을 당하였을 때 입었던 의복.
<gallery>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파일:철종 어진.jpg|철종 어진.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파일:철종 어진.jpg|철종 어진.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gallery>
 
</gallery>
61번째 줄: 61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문효세자빈궁혼궁도감의궤|문효세자빈궁혼궁도감의궤(文孝世子殯宮魂宮都監儀軌)』
+
* 『문효세자빈궁혼궁도감의궤|문효세자빈궁혼궁도감의궤(文孝世子殯宮魂宮都監儀軌)』
『심전고|심전고(心田稿)』
+
* 『심전고|심전고(心田稿)』
『악학궤범|악학궤범(樂學軌範)』
+
* 『악학궤범|악학궤범(樂學軌範)』
『조선왕조실록|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 『조선왕조실록|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권오선(2002) 조선후기 동다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
* 권오선(2002) 조선후기 동다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박가영(2002) 조선시대의 갑주.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
* 박가영(2002) 조선시대의 갑주.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박성실, 김향미(2002) 조선시대 기능적 馬上衣類의 실증적 고찰. 韓國服飾 20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 박성실, 김향미(2002) 조선시대 기능적 馬上衣類의 실증적 고찰. 韓國服飾 20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왕실]] [[분류:남성]] [[분류:무관]] [[분류:융복]]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왕실]] [[분류:남성]] [[분류:무관]] [[분류:융복]]

2017년 3월 1일 (수) 20:43 판


동다리(同多里)
()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동다리(同多里)
이칭별칭 협수(狹袖), 협수(夾袖), 동달이, 동다리(彤多里)
착용신분 왕실, 무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후기 무관의 복식 중 군복(軍服) 구성요소의 하나.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 왕․문무백관들이 모두 몸을 가볍고 편하게 하기 위하여 입었던 복장으로 행행(幸行)이나 호위복, 외국에 사신으로 파견되었을 때와 국난을 당하였을 때 입었던 의복.

기본 정보

유래

  • 조선전기 융복(戎服)에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군복의 소매를 좁게한 간편한 복식이 요구.
  •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좁은 소매에 대한 논의가 거듭되면서 시대적 상황을 고려해 갑옷이나 융복 이외에 간편한 복장의 군복이 요구되어 협수(狹袖)전복(戰服) 또는 쾌자(快子)라는 양식의 복식이 등장.[1]
  • 동다리형 협수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문효세자(文孝世子, 1782~1786)의 염습의(斂襲衣) 중에 포함.
Quote-left.png 협수의 겉감은 연두색 화단(花緞)에 수구는 대홍색 운문단이며 안은 진홍색 광직(廣織)이다."[2] Quote-right.png
출처:


기본 형태

  • 직령의 깃이 달리고 소매 전체 또는 소매의 일부가 붉은색의 옷감으로 장식하고 안은 청색계열로 받침. 양옆에는 무가 달려있으며, 무 양옆과 뒷중심선이 트여 활동성을 강조. 붉은 소매부분은 화려함과 더불어 위엄과 용맹을 나타내고, 좁은 소매와 트임으로 활동적이게 함.[3]
  • 동다리 위에 전복(戰服)을 더하고 광대(廣大)전대(戰帶)를 매며, 전대에 병부를 차기도 함. 전립(戰笠)을 쓰고 등에 통개(筒箇)와 화살, 환도(還刀)를 찬 후 목화(木靴)를 신어 군복의 일습 갖춤.

관련항목

노드 관계 노드
동다리 관계 관련노드명
동다리 관계 관련노드명
동다리 관계 관련노드명
동다리 관계 관련노드명
동다리 관계 관련노드명

참고문헌

  • 『문효세자빈궁혼궁도감의궤|문효세자빈궁혼궁도감의궤(文孝世子殯宮魂宮都監儀軌)』
  • 『심전고|심전고(心田稿)』
  • 『악학궤범|악학궤범(樂學軌範)』
  • 『조선왕조실록|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권오선(2002) 조선후기 동다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 박가영(2002) 조선시대의 갑주.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 박성실, 김향미(2002) 조선시대 기능적 馬上衣類의 실증적 고찰. 韓國服飾 20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주석

  1. 박성실, 김향미(2002) 조선시대 기능적 馬上衣類의 실증적 고찰. 韓國服飾 20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p. 55.
  2. <文孝世子殯宮魂宮都監儀軌> “夾袖, 表連頭色花緞袖口大紅雲紋緞, 內眞紅廣織.”
  3. 권오선(2002) 조선후기 동다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p.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