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의

Encyves Wiki
SEOYEO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월 15일 (일) 17:29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저고리 위에 입는 대표적인 여성 예복의 하나.

기원

조선후기 학자들의 기록에서는 당의의 기원을 중국으로 보고 있으나, 조선전기의 옆트임장저고리에서 변화한 것.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 궁중에서 모든 계급의 여성의 소례복으로 각종 궁중 예식과 명절, 그리고 절기에 따라 일년 내내 소재와 색채 그리고 제작법을 달리해 가며 입혀졌으며, 당의는 일반 여인들도 착용하였음.

- 평상시에도 주로 착용했고, 혼례복이자 상례의 염습의, 제례에서도 착용되어야 하는 논의가 있을 정도로 다양한 의식에서 두루 착용할 수 있는 일상예복.

내용

- 당고의(唐古衣), 당저고리(唐赤古里), 당한삼 등이 당의의 이음동의어(異音同義語)임이 제시.

- 기본 형태

𐤟 저고리와 달리 길이가 길고, 겨드랑이 아래의 긴 트임이 있으며, 앞뒤자락과 도련(밑단)이 둥근 곡선의 형태.

𐤟 ‘저고리’로 불릴 만큼 저고리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어 깃과 고름‧섶이 있고, 소매의 형태 또한 다른 예복과는 다르게 저고리 소매처럼 좁으며, 예복 소매에 달리는 한삼과 같이 당의의 소매 끝에는 흰색 거들지가 달리고 가슴에는 보(補)나 흉배(胸褙)를 담.

𐤟 당의의 깃은 저고리의 깃이 둥근 깃으로 변화하는 조선 말기에도 당코깃을 고수.

- 시대별 특징

1) 조선전기: 옆트임 장저고리는 길이가 70~82cm 정도이며 길의 반 정도를 금선단으로 장식한 당저고리, 거들지형 끝동이 부착된 장저고리, 민저고리 형태의 장저고리 등의 형태. 민저고리 형태의 장저고리는 명주나 무명의 소박한 소재를 사용하고 깃‧고름‧끝동에 어떠한 장식도 보이지 않아 의례용이라기 보다는 일상복으로 추정.[1]

2) 17세기~18세기: 이전 시대의 장저고리에 비해 화장이 짧아지고 품이 좁아지고, 소매는 통수형이고 광해군비 당의를 제외한 동래정씨와 해평윤씨의 당의들은 모두 넓은 거들지나 한삼을 부착. 깃의 형태는 목판깃과 당코깃이 혼합된 당코목판깃으로 임진왜란 직후의 제도를 반영하고 있고 깃 너비의 절반 정도의 넓은 동정이 달려있고, 고름은 모두 자주색으로 앞 시기에 비해 길어졌으나 넓지 않은 편.[2]

3) 18세기 중반 이후: 품‧진동‧배래가 더욱 좁아지고 곡선화되며, 앞과 뒤의 도련은 진동선에서 직선으로 내려와 아래쪽에서 양끝이 버선코처럼 곡선을 이루고 깃은 모두 당코목판깃 형태이며 깃 너비도 전시기에 비해 좁아짐.[3]

4) 19세기: 곡선화가 심화된 형태로 도련의 곡선이 깊어지고 양옆의 귀가 날렵하게 솟아있으며 소매배래는 진동에서 수구까지 곡선화 된 직배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거들지의 너비가 전시기에 비해 줄어들고 홑당의와 겹당의가 고루 분포.[4]

5) 20세기: 19세기 당의와 크게 다르지 않아 진동이 넉넉하고 소매배래는 진동에서 소매길이의 중간지점까지 수평을 이루다 수구 쪽에서 급격한 곡선을 이루며 줄어들고, 깃의 형태는 당코둥그레깃. 이 시기도 홑당의와 겹당의, 두벌당의 등 구성에 따른 다양함.[5]


이미지

<gallery>
  1. 김은희(2007) 朝鮮時代 唐衣 變遷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pp.65~72.
  2. 김은희(2007) 朝鮮時代 唐衣 變遷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p. 93.
  3. 김은희(2007) 朝鮮時代 唐衣 變遷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pp. 93~94.
  4. 김은희(2007) 朝鮮時代 唐衣 變遷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p. 94.
  5. 김은희(2007) 朝鮮時代 唐衣 變遷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p.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