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의 변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홍수의 변(紅袖之變)
Political battle.png
대표명칭 홍수의 변
한자표기 紅袖之變
유형 사건
시대 조선
날짜 1675년 3월 12일-1675년 9월 16일
관련인물 이남(李楠) 이정(李㮒) 명성왕후(明聖王后) 김우명(金佑明) 허적(許積) 윤휴(尹鑴)
관련단체 서인 남인
관련장소 창덕궁



정의

1675년(효종 8) 3월 종실 복창군 이정과 복평군 이정이 궁녀들과 간통하였다고 고발된 일로 남인과 서인의 당쟁을 격화시킨 사건을 말한다.

내용

홍수의 변에 대한 역사적 배경

복창군 이정(福昌君, 李禎) 복평군 이연(福平君, 李㮒)효종의 아우인 인평대군(麟坪大君)의 아들로서 복선군 이남(福善君, 李楠)과 함께 흔히 '삼복(三福)'으로 불리었다. 그들은 효종현종의 사랑을 받아 어려서부터 궁궐에서 자라다시피 하였으므로, 장성한 후에도 궁궐을 무상출입하였는데 행실이 오만하고 방탕하였다. 그들의 외조부는 남인 오단(吳端)이었으므로, 1674년(효종 7) 제2차 예송에서 서인이 패하고 남인 정권이 수립되자, 허적(許積) 등과 결탁하여 권력을 행사하였다. 1674년 8월, 현종의 국상이 일어나자 복창군복평군은 상례 일로 궁중에서 유숙하는 일이 많았다.[1]

홍수의 변 일어나다

1675년 3월 12일에 숙종의 외조부였던 청풍부원군 김우명(淸風府院君, 金佑明)명성왕후(明聖王后)의 지시를 받고 종실 복창군 이정복평군 이연이 궁녀들과 간통하였다고 고발하였다. 조선시대에는 궁녀와 간통한 자는 누구나 사형에 처하였기 때문에, 남인들은 청풍부원군 김우명이 근거 없이 왕손들을 해치려한다고 탄핵하였다. 이에 명성왕후가 어전 회의에 나와 그들이 궁녀 상업(常業)·귀례(貴禮)와 간통한 사실을 증언하였다. 이에 복창군 이정이연 및 궁녀들은 사형만을 면하여 멀리 유배되었다. 그러나 남인 윤휴(尹鑴)홍우원(洪宇遠) 등은 대비가 조정에 간여하는 것이 옳지 않으므로 임금이 잘 보살피라는 조관(照管)을 건의하였다. 그러자 서인 김수항(金壽恒)남인들이 대비를 견제하려는 것이 옳지 않다고 비판하였고, 남인들은 그를 탄핵하여 영암으로 유배시켰다. 그해 7월에 큰 가뭄이 들자,죄수들을 석방하면서 복창군 이정복평군 이연도 석방되었다.[2]

홍수의 변 결과

복창군 이정복평군 이연의 궁녀 간통은 명성왕후의 증언 때문에 사실로 인정되어 유배의 처벌을 받았다. 그들은 몇 달 후 석방되었고, 9월에 서용되어 관작이 회복되었다. 그러나 1680년(숙종 6) 경신환국(庚申換局)이 일어나자 복평군 이연복선군 이남은 역모죄로 처형되었고, 윤휴홍우원도 대비 모욕죄로 사사(賜死)되거나 유배되었다.[3]

홍수의 변이 끼친 영향

1675년의 '홍수의 변'에서 명성왕후가 궁녀들의 간통을 고발하게 하고 증언하여 왕손들을 처벌하게 한 일은 조정에 간섭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남인들은 이를 비판하였고 서인들은 남인들의 대비에 대한 불경을 공격하여 당쟁이 더욱 격화되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홍수의 변 복창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수의 변 복평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수의 변 복선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수의 변 남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수의 변 서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수의 변 조선 숙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수의 변 김우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수의 변 명성왕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수의 변 상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수의 변 귀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수의 변 윤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수의 변 홍우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수의 변 김수항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효종 인평대군 A는 B와 형제이다 A ekc:hasBrother B
인평대군 복창군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인평대군 복평군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인평대군 복선군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북천부부인 복창군 A는 B의 어머니이다 A ekc:hasSon B
북천부부인 복평군 A는 B의 어머니이다 A ekc:hasSon B
북천부부인 복선군 A는 B의 어머니이다 A ekc:hasSon B
인평대군 북천부부인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오단 북천부부인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조선 효종 조선 헌종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조선 헌종 복창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헌종 복평군 이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헌종 복선군 이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헌종 조선 숙종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명성왕후 조선 숙종 A는 B의 어머니이다 A ekc:hasSon B
김우명 명성왕후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남인 오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남인 허적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남인 윤휴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남인 홍우원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서인 김수항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예송논쟁 남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예송논쟁 서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경신환국 복창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경신환국 복평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경신환국 복선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경신환국 윤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경신환국 홍우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명성대비전유 명성왕후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675년 3월 12일-1675년 9월 16일 홍수의 변이 일어났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9427 126.991073 홍수의 변창덕궁에서 일어났다

주석

  1. 이영춘, "홍수의 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영춘, "홍수의 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영춘, "홍수의 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이영춘, "홍수의 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한지희, 「숙종 초 '紅袖의 變'과 明聖王后 金氏의 정치적 역할」, 『한국사학보』31, 고려사학회, 2008, 145-176쪽.
  • 웹자원
    • 이영춘, "홍수의 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