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문화유산 유물정보
+
{{승탑정보
|사진= BHST Ingaksa Bogak stupa.jpg
+
|사진=BHST Ingaksa Bogak stupa.jp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대표명칭=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7번째 줄: 7번째 줄:
 
|이칭=
 
|이칭=
 
|지정번호=보물  제428호   
 
|지정번호=보물  제428호   
|지정일= 1965년 9월 1일
+
|지정일=1965년 9월 1일
|소장처=경북 군위군 고로면 삼국유사로 250(화북리)
+
|주소=경북 군위군 고로면 삼국유사로 250(화북리)
|위도= 36.127870  
+
|위도=36.127870  
|경도= 128.779325
+
|경도=128.779325
 
|소유자=[[군위 인각사]]
 
|소유자=[[군위 인각사]]
 
|관리자=[[군위 인각사]]
 
|관리자=[[군위 인각사]]
|시대=고려시대
+
|크기= 높이 약 2.42m
|수량=1기
+
|건립시대=고려시대
|분류=  
+
|관련승려=[[일연|일연(一然)]]
 +
|관련탑비=[[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
 
}}
  
 
=='''정의'''==
 
=='''정의'''==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부도.<ref>장충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6822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군위 인각사|인각사(麟角寺)]]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일연|보각국사 일연(普覺國師 一然, 1206-1289)]]의 [[승탑]].
  
 
=='''내용'''==
 
=='''내용'''==
1289년(충렬왕 15)에 입적한 보각국사 [[일연]]의 사리탑이다. 일연은 노년에 인각사에서 늙으신 어머니를 봉양할만큼 효성이 깊었는데, 전하는 말에 의하면 아침에 해가 뜰 때 이 탑에서 광채가 나와 멀지 않은 곳에 있는 일연 어머니의 묘를 비췄다고 한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4280000,37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1289년([[고려 충렬왕|충렬왕]] 15)에 입적한 [[일연|보각국사 일연(普覺國師 一然)]]의 사리탑이다. [[일연]]은 노년에 [[군위 인각사|인각사(麟角寺)]]에서 늙으신 어머니를 봉양할 만큼 효성이 깊었는데, 전하는 말에 따르면 아침에 해가 뜰 때 이 탑에서 광채가 나와 멀지 않은 곳에 있는 일연 어머니의 묘를 비췄다고 한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4280000,37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탑은 자연석으로 된 바닥돌 위에 8각의 아래받침돌을 놓았는데 윗면이 급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가운데받침돌 역시 8각으로, 동물을 조각하였으나 뚜렷하지 않다. 윗받침돌은 8각이지만 원형에 가깝고, 단조롭고 소박한 연꽃이 새겨져 있다. 탑몸도 8각으로 정면에는 ‘보각국사정조지탑’이란 탑이름이 있고<ref>탑신에 주인공의 이름을 표시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개는 기명이 없으므로 탑명을 부를 때 그저 부도라고만 한다. 정영호, 『부도』, 대원사, 2014.</ref>, 뒷면에는 문모양의 조각이 있으며 남은 6면에는 [[사천왕|사천왕입상(四天王立像)]]과, 연꽃 위에 서있는 보살상(菩薩像)을 새겼다. 지붕의 두꺼운 추녀 밑은 위로 느리게 들려 있고, 낙수면은 급한 편이며 지붕선 끝부분에 꽃장식이 달려 있다. 지붕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이 큼직하게 올려져 있다.<ref>이원선, "[http://www.k-heritage.tv/brd/board/276/L/menu/259?bbIdx=9149&brdType=R 보물 제428호,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작가갤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단.</ref>
+
정면에는 ‘보각국사정조지탑(普覺國師靜照之塔)’이란 탑 이름이 있고, 뒷면에는 문 모양 조각이 있으며, 남은 여섯 면에는 [[사천왕|사천왕입상(四天王立像)]]과 연꽃 위에 서있는 보살상(菩薩像)을 새겼다.<ref>이원선, "[http://www.k-heritage.tv/brd/board/276/L/menu/259?bbIdx=9149&brdType=R 보물 제428호,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작가갤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단.</ref>
  
탑은 원래 절에서 2km쯤 떨어진 뒷산 부도골에 있었다가 그곳에 민묘가 들어서고 본래 있던 곳에서 옮겨졌다. 구한말에는 사리를 훔쳐가려는 일본인이 무너뜨리기도 했는데, 1958년 이홍식·황수영 두 교수가 조사할 때까지 방치돼 있었다. 이후 탑은 고로면사무소로 옮겼다가 1962년 인각사 부근 도로로, 그 뒤 다시 경내로 옮겨졌다. <ref>행복한놀부, "[http://yinolbu.blog.me/150162760703?Redirect=Log&from=postView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절(터) 찾아 떠나는 불교여행』<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3년 3월 14일.</ref>
+
탑은 원래 절에서 2km쯤 떨어진 뒷산 부도골에 있었다가 그곳에 민묘가 들어서면서 옮겨졌다. 구한말에는 사리를 훔쳐가려는 일본인이 무너뜨리기도 했는데, 1958년 이홍식·황수영 두 교수가 조사할 때까지 방치돼 있었다. 이후 탑은 고로면사무소로 옮겼다가 1962년 [[군위 인각사|인각사]] 부근 도로로, 그 뒤 다시 경내로 옮겨졌다.<ref>행복한놀부, "[http://yinolbu.blog.me/150162760703?Redirect=Log&from=postView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절(터) 찾아 떠나는 불교여행』<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3년 3월 14일.</ref>
  
1963년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일연의 탑비]]함께 보물 제316호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軍威 麟角寺 普覺國師塔 및 碑)'로 지정되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4280000,37&flag=Y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1963년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일연의 탑비]]함께 보물 제316호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軍威 麟角寺 普覺國師塔 및 碑)'로 지정되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4280000,37&flag=Y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
*'''보각국사 일연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04/monk_bogak.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tps://dh.aks.ac.kr/Encyves/Graph/D004/stele_bogak_gunwi.htm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지식관계망]
 +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39번째 줄: 48번째 줄: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 [[일연]] || A는 B를 위한 탑이다 ||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 [[일연]] || A는 B를 위한 탑이다 ||
 
|-
 
|-
 +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61번째 줄: 71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승탑]]
 
[[분류:보물]]
 
[[분류:보물]]
[[분류:승탑/검토요청]]
 

2024년 4월 12일 (금) 00:40 기준 최신판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軍威 麟角寺 普覺國師塔)
BHST Ingaksa Bogak stupa.jpg
대표명칭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영문명칭 Stupa of State Preceptor Boga at Ingaksa Temple, Gunwi
한자 軍威 麟角寺 普覺國師塔
주소 경북 군위군 고로면 삼국유사로 250(화북리)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428호
문화재 지정일 1965년 9월 1일
소유자 군위 인각사
관리자 군위 인각사
크기 높이 약 2.42m
건립시대 고려시대
관련승려 일연(一然)
관련탑비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정의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인각사(麟角寺)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보각국사 일연(普覺國師 一然, 1206-1289)승탑.

내용

1289년(충렬왕 15)에 입적한 보각국사 일연(普覺國師 一然)의 사리탑이다. 일연은 노년에 인각사(麟角寺)에서 늙으신 어머니를 봉양할 만큼 효성이 깊었는데, 전하는 말에 따르면 아침에 해가 뜰 때 이 탑에서 광채가 나와 멀지 않은 곳에 있는 일연 어머니의 묘를 비췄다고 한다.[1]

탑 정면에는 ‘보각국사정조지탑(普覺國師靜照之塔)’이란 탑 이름이 있고, 뒷면에는 문 모양 조각이 있으며, 남은 여섯 면에는 사천왕입상(四天王立像)과 연꽃 위에 서있는 보살상(菩薩像)을 새겼다.[2]

탑은 원래 절에서 2km쯤 떨어진 뒷산 부도골에 있었다가 그곳에 민묘가 들어서면서 옮겨졌다. 구한말에는 사리를 훔쳐가려는 일본인이 무너뜨리기도 했는데, 1958년 이홍식·황수영 두 교수가 조사할 때까지 방치돼 있었다. 이후 탑은 고로면사무소로 옮겼다가 1962년 인각사 부근 도로로, 그 뒤 다시 경내로 옮겨졌다.[3]

1963년 일연의 탑비와 함께 보물 제316호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軍威 麟角寺 普覺國師塔 및 碑)'로 지정되었다.[4]

지식관계망

  • 보각국사 일연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군위 인각사 A는 B에 있다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일연 A는 B를 위한 탑이다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2. 이원선, "보물 제428호,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작가갤러리, 『문화유산채널』online, 한국문화재단.
  3. 행복한놀부,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네이버 블로그 - 절(터) 찾아 떠나는 불교여행』online, 작성일: 2013년 3월 14일.
  4.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