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창락-쌍용시멘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작가= [[김창락]]
 
|작가= [[김창락]]
 
|제작연도= 1973년
 
|제작연도= 1973년
|규격= 300호(197x290.9cm))
+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광공업
 
|유형= 광공업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 [[안동문화원]]
+
|소장처= 미상
 
|필드수=8
 
|필드수=8
 
}}
 
}}
 +
=='''정의'''==
 +
[[쌍용양회공업]]의 대단위 공장을 그린 [[김창락]]의 민족기록화이다.
 +
 
=='''설명'''==
 
=='''설명'''==
1962년에 설립되었던 세계 굴지의 대단위 공장 [[쌍용시멘트]]를 그리고 있는 민족기록화이다. 오른쪽 아래에 그려져 있는 포크레인 등의 공사 설비와 비교해 보면 공장의 거대한 크기를 쉬이 가늠할 수 있다.<br/>
+
===작품 소재===
그림은 공장 전체를 항공 뷰(view)로 조망하는 형태로, 구성 자체에는 특이점이 없으나 [[김창락]] 화백의 평면적인 듯하면서도 섬세한 세부 묘사가 눈에 띈다. 삭막해 보일 수 있는 공장의 그림이지만 전체적인 색조를 녹색으로 잡고 위쪽 공간 전체를 산에 할애함으로써 이를 상쇄하였다.
+
[[쌍용양회공업]]은 1962년 [[김성곤]]이 설립하였다. [[쌍용양회 동해공장|동해]], [[쌍용양회 영월공장|영월]], [[쌍용양회 문경공장|문경]], 광양 등 4개의 생산공장에서 연간 1,500만 톤의 시멘트와 클링커를 생산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시멘트 생산업체이다.<br/>
 +
[[쌍용양회 영월공장|영월공장]]은 1964년 4월 16일 준공된 [[쌍용양회공업]]의 첫 번째 시멘트 생산 공장이다. '쌍용' 이라는 회사 이름도 영월공장이 위치한 강원도 영월군 쌍룡리에서 유래했을 정도로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br/>
 +
[[쌍용양회 동해공장|동해공장]]은 1968년 10월 31일 준공된 [[쌍용양회공업]]의 두 번째 시멘트 생산 공장이다. 현재는 작년 쌍용양회 전체 제조원가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회사의 핵심 시설로 성장했으며, 석회석 광산을 포함하여 약 1,130만㎡의 규모에 연간 1,150만 톤의 시멘트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3178120 세계 최대 규모 시멘트 공장 쌍용양회 동해공장]", 『이데일리』, 2015년 2월 6일.</ref>
 +
[[쌍용양회 문경공장|문경공장]]은 [[대한양회]]가 1957년 [[국제연합한국재건단]]의 원조로 경북 문경시 신기동에 건설한 대한민국 최초의 시멘트 공장이다. [[대한양회]]는 1975년 1월 [[쌍용양회공업]]에 흡수, 합병되었다.
 +
 
 +
===작품 배경===
 +
[[쌍용양회공업]]은 창립 당시인 1960년대에 세 개의 공장을 지었다. 1964년 4월에는 [[쌍용양회 영월공장|영월공장]]이, 1968년 10월에는 [[쌍용양회 동해공장|동해공장]]이 준공된 데 이어 1969년 2월 [[쌍용양회 여수분공장|여수분공장]]이 준공되었다. 이 중 작품의 배경이 되는 공장은 작품 제작 시기로 볼 때 [[쌍용양회 동해공장|동해공장]], 혹은 [[쌍용양회 영월공장|영월공장]]으로 추정된다.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공업 동해공장01.jpg|쌍용양회 동해공장 전경<ref>이경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158 쌍용양회공업(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6월 28일.</ref>
 +
파일:민족기록화 공간 쌍용양회동해공장 실사.jpg|쌍용양회 동해공장 전경<ref>시동쓰, "[http://blog.naver.com/sidong258/80039415089 쌍용양회 동해공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sidong258의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7년 06월 22일.</ref>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공업 영월공장01.jpg|쌍용양회 영월공장 전경<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7&detl_PhotoDTL=3038 생산시설이 대폭 늘어난 영월 쌍용양회 공장 모습]",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gallery>
 +
 
 +
===그림 읽기===
 +
*국가기록원 기록에 따르면 이 작품은 1991년 1월 9일부터 1992년 1월 8일까지 [[안동문화원]]에 대여되었습니다.
 +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imagemap>Image:김창락-쌍용시멘트-1973s.jpg|center|800px|
 +
</imagemap>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공업 동해공장01.jpg|쌍용양회 동해공장 전경<ref>이경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158 쌍용양회공업(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6월 28일.</ref>
 +
파일:민족기록화 공간 쌍용양회동해공장 실사.jpg|쌍용양회 동해공장 전경<ref>시동쓰, "[http://blog.naver.com/sidong258/80039415089 쌍용양회 동해공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sidong258의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7년 06월 22일.</ref>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공업 영월공장01.jpg|쌍용양회 영월공장 전경<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7&detl_PhotoDTL=3038 생산시설이 대폭 늘어난 영월 쌍용양회 공장 모습]",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김창락 쌍용시멘트 박정희대통령관람01.JPG |전시회 관람중인 박정희 대통령<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28068&dsid=000000000003&gubun=search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참관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gallery>
 +
 
 +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85/C08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김창락-쌍용시멘트]] || [[김창락]]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김창락-쌍용시멘트]] || [[안동문화원]]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
 +
| [[김창락-쌍용시멘트]] ||  [[쌍용양회공업]]||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
|-
 +
| [[김창락-쌍용시멘트]] || [[쌍용양회 동해공장]]||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
|-
 +
| [[김창락-쌍용시멘트]] || [[쌍용양회 영월공장]]||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
|-
 +
|}
  
=='''시각적 안내'''==
+
===시간정보===
[[파일:김창락-쌍용시멘트-1973s.jpg|800px|center]]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1973년 || [[김창락]]이 [[김창락-쌍용시멘트]]를 제작하였다.
 +
|-
 +
|1991년 1월 9일-1992년 1월 8일 || [[안동문화원]]이 [[김창락-쌍용시멘트]]를 대여하였다.
 +
|-
 +
|1962년 || [[김성곤]]이 [[쌍용양회공업]]을 설립하였다.
 +
|-
 +
|1964년 4월 16일 || [[쌍용양회공업]] [[쌍용양회 영월공장|영월공장]]이 준공되었다.
 +
|-
 +
|1968년 10월 31일 || [[쌍용양회공업]] [[쌍용양회 동해공장|동해공장]]이 준공되었다.
 +
|-
 +
|1975년 1월 || [[쌍용양회공업]]이 대한양회를 흡수 합병하였다.
 +
|}
  
=='''관련 민족기록화'''==
+
===공간정보===
광공업 관련 작품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gallery>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6.566477 || 128.734167|| [[김창락-쌍용시멘트]]가 [[안동문화원]]에 대여되었다.
 +
|-
 +
|}
 +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광공업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파일:문학진-강원탄광-1975s.jpg |[[문학진-강원탄광]]
 
파일:문학진-강원탄광-1975s.jpg |[[문학진-강원탄광]]
 
파일:최덕휴-장성광업소-1973s.jpg |[[최덕휴-장성광업소]]
 
파일:최덕휴-장성광업소-1973s.jpg |[[최덕휴-장성광업소]]
43번째 줄: 113번째 줄:
 
</gallery>
 
</gallery>
  
===관련항목===
+
=='''시각자료'''==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가상현실===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font color="red">'''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font>
|-
 
|{{PAGENAME}} || ~에 의해 그려지다 ||[[김창락]]
 
|-
 
|{{PAGENAME}} || ~에 소장되어 있다 || [[안동문화원]]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쌍용시멘트]]
 
|-
 
|}
 
  
===시간정보===
+
===갤러리===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공업 동해공장01.jpg|쌍용양회 동해공장 전경<ref>이경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158 쌍용양회공업(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6월 28일.</ref>
|-
+
파일:민족기록화 공간 쌍용양회동해공장 실사.jpg|쌍용양회 동해공장 전경<ref>시동쓰, "[http://blog.naver.com/sidong258/80039415089 쌍용양회 동해공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sidong258의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7년 06월 22일.</ref>
|{{PAGENAME}}||제작연도|| 1973년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공업 동해공장02.jpg|쌍용양회 동해공장 클링커 생산 광경<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2843078 쌍용양회 동해공장 가보니 녹색성장 '활짝']", 『아시아경제』, 2012년 9월 17일.</ref>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공업 작업광경01.jpg|쌍용양회공업 작업광경<ref>이경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158 쌍용양회공업(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6월 28일.</ref>
|{{PAGENAME}}||[[안동문화원]] 대여기간 || 1991.01.09~1992.01.08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공업 영월공장01.jpg|쌍용양회 영월공장 전경<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7&detl_PhotoDTL=3038 생산시설이 대폭 늘어난 영월 쌍용양회 공장 모습]",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공업 영월공장02.jpg|쌍용양회 영월공장 100만 톤 증설 준공식<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7&detl_PhotoDTL=3037 태완선 경제기획원장관 쌍용양회 영월공장 100만 톤 증설 준공식 참석]",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김창락 쌍용시멘트 박정희대통령관람01.JPG |전시회 관람중인 박정희 대통령<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28068&dsid=000000000003&gubun=search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참관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 문경공장 전경01.jpg|쌍용양회 문경공장 전경<ref>"[http://www.idaegu.com/?c=6&uid=365430 쌍용양회 문경공장 ‘산업유산’ 등재 시동]", 『대구일보』, 2017년 6월 19일.</ref>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 문경공장 기공식01.jpg|1955년 11월 30일 쌍용양회 문경공장 기공식 현장<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2&detl_PhotoDTL=232 문경 시멘트공장 기공식(1)]",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쌍용양회 문경공장 준공식01.jpg|1957년 9월 26일 쌍용양회 문경공장 준공식에 참석한 이승만 대통령<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9&detl_PhotoDTL=389 문경시멘트 공장 준공식에 참석한 이승만 대통령]",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gallery>
  
===공간정보===
+
===영상===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대한뉴스 제 133호-문경시멘트 공장 준공(게시일: 2016년 10월 18일)'''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html>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zjWCWiBNT_4"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PAGENAME}} ||소장처|| [[안동문화원]] || 36.566477 || 128.734167
+
</html>
|}
+
*'''대한뉴스 제 384호-건설의 새소식(게시일: 2016년 10월 20일)'''
 
 
=='''그래프'''==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ffsa3rekkU4"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
=='''주석'''==
 +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 "살수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3014&cid=46620&categoryId=4662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2월 7일 확인)
+
===인용 및 참조===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
#웹 자원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50065&cid=43167&categoryId=43167 쌍용양회공업]", 기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08464&cid=51950&categoryId=55282 쌍용양회 여수공장]",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신문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810310020920201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8-10-31&officeId=00020&pageNo=2&printNo=14479&publishType=00020 雙龍시멘트 東海 공장 完工]", 『동아일보』, 1968년 10월 31일.
 +
 
  
=='''주석'''==
 
<references/>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광공업]]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50 기준 최신판


쌍용시멘트
김창락-쌍용시멘트-1973s.jpg
작가 김창락
제작연도 1973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광공업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쌍용양회공업의 대단위 공장을 그린 김창락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쌍용양회공업은 1962년 김성곤이 설립하였다. 동해, 영월, 문경, 광양 등 4개의 생산공장에서 연간 1,500만 톤의 시멘트와 클링커를 생산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시멘트 생산업체이다.
영월공장은 1964년 4월 16일 준공된 쌍용양회공업의 첫 번째 시멘트 생산 공장이다. '쌍용' 이라는 회사 이름도 영월공장이 위치한 강원도 영월군 쌍룡리에서 유래했을 정도로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동해공장은 1968년 10월 31일 준공된 쌍용양회공업의 두 번째 시멘트 생산 공장이다. 현재는 작년 쌍용양회 전체 제조원가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회사의 핵심 시설로 성장했으며, 석회석 광산을 포함하여 약 1,130만㎡의 규모에 연간 1,150만 톤의 시멘트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1] 문경공장대한양회가 1957년 국제연합한국재건단의 원조로 경북 문경시 신기동에 건설한 대한민국 최초의 시멘트 공장이다. 대한양회는 1975년 1월 쌍용양회공업에 흡수, 합병되었다.

작품 배경

쌍용양회공업은 창립 당시인 1960년대에 세 개의 공장을 지었다. 1964년 4월에는 영월공장이, 1968년 10월에는 동해공장이 준공된 데 이어 1969년 2월 여수분공장이 준공되었다. 이 중 작품의 배경이 되는 공장은 작품 제작 시기로 볼 때 동해공장, 혹은 영월공장으로 추정된다.

그림 읽기

  • 국가기록원 기록에 따르면 이 작품은 1991년 1월 9일부터 1992년 1월 8일까지 안동문화원에 대여되었습니다.
  •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김창락-쌍용시멘트-1973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창락-쌍용시멘트 김창락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창락-쌍용시멘트 안동문화원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김창락-쌍용시멘트 쌍용양회공업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김창락-쌍용시멘트 쌍용양회 동해공장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김창락-쌍용시멘트 쌍용양회 영월공장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3년 김창락김창락-쌍용시멘트를 제작하였다.
1991년 1월 9일-1992년 1월 8일 안동문화원김창락-쌍용시멘트를 대여하였다.
1962년 김성곤쌍용양회공업을 설립하였다.
1964년 4월 16일 쌍용양회공업 영월공장이 준공되었다.
1968년 10월 31일 쌍용양회공업 동해공장이 준공되었다.
1975년 1월 쌍용양회공업이 대한양회를 흡수 합병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566477 128.734167 김창락-쌍용시멘트안동문화원에 대여되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갤러리

영상

  • 대한뉴스 제 133호-문경시멘트 공장 준공(게시일: 2016년 10월 18일)

  • 대한뉴스 제 384호-건설의 새소식(게시일: 2016년 10월 20일)

주석

  1. "세계 최대 규모 시멘트 공장 쌍용양회 동해공장", 『이데일리』, 2015년 2월 6일.
  2. 이경근, "쌍용양회공업(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6월 28일.
  3. 시동쓰, "쌍용양회 동해공장", 『네이버 블로그 - sidong258의 블로그』online, 작성일: 2007년 06월 22일.
  4. "생산시설이 대폭 늘어난 영월 쌍용양회 공장 모습",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5. 이경근, "쌍용양회공업(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6월 28일.
  6. 시동쓰, "쌍용양회 동해공장", 『네이버 블로그 - sidong258의 블로그』online, 작성일: 2007년 06월 22일.
  7. "생산시설이 대폭 늘어난 영월 쌍용양회 공장 모습",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8.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참관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9. 이경근, "쌍용양회공업(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6월 28일.
  10. 시동쓰, "쌍용양회 동해공장", 『네이버 블로그 - sidong258의 블로그』online, 작성일: 2007년 06월 22일.
  11. "쌍용양회 동해공장 가보니 녹색성장 '활짝'", 『아시아경제』, 2012년 9월 17일.
  12. 이경근, "쌍용양회공업(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6월 28일.
  13. "생산시설이 대폭 늘어난 영월 쌍용양회 공장 모습",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14. "태완선 경제기획원장관 쌍용양회 영월공장 100만 톤 증설 준공식 참석",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15.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참관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16. "쌍용양회 문경공장 ‘산업유산’ 등재 시동", 『대구일보』, 2017년 6월 19일.
  17. "문경 시멘트공장 기공식(1)",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18. "문경시멘트 공장 준공식에 참석한 이승만 대통령",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2. 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