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고목 (해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장서각강독문안내 |URL= http://jsg.aks.ac.kr/home/event/conferenceView.do?searchCondition=&searchWord=&page=3&idx=36 }})
 
(원문과 해석문)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URL= http://jsg.aks.ac.kr/home/event/conferenceView.do?searchCondition=&searchWord=&page=3&idx=36
 
|URL= http://jsg.aks.ac.kr/home/event/conferenceView.do?searchCondition=&searchWord=&page=3&idx=36
 
}}
 
}}
 +
 +
[[file: 도민 고목.jpg|800xpx|center]]
 +
 +
==원문과 해석문==
 +
{{옛한글해독
 +
|원문1=고목(告目)
 +
|원문2=별(別)노 달은 연유(緣由) 안이오아 소인 등의 밀열 쇼치(所致)로 연연(年年)
 +
|원문3=작은 못되옵고 우슈영(右水營)과 본관(本官) 소납(所納)이 혀다(許多)와
 +
|원문4=졍관(呈官) 졍영(呈營)야 다만 십분지일(十分之一)이라도 혹 감삭(減削)
 +
|원문5=을 어들가 와 일언 거장을 야삽든이 관
 +
|원문6=셰(官稅) 감삭은 일분(一分)도 엇들못■기로
 +
|원문7=(宅) 소납(所納) 물죵(物種)이나 엇지 덜가 야 지어완문(完文)
 +
|원문8=셩츌(成出)갓지 야 삽던이 아몰이 각야 보
 +
|원문9=아도 돌어혀 도민(島民)이 로올 듯옵기로 의
 +
|원문10=젼(依前)야 볼이 十八石과 감곽(甘藿) 二百四十四속과 어복(魚鰒)
 +
|원문11=유■초(油草) 등물(等物)을 젼(前)대로 밧치기로 만반(萬般) 애걸(哀乞)
 +
|원문12=야 연유(緣由) 알왼이 발아옵건 (宅) 미슈(未收)
 +
|원문13=감곽(甘藿) 四十六졉 四뭇(束)슬 탕감(蕩減)옵씨난
 +
|원문14=분부(分付) 물오와 쥬옵시면 되민(島民)이 살 발
 +
|원문15=아옵
 +
|원문16=임인七月二十日도민 李聞喜[着名]
 +
|원문17=박명쳘[着名]
 +
|원문18=니졔[着名]
 +
|원문19=김둉집[着名]
 +
|원문20=김못건남[着名]
 +
|원문21=엄광츈[着名]
 +
|원문22=최젼강
 +
|원문23=임원셕[着名]
 +
|원문24=고삼용[着名]
 +
|원문25=니졔동([着名]
 +
|원문26=박졈남[着名] 등
 +
 +
|해석문1=고목(告目)
 +
|해석문2=별로 다른 까닭 아니오라 소인(小人) 등의 미련하기 때문에 해마다
 +
|해석문3=평년작도 못되었는 데다가 우수영(右水營)과 본관(本官)에 납부하는 바가 허다(許多)하여
 +
|해석문4=관에도 정소(呈訴)하고 수영에도 소지(所志)를 올렸으나 십분지일(十分之一)이라도 혹 감삭(減削)
 +
|해석문5=을 얻을까 하여 한 마디 장문(狀文)을 올렸으나
 +
|해석문6=관세(官稅) 감삭은 일분(一分)도 얻지 못하였기 때문에
 +
|해석문7=댁(宅)에 납부하는 물종(物種)이나 어찌 덜까 하여 완문(完文)을
 +
|해석문8=받기[成出]까지 하였으나 아무리 생각해
 +
|해석문9=보아도 도리어 저희 도민(島民)에게 해로울 듯 하여
 +
|해석문10=이전과 마찬가지로 보리 18섬[石]과 미역(甘藿) 244뭇[束]과 생선, 전복,
 +
|해석문11=어유(魚油), 남초(南草) 등의 물종을 이전대로 바치기로 매우 애걸하며
 +
|해석문12=이러한 연유아뢰오니 바라옵건대 댁(宅)에서 아직 받지 못한
 +
|해석문13=미역 46접 4뭇[束]을 탕감(蕩減)하옵신다는
 +
|해석문14=분부(分付) 물어봐 주옵시면 저희 도민(島民)이 살 수 있을까를
 +
|해석문15=바라옵니다.
 +
|해석문16=임인(壬寅) 7월 20일 도민(島民) 이문희(李聞喜) [착명]
 +
|해석문17=박명쳘[착명]
 +
|해석문18=이제백[니졔][착명]
 +
|해석문19=김동집[김둉집][착명]
 +
|해석문20=김못건남[착명]
 +
|해석문21=엄광춘[엄광츈][착명]
 +
|해석문22=최전강[최젼강]
 +
|해석문23=임원석[임원셕][착명]
 +
|해석문24=고남용[착명]
 +
|해석문25=이제동[니졔동]([착명]
 +
|해석문26=박정남[박졈남][착명] 등
 +
}}
 +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clickable button|[[도민 고목|본래의 항목 기사로 돌아가기]]}}</div>
 +
 +
==주석==
 +
<references/>
 +
 +
[[분류:한글고문서]][[분류:해독자료]]

2017년 8월 29일 (화) 16:09 기준 최신판

Pici.png

본 기사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2016년에 개최한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2016.6.29~12.31)'의 도록 및 2016~2017년에 진행한 금요강독회 중 도민 고목 (해독) 관련 '발표내용'을 참고 활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원문 중 옛 한글의 경우 웹브라우저 및 시스템의 문자세트(character set) 표현상 한계로 인해 표시가 불완전할 수 있으며, 각 내용상의 사소한 교정은 별도의 언급 없이 적용하였습니다.


한글팀 도민 고목 01 도민 고목 메인.jpg

원문과 해석문

원문 해석문
고목(告目) 고목(告目)
별(別)노 달은 연유(緣由) 안이오아 소인 등의 밀열 쇼치(所致)로 연연(年年) 별로 다른 까닭 아니오라 소인(小人) 등의 미련하기 때문에 해마다
작은 못되옵고 우슈영(右水營)과 본관(本官) 소납(所納)이 혀다(許多)와 평년작도 못되었는 데다가 우수영(右水營)과 본관(本官)에 납부하는 바가 허다(許多)하여
졍관(呈官) 졍영(呈營)야 다만 십분지일(十分之一)이라도 혹 감삭(減削) 관에도 정소(呈訴)하고 수영에도 소지(所志)를 올렸으나 십분지일(十分之一)이라도 혹 감삭(減削)
을 어들가 와 일언 거장을 야삽든이 관 을 얻을까 하여 한 마디 장문(狀文)을 올렸으나
셰(官稅) 감삭은 일분(一分)도 엇들못■기로 관세(官稅) 감삭은 일분(一分)도 얻지 못하였기 때문에
(宅) 소납(所納) 물죵(物種)이나 엇지 덜가 야 지어완문(完文) 댁(宅)에 납부하는 물종(物種)이나 어찌 덜까 하여 완문(完文)을
셩츌(成出)갓지 야 삽던이 아몰이 각야 보 받기[成出]까지 하였으나 아무리 생각해
아도 돌어혀 도민(島民)이 로올 듯옵기로 의 보아도 도리어 저희 도민(島民)에게 해로울 듯 하여
젼(依前)야 볼이 十八石과 감곽(甘藿) 二百四十四속과 어복(魚鰒) 이전과 마찬가지로 보리 18섬[石]과 미역(甘藿) 244뭇[束]과 생선, 전복,
유■초(油草) 등물(等物)을 젼(前)대로 밧치기로 만반(萬般) 애걸(哀乞) 어유(魚油), 남초(南草) 등의 물종을 이전대로 바치기로 매우 애걸하며
야 연유(緣由) 알왼이 발아옵건 (宅) 미슈(未收) 이러한 연유아뢰오니 바라옵건대 댁(宅)에서 아직 받지 못한
감곽(甘藿) 四十六졉 四뭇(束)슬 탕감(蕩減)옵씨난 미역 46접 4뭇[束]을 탕감(蕩減)하옵신다는
분부(分付) 물오와 쥬옵시면 되민(島民)이 살 발 분부(分付) 물어봐 주옵시면 저희 도민(島民)이 살 수 있을까를
아옵 바라옵니다.
임인七月二十日도민 李聞喜[着名] 임인(壬寅) 7월 20일 도민(島民) 이문희(李聞喜) [착명]
박명쳘[着名] 박명쳘[착명]
니졔[着名] 이제백[니졔][착명]
김둉집[着名] 김동집[김둉집][착명]
김못건남[着名] 김못건남[착명]
엄광츈[着名] 엄광춘[엄광츈][착명]
최젼강 최전강[최젼강]
임원셕[着名] 임원석[임원셕][착명]
고삼용[着名] 고남용[착명]
니졔동([着名] 이제동[니졔동]([착명]
박졈남[着名] 등 박정남[박졈남][착명] 등


본래의 항목 기사로 돌아가기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