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태-육진개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정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2번째 줄: 12번째 줄:
 
}}
 
}}
 
=='''정의'''==
 
=='''정의'''==
[[조선 세종]] 시기 [[육진|육진(六鎭)]]개척을 위해 [[김종서]] 장군의 군대가 두만강 유역에서 [[여진족]]을 토벌하는 장면<ref>"기록화 : 육진개척",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e뮤지엄』<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170&cid=51293&categoryId=51293 기록화 : 육진개척]",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을 담은 [[김태]]의 민족기록화.
+
[[조선 세종]] 시기 [[육진 개척]]위해 [[김종서]] 장군의 군대가 두만강 유역에서 [[여진족]]을 토벌하는 장면<ref>"기록화 : 육진개척",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e뮤지엄』<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170&cid=51293&categoryId=51293 기록화 : 육진개척]",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을 담은 [[김태]]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조선]] [[세종]]은 1433년(세종15)에 동북방면의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김종서]]를 함길도도절제사에 임명하고, 무신인 [[이징옥]]을 앞세워 [[육진 개척]]을 추진하였다. 그리하여 1434년(세종 16)부터 10년간에 걸쳐 [[함경도]] [[두만강]] 하류 지역에 군사상 요충지인 [[육진]]<ref>종성(鐘城), 온성(穩城), 회령(會寧), 경원(慶源), 경흥(慶興), 부령(富寧)의 여섯 진을 말함</ref>을 설치하였고, [[육진 개척]]으로 조선의 북쪽 경계가 [[두만강]]까지 완전히 이르게 되었다. <br/>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right|450px]]
 +
[[조선 세종]]은 1433년(세종15)에 동북방면의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김종서|김종서(金宗瑞, 1390~1453)]]를 함길도도절제사(咸吉道都節制使)에 임명하고, 무신인 [[이징옥|이징옥(李澄玉)]]을 앞세워 [[육진 개척]]을 추진하였다. 그리하여 1434년(세종 16)부터 1449년까지 십여 년에 걸쳐 [[함경도]] [[두만강]] 하류 지역에 군사상 요충지인 [[육진|육진(六鎭)]]<ref>종성(鐘城), 온성(穩城), 회령(會寧), 경원(慶源), 경흥(慶興), 부령(富寧)의 여섯 진을 말함</ref>을 설치하였다. [[육진 개척]]으로 조선의 북쪽 경계는 [[두만강]] 인근을 완전히 회복하게 되었다.<br/>
  
해당 작품은 [[김종서]]와 [[이징옥]]이 [[육진 개척]]을 통해 [[여진족]]을 정벌하는 모습을 담고있는데, 작품의 중앙에서 백마를 탄채 검을 빼든 장군은 [[김종서]]로, 갈색마를 타고서 그 뒤를 따르는 장군은 [[이징옥]]으로 추정된다.
+
해당 작품은 '''②⑤ [[김종서]]''''''④ [[이징옥]]'''이 [[육진 개척]]을 통해 [[여진족]]을 정벌하는 모습을 담고있는데, 작품의 중앙에서 백마를 탄채 검을 빼든 장군은 '''②⑤ [[김종서]]'''로, 갈색마를 타고서 그 뒤를 따르는 장군은 '''④ [[이징옥]]'''으로 추정된다.
  
 
===작품 배경===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두만강]] 하류 남안 유역으로, 작품 왼편 위쪽에 그려진 [[두만강]]을 확인할 수 있다.
+
작품의 배경은 '''① [[두만강]]''' 하류 남안 유역으로, 작품 왼편 위쪽에 그려진 '''① [[두만강]]'''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읽기===
 
===그림 읽기===
37번째 줄: 38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font color="red">'''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font>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26/C026.htm '''"육진개척"(김태)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26/C02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55번째 줄: 61번째 줄:
 
| [[김태-육진개척]] ||  [[전쟁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 [[김태-육진개척]] ||  [[전쟁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
 
|-
| [[김종서]] ||  [[육진 개척]] || A는 B를 주도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김종서]] ||  [[육진 개척]]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이징옥]] ||[[육진 개척]]|| A는 B를 주도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김종서]] || [[이징옥]]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이징옥]] ||[[육진 개척]]||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조선 세종]] || [[육진 개척]] || A는 B를 명령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세종]] || [[육진 개척]] || A는 B를 명령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65번째 줄: 69번째 줄:
 
| [[조선 세종]] || [[조선 세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조선 세종]] || [[조선 세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조선 세조]] || [[계유정난]] || A는 B를 주도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조선 세조]] || [[계유정난]]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계유정난]]  || [[김종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계유정난]] || [[김종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계유정난]] || [[사육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김종서]] || [[조선 세조]] || A는 B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 A edm:isRelatedTo B
 
|-
 
 
| [[이징옥]] || [[조선 세조]]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징옥]] || [[조선 세조]]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109번째 줄: 113번째 줄:
 
===가상현실===
 
===가상현실===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90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clickable button | [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2/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갤러리===
 
===갤러리===
118번째 줄: 123번째 줄:
  
 
===영상===
 
===영상===
 +
*'''[NATV]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지혜와 용맹으로 북방을 개척한 큰호랑이 절재 김종서(게시일: 2015년 4월 5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gqaj8KM67cE"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주석'''==
 
=='''주석'''==
124번째 줄: 133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
#웹 자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2168 육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성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2168 육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012&cid=41826&categoryId=41826 육진]", 한국고전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012&cid=41826&categoryId=41826 육진]", 한국고전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26 기준 최신판


육진개척
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
작가 김태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정의

조선 세종 시기 육진 개척을 위해 김종서 장군의 군대가 두만강 유역에서 여진족을 토벌하는 장면[1]을 담은 김태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

조선 세종은 1433년(세종15)에 동북방면의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김종서(金宗瑞, 1390~1453)를 함길도도절제사(咸吉道都節制使)에 임명하고, 무신인 이징옥(李澄玉)을 앞세워 육진 개척을 추진하였다. 그리하여 1434년(세종 16)부터 1449년까지 십여 년에 걸쳐 함경도 두만강 하류 지역에 군사상 요충지인 육진(六鎭)[2]을 설치하였다. 육진 개척으로 조선의 북쪽 경계는 두만강 인근을 완전히 회복하게 되었다.

해당 작품은 ②⑤ 김종서이징옥육진 개척을 통해 여진족을 정벌하는 모습을 담고있는데, 작품의 중앙에서 백마를 탄채 검을 빼든 장군은 ②⑤ 김종서로, 갈색마를 타고서 그 뒤를 따르는 장군은 이징옥으로 추정된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두만강 하류 남안 유역으로, 작품 왼편 위쪽에 그려진 두만강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읽기

김종서이징옥두만강김태 「육진개척」 1975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태-육진개척 김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태-육진개척 김종서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김태-육진개척 이징옥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김태-육진개척 육진 개척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김태-육진개척 두만강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김태-육진개척 전쟁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김종서 육진 개척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징옥 육진 개척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세종 육진 개척 A는 B를 명령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세종 조선 세조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조선 세조 계유정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계유정난 김종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계유정난 사육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징옥 조선 세조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김태김태-육진개척을 제작하였다.
1434년-1444년 육진 개척이 시행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37122 126.977156 전쟁기념관김태-육진개척을 소장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 [NATV]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지혜와 용맹으로 북방을 개척한 큰호랑이 절재 김종서(게시일: 2015년 4월 5일)

주석

  1. "기록화 : 육진개척", e뮤지엄, 『e뮤지엄』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육진개척",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종성(鐘城), 온성(穩城), 회령(會寧), 경원(慶源), 경흥(慶興), 부령(富寧)의 여섯 진을 말함
  3.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4.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김성준, "육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육진",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