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 (해독)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Pici.png

본 기사의 해독문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2016년에 개최한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2016.6.29~12.31)'도록 278쪽을 참고 활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원문 중 옛 한글의 경우 웹브라우저 및 시스템의 문자세트(character set) 표현상 한계로 인해 표시가 불완전할 수 있으며, 각 내용상의 사소한 교정은 별도의 언급 없이 적용하였습니다.

한글팀 효종이숙명공주에게보낸한글편지 01.jpg

원문과 해석문

원문 해석문
긔운이나 무ᄉᆞᄒᆞᆫ가 ᄒᆞ며 너희 집 일이야 어이 내〃 다 뎍으리 기운이나 무사한가 하며 너희 집 일이야 어찌 내내 다 적으 리.
그 아 ᄒᆡ가 그리 될 줄을 어이 알리 어룬들 히 헐복ᄒᆞ야[1] 그런가 ᄒᆞ노라 그 아이가 그리 될 줄을 어찌 알리. 어른들이 헐복하여 그런가 한다.
하 닛디 못ᄒᆞ 니 이제ᄂᆞᆫ 아ᄒᆡ들흘 ᄎᆞᄉᆡᆼ 졍 브터 아니 기ᄅᆞ려 ᄒᆞ노라 몹시 잊지 못하니 이제는 아이들을 이승에서 정 붙여 아니 기르려 한다.
졍은 무궁ᄒᆞ되 ᄆᆞᄋᆞᆷ이 아니ᄭᅩ와 잠간 뎍노라 우흐로 부모ᄅᆞᆯ ᄉᆡᆼ각ᄒᆞ고 ᄉᆡᆼ심[2] 도 무익ᄒᆞᆫ 슬ᄸᅮ지 말고 밥 이나 힘ᄡᅥ 먹고 병드러 근심 기티디 말아 정은 무궁하되 마음이 상하여 잠 깐 적는다. 위로 부모를 생각하고 조금도 무익하게 슬퍼하 여 스스로 해롭게 하지 말고 밥이나 힘써 먹고 병들어 근심 끼치지 마라.
부 마과 ᄒᆞᆫ가지로 보와라 늘근 졍승[3] 안흘 ᄉᆡᆼ 각ᄒᆞ니 더옥 ᄀᆞ이없다 부마와 한가지로 (이 편지를) 보아라. 늙은 정 승 마음을 생각하니 더욱 가없다.


본래의 항목 기사로 돌아가기

주석

  1. 헐복 야 : 헐복歇福하여. 어지간히 복이 없어서.
  2. 심 : 생심生心. 어떤 일을 하려고 마음을 먹음. 또는 그 마음. 이곳의 ‘ 심도’는 ‘조금도’의 의미로 쓰인 부사.
  3. 졍승 : 정승政丞. 여기서는 숙명공주의 시부 심지원沈之源을 가리킨다. 1654년 우의정에 승서되고 이듬해에는 좌의정으로 옮겼으며, 1657년에는 동지겸사은사冬至兼謝恩使로 청나라에 다녀와서 이듬해에 영의정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