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유정난

Encyves Wiki
Wlghkwk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8년 1월 8일 (월) 20:39 판 (내용)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계유정난(癸酉靖難)
대표명칭 계유정난
한자표기 癸酉靖難
유형 사건
시대 조선시대
날짜 1453년
관련인물 조선 세조, 김종서(金宗瑞), 황보인(皇甫仁), 조선 단종



정의

1453년 (조선 단종1)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왕위를 빼앗기 위하여 일으킨 사건이다.

내용

조선 세종을 이은 문종이 일찍 죽고 어린 단종(端宗)이 즉위하자 숙부인 수양대군(首陽大君)단종 및 그를 보좌하던 김종서(金宗瑞)황보인(皇甫仁) 등을 살해하고 안평대군을 축출한 후 정권을 장악하였다.[1]

이를 계기로 수양대군은 왕위에 오를 기반을 확보하였다. 이 사건은 당시 재상 중심의 정치체제가 강화되고 왕권이 약화되던 현상에 대한 왕실 및 유신(儒臣)세력의 반격이라는 성격도 함께 갖고 있다. 세종 대에는 태종 이래 유지되어온 6조 직계제가 폐지되고 의정부 서사제가 부활되면서 재상 중심의 정치체제가 강화되었다. 세종을 이은 문종이 일찍 죽고 어린 단종이 왕위에 오르자, 문종의 부탁을 받은 김종서·황보인 등 재상들이 정권을 장악함으로써 이 때의 의정부는 국왕을 보필하고 정사를 협의하는 최고 정무기관을 넘어선 최고의 권력을 가지게 되었다.[2]

당시 왕권의 약화와는 달리 왕실의 세력은 막강했는데, 특히 수양대군안평대군이 그 정점에 있었다. 문인·학자 계열은 안평대군을 중심으로. 무인들과 지략 있는 한명회 같은 문신의 일부는 수양대군을 중심으로 모였다. 결국 수양대군이 권력을 장악하자, 1455년 단종은 왕위를 물려주고 말았다.[3] 이때 정인지한명회 등은 정난공신(靖難功臣)이 되었으며, 성삼문박팽년하위지 등 소위 사육신단종 복위운동은 실패로 돌아갔다.[4]

지식관계망

  • 김시습과 성삼문과 박팽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계유정난 조선 세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계유정난 김종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계유정난 황보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계유정난 조선 단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계유정난 안평대군 이용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계유정난 한명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계유정난 정인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계유정난 사육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pmg지식엔진연구소,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온라인참조:"계유정난",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한국사사전편찬위원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참조:"계유정난",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한국사사전편찬위원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참조:"계유정난",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pmg지식엔진연구소,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온라인참조:"계유정난",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pmg지식엔진연구소,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온라인참조:"계유정난",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국사사전편찬위원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참조:"계유정난",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더 읽을 거리

  • 웹자원
    • "계유정난", 『두산백과』online.
    • 김성준, "계유정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논문
    • 한춘순, 「단종 대 癸酉靖難과 그 성격」, 『韓國史硏究』 제174집, 한국사연구회, 2016.9, 131-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