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5번째 줄: 15번째 줄:
 
|각자= 미상
 
|각자= 미상
 
|서체= 해서(楷書)
 
|서체= 해서(楷書)
|승려= [[현각|현각(玄覺)]]
+
|승려= [[현각선사|현각선사(玄覺禪師)]]
 
|승탑=[[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
 
|승탑=[[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
 
|비문=[[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문]]
 
|비문=[[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문]]

2017년 6월 9일 (금) 14:42 판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求禮 鷰谷寺 玄覺禪師塔碑)
BHST Stele.png
대표명칭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영문명칭 Stele for Master Hyeongak at Yeongoksa Temple, Gurye
한자 求禮 鷰谷寺 玄覺禪師塔碑
주소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1017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152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찬자 왕융(王融)
서자 장신원(張信元)
각자 미상
서체 해서(楷書)
승려 현각선사(玄覺禪師)
승탑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



정의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연곡사(鷰谷寺)에 있는 고려시대 승려 현각선사(玄覺禪師)의 탑비.

내용

개요

보물 제152호. 귀부 높이 112㎝, 이수 높이 75㎝. 고려 전기의 승려 현각선사(玄覺禪師)를 기리기 위해 979년(경종 4)에 건립되었다. 현재 비신(碑身)은 없어지고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만이 남아 있다. 조각 수법은 당대의 탑비 양식을 잘 따르고 있는데, 몸체에 비해 큰 귀두(龜頭)나 비좌(碑座) 4면에 새긴 안상(眼象)과 귀꽃이 특색이다. 이수 앞면 가운데에는 ‘玄覺王師碑銘(현각왕사비명)’이라는 전액(篆額)이 음각되어 있다. 기록이나 옛 탁본에 의하면 비문은 학사(學士) 왕융(王融)이 지었고, 동정주국(同政柱國) 장신원(張信元)이 썼다고 전한다. 글씨는 2㎝ 정도의 해서로 구양순체(歐陽詢體)를 바탕으로 하면서 자형을 바르게 하여, 고박한 형태미(形態美)를 나타내고 있다. -민백

연곡사에 있는 비(碑)로, 고려 전기의 승려 현각선사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임진왜란 당시 비몸돌이 없어져 현재는 받침돌과 머릿돌만 남아 있다. 비를 받치고 있는 돌거북은 부리부리한 두 눈과 큼직한 입이 웅장하며, 수염을 가진 용머리를 하고 있다. 등 중앙에 마련된 비를 꽂아두는 부분에는 안상(眼象)과 꽃조각이 새겨져 있다. 받침돌 위에 놓여 있는 비의 머릿돌에는 여러 마리의 용이 서로 얽힌 모습이 조각되어 있는데, 긴밀하고 사실성이 두드러진다. 앞면의 가운데에는 탑이름이 새겨져 있어, 현각선사의 탑비임을 알수 있다.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이 비는 고려 경종 4년(979)에 만들어졌다. -문화재청

현재 비신은 없어졌고 귀부와 이수만이 남아 있다. 귀부의 조형은 부리부리한 두 눈과 큼직한 입이 웅장하며 입 주변에 수염을, 비좌 둘레에 조출된 귀꽃과 안상 등을 새기었다. 이는 고려시대 비석의 형식을 갖춘 것이다. 이수의 용의 형상은 웅건하며 사실성이 두드러진 조형이다. 이 석비의 건립연대는 기록에 의하면 고려 경종 4년(979)으로 추정된다.-길잡이

연곡사 현각선사탑비는 고려 전기 승려 현각선사를 기리기 위해 979년(경종4)년에 건립되었다고 한다. 현재 비의 몸돌은 없어지고 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돌인 귀부와 머릿돌인 이수만 남아 있다. 기록에 의하면 비문은 학사 왕융이 지었고, 글씨는 상주국 장신원이 썼다고 한다. 비를 받치고 있는 돌거북은 부리부리한 두 눈과 큼직한 입이 웅장하며, 수염을 가진 용머리를 하고 있다. 등 중앙에 마련된 비를 꽂아두는 부분에는 안상과 꽃조각이 새겨져 있다. 받침돌 위에 놓여 있는 비의 머릿돌에는 여러 마리의 용의 서로 얽힌 모습이 조각되어 있는데, 긴밀하고 사실성이 두드러진다. 앞면의 가운데에는 ‘현각선사비명(玄覺禪師碑銘)’이라는 탑 이름이 새겨져 있어, 현각선사의 탑비임을 알 수 있다. 한국전쟁 때 생긴 피탄 자국이 받침돌과 머릿돌 뒷부분에 아직도 선명하게 남아 있으며, 현재의 탑비는 귀부의 머리 부분과 몸통 부분이 조각난 것을 복원해 놓은 것이다. -컬쳐

사라진 비의 몸돌에는 현각선사의 일대기를 적었는데, 비문은 학사 왕융이 짓고, 장신원이 글을 썼다고 한다. 비는 임진왜란 때 화재로 손상을 입은 것이 풍화로 파손이 되고, 그 뒤에는 구한말에 의병항쟁 때 일본군의 방화와 약탈 등으로 더 손상이 된 것을, 1970년에 떨어진 조각들을 모아 붙여 놓았다고 한다. 천년 세월을 지켜 낸 비가 일제의 만행에 의해서 두 번이나 화를 당한 셈이다.-일본의만행

6·25전쟁 때 생긴 피탄 자국이 받침돌과 머릿돌 뒷부분에 아직도 선명하게 남아있으며, 현재의 탑비는 귀부의 머리 부분과 몸통 부분이 조각난 것을 복원해 놓은 것이다.-구례여행

비문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A는 B에 있다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A는 B의 이름을 지었다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A는 B를 위한 비이다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A는 B가 비문을 썼다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A는 B와 관련있다

시각자료

영상

주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